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기타/꽃

연꽃(蓮꽃)

노촌魯村 2023. 6. 30. 13:14

2023.6.29 인흥마을(대구 달성군 화원읍 인흥3길 16 (지번) 화원읍 본리리 401-2)에서 촬영

연꽃(蓮꽃)

학명 : Nelumbo nucifera Gaertn.

학명이명 : Nelumbium caspicum Eichw.

수련목 연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고인 물이 있는 곳, 연못이나 수심이 낮은 호수 등에 식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수생식물이다.

뿌리줄기는 굵고, 속에 많은 구멍이 있으며, 땅속에서 옆으로 뻗는다. 뿌리줄기의 마디에서 수염뿌리와 잎이 나온다.

잎은 둥근 방패 모양, 지름 30~90cm, 가운데가 오목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자루는 길이 1~2m다.

꽃은 7~8월에 피는데 물 위로 솟은 꽃대 끝에 한 개씩 달리며, 붉은색, 분홍색, 흰색 등 다양하며, 지름 10~25cm다. 낮에만 3~4일 동안 계속 핀다. 꽃받침은 4~5장, 녹색, 일찍 떨어진다. 꽃잎은 16~24장, 도란형, 길이 8~12cm, 폭 3~7cm다. 수술은 400여 개이고, 꽃밥은 노란색이며 길이 1~2cm다. 꽃턱은 해면질, 고깔 모양, 길이와 지름이 각각 10cm쯤이며, 겉이 납작하다.

열매는 견과를 닮았으며, 꽃턱의 구멍에 한 개씩 달리고, 타원형, 길이 2cm쯤, 검게 익는다. 형태적으로 연꽃은 수련에 비해서 잎은 더욱 크고 아래쪽이 갈라지지 않으며, 꽃자루는 물 위로 길게 나오므로 구분할 수 있다.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뿌리를 식용으로 흔히 쓰고 뿌리를 얻기 위해 재배한다. 꽃잎과 잎을 차로 만들어 마시기도 하고, 잎을 찜 요리할 때 이용하기도 한다. 연꽃이라고도 한다.

아시아 남부,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원산으로 추정되며, 우리나라 충청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등에 나며, 동아시아, 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북아메리카 등에 분포한다. (출처 : 국립생물자원관-한반도의 생물다양성)

 

연꽃(蓮-, 영어: Lotus, Nelumbo nucifera)의 원산지는 인도다.

여러해살이풀로서 땅속줄기는 흙 속을 기는데, 가을이 끝날 무렵에는 그 끝이 커져 연근이 만들어진다. 잎은 원형의 방패 모양이며,

꽃은 7-8월쯤의 물속에서 나온 긴 꽃자루 끝에 핀다. 꽃받침조각은 4~5개이고, 여러 개의 꽃잎과 있다. 열매는 연밥이라고 하며, 땅속줄기인 연근과 함께 식용·약이 된다. 열매껍질은 매우 딱딱하므로, 수백 년이 지난 후에야 발아하는 예도 있다. 늪·연못·논 등에 많으며 연꽃부터 열매, 잎, 뿌리에 이르기까지 식용 및 약재로 이용된다.

뿌리가 마구 번지므로, 점질양토 등 무거운 흙을 배양토로 배수구가 없는 화분에 심어 연못에 넣는다. 종자를 심을 때는 씨껍질이 두꺼우므로 상처를 내서 심어야 한다.(출처 : 위키백과)

2023.6.29 인흥마을(대구 달성군 화원읍 인흥3길 16 (지번) 화원읍 본리리 401-2)에서 촬영
2023.9.7 합천 정양늪에서 촬영
2023.9.7 합천 정양늪에서 촬영
2023.6.29 인흥마을(대구 달성군 화원읍 인흥3길 16 (지번) 화원읍 본리리 401-2)

인흥마을 :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에 있는 남평문씨의 세거지.

남평문씨본리세거지(南平文氏本里世居地)는 남평문씨(南平文氏)들이 200년간 세거해 온 곳이다.

문익점(文益漸)[1329~1398]의 9대손인 통덕랑 문세근(文世根)이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 경기도 파주 지역에서 대구 지역으로 이거를 하였고, 이후 1840년(헌종 6)경 문세근의 9세손인 인산재 문경호(文敬鎬)[1812~1874]가 현재의 위치에 자리 잡은 이래로 남평 문씨들만이 대를 이어 살아오고 있다.

