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기타/각종정보

기록으로만 확인되던 ‘경주 미탄사지’ 사역과 규모 확인- 전형적인 신라왕경 내 사찰과는 다른 형태의 배치 보여... 현장 설명회(6.30.)

노촌魯村 2023. 7. 2. 20:04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경주시(시장 주낙영)와 함께 2023년 630일 오후 2시발굴조사 현장에서 경주 황룡사지 남쪽에 위치한 경주 미탄사지 삼층석탑(呑寺址 三層石塔)’ 주변 발굴조사 성과를 일반에 공개하는 설명회를 개최한다.

※ 발굴조사기관 : (재)불교문화재연구소

※ 발굴조사 현장 : 경북 경주시 구황동 441 발굴조사 현장

미탄사는 그간 역사 기록에는 남아 있지만 실존 여부는 알 수 없었다. 그러다 2014년 문화재청 중요 폐사지 시·발굴조사 사업에서 미탄(味呑)’명 기와가 출토되면서 삼층석탑과 함께 사찰의 위치를 확인하였고,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 사업의 하나로 2018년부터 본격적으로 발굴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번에 미탄사의 사역(사찰이 차지하는 구역)과 배치가 확인되었다.

* <삼국유사> 권1, 기이 1편, 신라시조 혁거세왕: ‘최치원은 본피부 사람이다. 지금 황룡사 남쪽에 있는 미탄사의 남쪽에 옛 터가 있다. 이것이 최후(崔候)의 옛집이 분명하다.’

* 중요 폐사지 시·발굴조사 사업: 2010년부터 실시한 전국 폐사지 학술조사에서 확인된 폐사지 중에서 정비가 필요한 중요 폐사지를 선정하여 2013년부터 시·발굴조사 사업을 실시하였는데 미탄사지가 첫 번째 유적으로 선정되었다.

조사 결과 미탄사8세기 후반 기존 황룡사지 남쪽 신라방 내 가옥에서 사찰로 전환되어 13세기까지 운영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역신라왕경 방리제 안에서 방내도로로 구획된 곳에 세로 약 160m, 가로 약 75m, 면적 12,000, 삼층석탑과 금당지를 비롯한 여러 동의 부속 건물과 원지(園池, 정원 안에 있는 연못), 담장, 우물, 배수로 등이 갖춰져 있었다.

사찰 영역은 삼층석탑과 금당으로 구성된 예불 공간, 승려들이 거주하는 승방과 부속 건물 등으로 구성된 생활공간, 그리고 원지 일원의 후원공간으로 나눠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 방리제(坊里制): 고대 국가에서 왕경이나 지방의 거점지역을 통치의 목적 아래 일정한 영역으로 나눈 도시구획 형태의 하나, 동서와 남북의 도로를 구획하여 바둑판 모양으로 설계

특히 미탄사는 추정 문지--금당이 남북으로 배치되었는데 금당이 탑의 중심축선상에 벗어나 있어 전형적인 신라왕경 내 사찰과는 다른 형태의 가람배치를 보인다. 이는 8세기 이후 신라왕경의 도시가람으로 지어진 귀족층의 원찰로 추정된다는 점에서 통일신라시대 왕경 사찰 연구에 있어 학술적 의미가 크다.

* 가람(伽藍) : 승려들이 불도를 닦으면서 머무는 절

* 원찰(願刹) :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빌기 위해 건립한 사찰로 원당(願堂)이라고도 함

이번에 처음으로 확인된 원지(33×28m, 900)는 금당지 북서쪽에 위치하며, 동쪽 남북대로(大路)의 배수로에서 원지로 물이 흘러 들어가는 입수구를 갖추었다. 원지는 직선과 곡선호안으로 이뤄져 있는데, 호안의 동벽과 북벽은 강돌을 여러 단 쌓아 직선호안으로 만들었고 서벽과 남벽은 자연지형을 이용하여 곡선호안으로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형태의 미탄사 원지는 동궁과 월지, 구황동 원지, 용강동 원지와 함께 신라왕경 내 원지 연구에 있어 중요한 자료로 판단된다.

