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기타/각종정보

경주 흥륜사 서편에서 고려시대 공양구 유물 54점 출토

노촌魯村 2023. 7. 5. 23:17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의 허가를 받아 경주시(시장 주낙영)()춘추문화재연구원(원장 양인철)에서 추진한 경주 흥륜사(경주 사정동) 서편에서 하수관로 설치공사를 위한 발굴조사 중에 통일신라~고려시대 사찰 관련한 건물지와 담장지, 우물 등의 유적과 청동 공양구 등 다양한 유물을 확인했다.

현재 흥륜사가 자리한 곳은 사적경주 흥륜사지(興輪寺址)’로 지정되어 있으나, 사찰 주변에서 영묘지사(靈廟之寺)’명 기와가 다수 수습되어 학계와 지역에서는 영묘사지보기도 한다. 이번 조사에서 건물의 적심과 담장지 등이 확인된 것으로 보아, 유물이 발견된 곳 역시 사역 범위에 포함될 것으로 추정된다.

* 흥륜사(興輪寺): 『삼국유사』에 기록된 신라 칠처가람(七處伽藍) 중 하나로 고구려 승려 아도(阿道)가 창건한 사찰로 전해지며, 이차돈의 순교로 중창(527~544년)되어 국가 대사찰로 유지되다가 조선시대에 소실로 페사됨

* 영묘사(靈廟寺): 이 역시 신라 칠처가람 중 하나로 선덕여왕 때 창건한 사찰로 전해지며, 조선시대 초기에 폐허된 것으로 알려져 있음

* 적심: 건물 초석을 받치는 기초시설

이번 조사에서는 통일신라~고려시대의 기와, 토기 조각들을 비롯해 청동 공양구 등을 넣은 철솥이 매납된 채 확인되었고, 통일신라 금동여래입상과 추정 영묘사(靈廟寺)’명 기와 조각 등이 출토되었다.

특히 철솥 내부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고려시대 청동 공양구와 의식구들이 담겨 있어 주목된다. 철솥은 지름 약 65cm, 높이 약 62cm의 크기로 외부에 4개의 손잡이가 달려 있으며, 안에는 작은 기와 조각들이 섞여 있는 흙이 30cm 정도 차 있었고, 아래에서 청동 향로, 촛대, 금강저 등 고려시대 불교공양구와 의식구 등이 확인되었다. 현재 육안으로 확인되는 유물은 모두 54이며, 일부 유물은 부식되어 철솥 바닥부분에 붙어있는 상태라서 정확한 상태가 아직 파악되지는 못했지만, 앞으로 보존처리 과정에서 더 많은 유물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매납: 시신을 매장할 때 여러 가지 물건을 함께 묻어 바침

* 금강저: 승려들이 불도 수행때 쓰는 도구로, 방망이의 일종

이번에 수습한 청동 유물과 철솥 등은 화재나 사고 등의 비상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급히 한곳에 모아 묻어둔 퇴장(退藏)유물로 추정되나, 정확한 성격을 파악하고 보다 면밀한 분석을 위해 모두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황인호)로 긴급 이관하였으며, 앞으로 연구소에서 과학적 보존처리와 심화 연구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와 같이 청동 유물이 일괄로 출토된 사례는 창녕 말흘리 유적, 군위 인각사지, 서울 도봉서원(영국사지), 청주 사뇌사지(무심천변), 경주 망덕사지와 굴불사지 등에서 비슷하게 확인된 바 있지만, 이번에 발굴된 유물은 그 수량이 월등히 많아 앞으로 관련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재청은 이번 발굴조사 결과를 통해 고려시대 영묘사와 관련한 다양한 의례 양상을 밝히고, 같이 발굴된 청동 공양구, 의식구 등이 우리나라 금속공예와 법구 연구에 유용하게 쓰이기를 기대하며, 해당 유적이 체계적으로 보존·관리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 사찰 터 퇴장유물 출토 사례

구분 유적
(출토 위치)
출토 유물 수량 매납시기 연도
경북 경주 망덕사지
(강당지)
청동정병, 청동완, 금동원형장식구, 청동발우 등 10점 고려 1969년
굴불사지
(석조불상군 서편 주변)
범종(A)+청동금고(뚜껑)
범종(B), 향완, 청동완, 접시 등
*금고(“大定二十三年癸卯四月日~”/1183년)
16점 고려
(1183년)
1985년
경북
영주
영주댐 수몰지구(금강사지)
(금광리 유물산포지 우물)
철솥, 광명대, 금동완, 나무주걱 등
*광명대(‘亡父安逸戶長禹載夫往生淨界之愿鑄成献金剛寺仏前丙午四月二十九日~’)
5점 1186년
(추정)
2014년
경북
군위
인각사지
(승탑지 하부)
청동금고
금고 내부: 청동병향로, 청동정병 , 청동향합, 중국청자(월주요) 등
7점 통일신라 2008년
울산 영축사지
(동탑지 주변)
청동향로, 청동시루, 청동완 3점 고려
(11~12c)
2015년
경남
창녕
말흘리 사지 철솥, 금동병향로, 금동풍탁,
금강역사상 자물쇠, 금동번 장식 편 등
500여점 통일신라 2003년
전남
완주
화엄사지
(완주 대성리 우물)
철솥+청동금고(뚜껑) / 향완, 접시 등 47점 고려 1967년
충북
청주
운천동 사지 범종(신라), 청동금고(己丑, (句)回陽寺銘), 청동 향로, 청동발, 금동보살입상 등


#보물: 청주 운천동 출토 동종(1)
미상 고려 1970년
사뇌사지
(청주 무심천변 발견)
범종, 청동금고(思惱寺, 1249년), 금강령, 경자, 향로, 향완 2점(1205, 1260년), 촉대, 잔탁, 발우 2점(997, 1035년), 수병, 청동호, 향합(1258 또는 1318년), 청동접시, 청동대접, 풍탁, 자물쇠, 숟가락, 국자, 철솥 등 430여점 고려
(10~14c초)
1993년
서울
도봉구
도봉서원(영국사지) 청동솥, 금강령, 금강저, 향완, 현향로, 호, 대부발, 합, 완, 세반(대야), 삼족솥(鼎), 숟가락 등
* 대부발 아래 ‘雞林公施’명
『고려사』 고려 15대 국왕인 숙종(1054~1105)이 즉위 전 1077년에 ‘鷄林公’으로 봉함.


#보물: 서울 영국사지 출토 의식공양구 일괄(10)
79점 고려
(11c 후반)
2012년

출처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