1996년에 남평문씨본리세거지에 대한 보존 방안 연구 및 실측 조사 보고가 이루어졌다.

남평문씨본리세거지의 면적은 1만 1,701㎡이다. 남평문씨들이 정착한 인흥마을은 원래 절이 있던 명당 터였는데, 인흥에 입향한 남평문씨 입향조 문경호가 남평 문씨들이 대대로 살 수 있는 세거지가 될 수 있도록 장기 계획을 세워 마을을 조성한 것이다.

광거당(廣居堂)과 수봉정사(壽峯精舍), 인수 문고(仁壽文庫), 거경 서사(居敬書寺)를 비롯하여 가정 주택의 배치가 이를 입증하고 있다.

집들의 배치 형태가 흥미롭게도 '우물 정(井)' 자이다. 사람이 거주하는 주택이 전부 합해 아홉 채인데, 이 아홉 채가 우물 정자처럼 가로와 세로로 줄을 맞춰 자리 잡고 있다. 거기에다 광거당과 수봉정사라는 중심축을 갖고 집들이 질서 정연하게 배치되어 있어 한국 건축사 연구의 좋은 자료가 되기도 한다.

남평문씨본리세거지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이라면 수봉정사와 광거당, 인수 문고를 들 수 있다. 수봉정사는 남평문씨본리세거지의 입구에 있는 정자로 정원을 매우 아름답게 꾸민 곳이다. 주로 손님을 맞고 일족의 모임을 열 때 사용하던 큰 규모의 건물이다.

광거당은 문중의 자제들이 학문과 교양을 쌓던 수양 장소이다.

인수 문고는 문중의 서고로, 규장각(奎章閣) 도서를 포함한 책 1만여 권을 소장하고 있다. 처음에는 작은 규모였으나 후에 크게 늘려지었고, 도서 열람을 위한 건물도 따로 지어 놓았다. 조선 후기의 전통 가옥 아홉 채와 정자 두 채를 포함하여 총 70여 채 250칸 전부가 1995년 5월 12일 대구광역시 민속문화재 제3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 때문에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대구광역시 민속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남평문씨본리세거지 아홉 채의 주택에는 장남 부부들만이 살고 있다. 재산 중에서 인흥마을의 아홉 채 주택만큼은 현행 법률에 상관없이 반드시 장남에게 상속하고 있을 정도로 장남 상속의 원칙이 현재에도 굳건하게 지켜지고 있다. 더불어 문중 내규에 외부인에게 집을 파는 것도 금지되어 있어 남평문씨본리세거지는 뜨내기가 함부로 들어와서 살 수 없다. 이러한 예는 우리나라에서 찾아보기 힘든 사례로, 1840년 전후 입향조 문경호가 인흥마을에 터를 잡은 이래로 남평문씨들만이 대를 이어 살아오고 있는 국내에서 유일한 대가족 중심의 대규모 집성촌이다.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간행한 『남평문씨본리세거지-보존 방안 연구 및 실측 조사 보고서』에 의하면 "남평문씨본리세거지가 기존 전통 마을의 풍수지리적 정서와 민속 풍습을 간직하고 있으면서도 20세기 초 민족의식을 고취하면서 근대화를 지향했던 철학을 엿볼 수 있는 곳"이라고 한다. 또 마을의 조성 시기와 규모 및 형태 면에서 기존의 민속 마을과는 차별화되며, 시대의 흐름에 따른 주거 공간의 근대적 변용 현상이 잘 나타나 있고, 신앙·의례·생활 도구 등 다양한 민속 문화를 엿볼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출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향토문화전자대전)

2023.6.29 인흥마을(대구 달성군 화원읍 인흥3길 16 (지번) 화원읍 본리리 401-2)
2023.6.29 인흥마을(대구 달성군 화원읍 인흥3길 16 (지번) 화원읍 본리리 401-2)
2023.6.29 인흥마을(대구 달성군 화원읍 인흥3길 16 (지번) 화원읍 본리리 401-2)
2023.6.29 인흥마을(대구 달성군 화원읍 인흥3길 16 (지번) 화원읍 본리리 401-2)
대경상록자원봉사단 영상반 道鬼들(임영태 회원. 김성길 회원. 김성호 회원)

'기타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주루드베키아(Echinacea)  (0) 2023.07.01
범부채(사간射干)  (0) 2023.06.30
각시원추리  (0) 2023.06.30
부처꽃(천굴채, loosestrif)  (0) 2023.06.29
석류나무(石榴나무, Pomegranate)  (0) 2023.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