* 호안(護岸): 강이나 바다의 기슭이나 둑 따위가 무너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일이나 장치

또한, 기존 나말여초(신라 말기~고려 초기) 석탑으로 여겨지던 경주 미탄사지 삼층석탑의 하부 지정층을 조사한 결과 석탑이 8세기 후반에 건립되었음을 새롭게 확인하였다.

현장설명회는 별도 신청 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더 자세한 사항은 ()불교문화재연구소(02-735-9948)로 문의하면 된다.

문화재청은 앞으로도 적극행정과 정부혁신 하나로 신라 문화유산이 좀 더 친숙하게 국민에게 다가갈 수 있도록 발굴현장을 적극적으로 일반에 공개할 예정이다.

출처 : 문화재청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경북 경주시에 있는 ‘경주 미탄사지 삼층석탑(慶州 味呑寺址 三層石塔)’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1928호로 지정하였다. 

높이 6.12m의 규모에 총 35매의 부재로 구성된 미탄사지 삼층석탑은 1980년 이전까지는 기단부와 탑신부(塔身部, 몸돌)의 일부 부재가 소실된 채 방치되어 있다가 1980년에 남은 부재들을 활용해 복원됐다. 소실된 부재는 새 부재를 치석(治石, 돌을 다듬음)하여 조립하였다.

* 탑신부(塔身部, 몸돌): 몸돌과 옥개석을 차례로 얹어서 각 층을 이루는 부분 

파손되고 결손된 부재는 새 재료로 보강ㆍ보충하여 구 재료와의 이질감은 있지만, 최초로 신라석탑 기초부의 형식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조사를 실시한 석탑이라는 점과 그 형태가 정연하고 적절한 비례감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크다. 

특히, 일반적인 석탑의 판축(板築)기법과 달리 잡석(雜石)과 진흙을 다져 불을 지피는 방식으로 한 단이 완성될 때마다 굳히면서 쌓아나가는 기초부의 판축 축조방식을 사용한 점이나 기단부 적심(積心) 내에서 지진구(地鎭具)가 출토된 점 등 특이하고 학술적인 의미가 있어 한국석탑에 관한 연구에 실증적 자료로서 그 가치가 더욱 크다.

* 잡석(雜石): 건축에 쓰이는 크고 작은 돌

* 적심(積心): 초석 아래 돌로 쌓은 기초 부분

* 지진구(地鎭具): 국가의 중요한 건물 등을 지을 때 땅속의 신에게 빌기 위해 매납하는 물건이나 제기(祭器) 

미탄사(味呑寺)는 황룡사 남쪽에 위치한다고 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있어 고려 후기까지 유지된 것으로 추정되며, 문지(門址)도 2차례 이상 중건된 것으로 확인된다. 미탄사지 삼층석탑은 통일신라 시대의 전형적인 석탑양식이 변화하는 과도기적 요소를 지닌 석탑이다. 석탑이 제작된 것으로 짐작되는 9세기 혹은 10세기 초에는 앞 시대보다 석탑의 크기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는데, 이런 흐름과 달리 드물게 규모가 큰 편이라 그 가치가 주목된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된 경주 미탄사지 삼층석탑이 체계적으로 보존 관리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소유자(관리자등과 적극적으로 협조할 계획이.

 

□ 종 별: 보 물

□ 문화재명: 경주 미탄사지 삼층석탑(慶州 味呑寺地 三層石塔)

□ 지정내용

ㅇ 소 재 지: 경북 경주시 구황동 433-4 외 2필지

ㅇ 양 식: 삼층석탑

ㅇ 수 량: 1기

ㅇ 조성연대: 신라 시대

ㅇ 소유자(관리자): 국유

ㅇ 지정면적: 171.88㎡  

□ 지정사유

ㅇ 이 탑이 위치하고 있는 미탄사지는 통일신라 시대 왕경 내에 형성된 도시가람(伽藍사찰)으로 지리적 입지 상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사찰일 가능성이 높다. 이는 왕경의 중심적 위치에 자리하고 있고 문헌자료와 발굴된 유물로 확인이 되고 있는데 발굴조사 과정을 통해 미탄(味呑)명 기와가 수습됨으로써 삼국유사에 기록된 미탄사가 이곳임이 밝혀졌고추정 금당지 및 강당지를 비롯해 남문지등 사역의 일단이 확인된 바 있다.

