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투리에 담긴 사랑
- 국립대구박물관 개관 30주년 특별전 -
원이 아버님께 올리는 편지
당신 늘 나에게 말하기를 둘이 머리가 세도록 살다가 함께 죽자고 하시더니, 그런데 어찌 하여 나를 두고 당신 먼저 가셨나요?
나와 자식은 누가 시킨 말을 들으며, 어떻게 살라고 다 던져버리고 당신 먼저 가셨나요?
당신은 날 향해 마음을 어떻게 가졌으며 나는 당신 향해 마음을 어떻게 가졌던가요?
나는 당신에게 늘 말하기를, 한데 누워서, “여보, 남도 우리같이 서로 어여삐 여겨 사랑할까요? 남도 우리 같을까요?”라고 당신에게 말하였더니, 어찌 그런 일을 생각지 않고 나를 버리고 먼저 가시나요?
당신을 여의고는 아무래도 난 살 힘이 없으니 빨리 당신에게 가려 하니 나를 데려 가세요.
당신을 향한 마음은 이승에서 잊을 수가 없으며, 아무래도 서러운 뜻이 끝이 없으니 이내 마음은 어디에다 두고, 자식 데리고 당신을 그리워하며 어찌 살 수 있을까 생각합니다.
이내 편지 보시고 내 꿈에 자세히 와 말해 주세요. 꿈속에서 이 편지 보신 말 자세히 듣고 싶어 이렇게 편지를 써서 넣습니다. 자세히 보시고 내게 일러 주세요. 당신 내가 밴 자식 나거든 보고 살 일 하고 그리 가시되, 그 밴 자식 나거든 누구를 아버지라 부르게 하시나요?
아무래도 내 마음 같을까요?
이런 천지가 온통 아득한 일이 하늘 아래 또 있을까요?
당신은 한갓 그 곳에 가 있을 뿐이니 아무래도 내 마음같이 서러울까요?
한도 없고 끝이 없어 다 못 쓰고 대강만 적습니다.
이 편지를 자세히 보시고 제 꿈에 와서 보이고 자세히 말해 주세요.
저는 꿈에서 당신 볼 것을 믿고 있어요.
한꺼번에 와서 보여 주세요.
사연이 너무 한이 없어 이만 적습니다.
병술 유월 초하룻날 집에서 아내가
이응태 묘 출토 미투리(李應台墓出土 미투리)
경상북도 안동시 정상동에서 출토된 조선 중기 미투리.
1998년 4월 이응태(李應台, 1556~1586) 무덤에서 애절한 필치로 쓴 원이엄마의 편지와 머리카락으로 삼은 미투리가 출토되었다. 이들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다큐멘터리저널 『내셔널지오그래픽』, 고고학 잡지 『엔티쿼티』와 중국의 국영 텔레비전 CCTV-4 등을 통해 소개되었다.
1998년 4월 안동대학교 박물관에서는 경상북도 안동시 정하동 택지개발 계획에 따라 고성이씨 집안의 이름 모를 무덤을 발굴하였다.
무덤 발굴 시 단단한 회곽(灰槨) 안에서 나뭇결이 생생히 살아 있는 외관이 모습을 드러냈다.
무덤의 주인은 키 180㎝ 정도의 건장한 남자로 장례 당시의 염습(殮襲)한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었다. 또한 원이엄마의 편지 만사(輓詞), 형이 쓴 만시(輓詩), 부채에 쓴 한시(漢時), 미투리, 장신구 등이 수습되었다. 이를 보존처리하고 형태를 복원하여 1998년 9월 ‘450년 만의 외출’이란 제목으로 제4회 안동대학교 박물관 특별전시회가 열렸다.
『안동 정상동 일선문씨와 이응태묘 발굴조사 보고서』는 그 연구 결과물이다. 현재 미투리는 안동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응태 묘 출토 미투리는 삼과 머리카락으로 삼았다. 이장을 하기 위해 관을 해체했을 때 망자의 머리맡에 한지로 정성껏 싼 물건이 놓여 있었는데 그것이 바로 미투리였다.
미투리를 싼 한지에 적은 글씨로 미루어 보아 부인이 자신의 머리카락을 잘라 남편을 위해 미투리를 삼은 것으로 짐작할 수 있는데 결초보은(結草報恩)하는 마음이 담긴 듯했다.
신바닥은 삼을 꼬아 만든 신날에 삼과 머리카락으로 바닥을 짰다.
바닥은 발을 편하게 하기 위해서 두툼하게 짰는데 까칠한 삼보다 부드러운 머리카락을 많이 사용하여 착용감을 좋게 했다.
발등에 걸치게 되는 앞총날과 앞코, 그리고 뒤축은 튼튼하게 하기 위해 머리카락을 쓰지 않고 삼을 꼬아 사용하였다.
앞총날과 뒤총날에는 까칠한 삼 표면에 의해 발이 상처를 입지 않도록 한지를 감아서 마무리했다.
신총은 발가락과 앞발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미투리는 대개 앞코를 기준으로 한 편에 25~35개 정도가 되게 하여 한 짝에 50~70개 정도로 아주 조밀하게 삼으나, 이 미투리는 한 편에 9개씩 한 짝에 18개의 신총을 엮었다.
신바닥을 이루고 있는 신날은 삼을 꼬아 4날 미투리를 짰다.
짚신보다 더 고급인 미투리의 경우 신날은 대개 6날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 미투리는 4날로 했고 신총도 18개로 이루어져 있어서 실제로 신기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삼을 가늘게 꼰 줄 2가닥을 준비한 다음 이것을 반으로 접어 4줄로 하여 신날을 삼았다.