ㅇ 미탄사지 삼층석탑은 6.12m의 규모로총 35매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1980년 이전까지는 도괴로 인하여 기단부와 탑신부의 일부 부재가 소실된 채로 방치되어 있었으나 1980년에 남은 부재들을 모아 복원을 하였으며소실된 부재는 새로운 부재를 치석하여 조립하였다이때신라석탑 기초부의 형식 등이 파악되어 아직까지 신라석탑의 기초부를 논할 때 이를 근거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ㅇ 비록 파손 및 결손된 부재를 신재로 보강 및 보충하여 신재와 구재 간 이질감이 있지만이 탑은 최초로 기초부 조사를 실시한 석탑이며 또한그 형태가 정연하고 적절한 비례감을 지니고 있어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크다.

ㅇ 또한이 석탑은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석탑양식이 변화되는 모습으로 과도기적 요소를 지니고 있는 석탑이다이 석탑이 제작된 것으로 짐작되는 9세기 혹은 10세기 초에는 앞 시대에 비하여 석탑의 크기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는데이런 흐름과는 달리 비슷한 시기의 작품에 비해 드물게 규모가 큰 작품이어서 가치가 주목된다전체적으로 보아 이중기단으로 체감률의 비례가 적절하여 장중한 느낌이 드는 우수한 작품이다.

ㅇ 특히일반적인 석탑의 판축기법과 달리 잡석과 진흙을 다져 불을 지피는 방식으로 한 단이 완성될 때마다 굳히면서 쌓아나가는 기초부의 판축 축조 방식이나 기단부 적심 내의 지진구 출토 등에 있어서 특이하고 학술적인 가치가 있는 새로운 자료를 지니고 있어서 한국석탑에 관한 연구에 실증적 자료로서 그 가치가 더욱 크다.

<글.사진출처 : 문화재청>

 

경주 미탄사지에서 대형 금당지와 토제 나한상 발견

불교문화재연구소(소장 각림스님)는 문화재청(청장 변영섭)의 허가를 받아 발굴조사를 하는 경상북도 경주 미탄사지 유적 시굴조사 현장보고회를 문화재청 관계자와 문화재위원,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오는2013년 7월 4일 오후 2시 발굴 현장에서 개최하였다.

시굴조사에서 금당(金堂, 절의 본당)으로 추정되는 정면 8칸(적심 간격 5m, 퇴칸 3.5m)×측면 4칸(적심 간격 3m), 건물의 길이가 약 37m에 이르는 대형 건물지를 발견하게 되었다. 적심은 지름 1.5m 규모이며, 기단이 3면에서 확인되고, 2차례 이상 중건된 것으로 판단된다.

사찰의 동남편 건물지에서 출토된 토제 나한상(土製 羅漢像)은 하반신이 결실(缺失)되었으나 왼쪽 어깨에 가사를 걸치고 우측 손을 뒷머리에 댄 채 탄식하며 절망하는 듯한 표정이 매우 생동감 있게 표현되어 흥미롭다. 이와 같은 나한상은 일본 호류지(法隆寺) 오층목탑 1층 내부의 열반석가상 앞에서 통곡하는 제자상과 매우 유사한 표정을 짓고 있어 주목된다.

미탄사(味呑寺)는 황룡사 남쪽에 위치한다고 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있어 고려 후기까지 유지된 것으로 추정되며, 문지(門址)도 2차례 이상 중건된 것으로 확인된다.

이 사업은 전국의 폐사지(옛 절터) 중에 보존관리와 활용가치가 큰 절터를 대상으로 한 학술조사와 정비사업의 하나로 문화재청이 지원하고 (재)불교문화재연구소가 2013년부터 1차 5개년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출처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