삼 줄이 늘어지지 않게 잡아당긴 다음 바깥 줄은 미투리의 외형을, 안쪽은 신바닥의 골격을 잡아줄 신날로 사용했다.
신바닥을 이룰 신날이 갖추어지면 삼과 머리카락을 섞어가면서 미투리의 바닥을 앞쪽에서부터 짰다.
신바닥을 뒤축까지 완성하면 신날 4가닥을 반으로 나누어 2줄씩 합친 다음 삼으로 탱탱 감아 흐트러지지 않게 한 다음 뒤축으로 사용했다.
두 가닥으로 뒤축을 완성한 다음 양쪽으로 갈라서 뒤총날로 삼고 다시 앞으로 돌려 올개총에서 앞총날과 같이 묶어서 미투리를 완성했다.
미투리의 앞부분은 미리 준비해 둔 삼줄(앞총날)로 신총의 끝을 왼쪽부터 시작하여 한 가닥씩 차례로 쇠바늘로 꿰어 오른쪽까지 꿴 다음 미투리의 가운데에 만들어놓은 올개총에서 뒤총날과 함께 단단하게 묶어서 완성했다. 이렇게 완성한 미투리의 앞총날과 뒤총날을 한지로 감아서 마무리했다.
미투리는 짚신이 가지고 있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짚이 아닌 다른 재료를 가지고 짚신과 같은 형태로 삼은 신발을 말한다.
재료는 주로 삼, 닥나무, 칡넝쿨, 왕골, 면사 등을 이용해서 정교하게 만들었다.
미투리는 짚신과 함께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신발이었지만 값이 워낙 비싸서 가난한 서민들은 잘 신을 수도 없었다.
짚신은 만들기도 쉽고 시간도 많이 걸리지 않아서 값도 쌌지만 미투리는 만들기도 어렵고 시간도 많이 걸렸으며 값도 짚신 열 켤레 값은 줘야 살 수 있을 만큼 비쌌다.
이응태의 묘에서 발굴된 유품 중 남편의 머리맡에서 나온 미투리를 통해 이응태 부부의 애틋한 사랑을 짐작할 수 있다.
미투리를 싸고 있던 한지가 훼손되어 내용을 모두 알 수는 없었지만 ‘이 신 신어 보지도 못하고…’ 라는 내용으로 보아 병석에 누운 남편을 위해 자신의 머리카락으로 신을 삼았으나 신어 보지도 못하고 죽자 미투리를 남편과 함께 묻어준 것으로 짐작된다.(출처 : 한국학중앙연구원-향토문화전자대전)
이응태 묘 출토 복식(李應台墓出土服飾)
경상북도 안동시 정상동에서 출토된 조선 중기 복식 유물.
1998년 경상북도 안동시 정상동에서 택지 조성을 위해 고성이씨 문중 묘를 이장하던 중 일선문씨 묘가 발견되었고, 20여 일 후 손자인 이응태(李應台, 1556~1586)의 묘가 발굴되었다.
이응태의 묘에서는 총 75점의 유물이 수거되었다. 수의로 저고리와 바지에 철릭을 입고 있었으며, 소렴의(小殮衣)와 대렴의(大斂衣)에는 단령, 직령, 액주름 등의 겉옷과 저고리, 바지류와 함께 여성용 장옷과 동자(童子) 상의가 있었다.
옷감의 재료로는 소박한 마포나 저마, 면포, 면주 등이 사용되었다. 이 묘에서는 옷 외에도 여러 점의 편지가 출토되었고, 이와 함께 머리카락과 마(麻)를 섞어 짠 미투리도 출토되어 무연고로 알려졌던 무덤의 주인이 이응태임이 밝혀졌다. 특히 이응태의 가슴 부분에서 발견된 원이엄마 편지에서는 죽은 남편을 떠나보내는 아내의 안타까운 심정이 드러나 많은 화제를 불러 일으켰다.
이후 묘가 출토된 안동시 정상동에 원이엄마 동상이 세워졌고, 편지를 바탕으로 한 소설과 오페라가 나오기도 했다.
조선 전기 남성은 여성과 동일한 형태의 바지를 속옷으로 착용하였다. 관 속에 동자 상의와 장옷, 여성 저고리 등 부인과 아이의 옷을 넣는 수례(襚禮)의 관행이 있었다.
수의를 입힐 때는 산 사람과 같은 방식인 우임(右衽)으로 옷을 입혔으나, 소렴과 대렴 단계에서는 왼섶을 위로 가게 여몄으며(좌임) 고름을 묶지 않았다.
형이 동생에게 남긴 시, 동생의 죽음을 슬퍼하며 지은 글, 아버지가 아들에게 보낸 편지, 원이엄마의 편지 등은 16세기 후반 국어의 모습과 안동 지방 양반의 관심사, 혼인 풍습 등을 연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출처 : 한국학중앙연구원-향토문화전자대전)
'대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롱이. 가죽감티. 설피(태왈)를 아십니까! (0) | 2024.05.17 |
---|---|
한국의 신발. 발과 신(국립대구박물관 개관 30주년 특별전) –죽은 이을 위한 신발- (0) | 2024.05.17 |
2024POWERFUL DAEGU FESTIVAL 대구시립무용단 & DJ ANOMY-Everyone, come on here! 다함께- (0) | 2024.05.13 |
아름다운 도약 비상하는 대구. 2024 파워풀대구페스티벌 -경연 퍼레이드- (0) | 2024.05.11 |
대구 중구 계산동 '뽕나무 골목' (0) | 2024.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