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경주/경주인근자료

감산사지

노촌魯村 2007. 3. 24. 22:35

 새로 지은 감산사

괘릉에서 동쪽 골짜기를 향하여 1km정도 거슬러 올라가면 넓은 대지 위에 감산사지가 있다. 감산사는 719년(성덕왕18) 중아찬 김지성이 감산에 있는 장전을 희사하여 아버지 인장 일길간과 어머니 관초리 부인의 명복을 빌고, 국왕과 그 일족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하여 창건하였다. 창건 후 어머니를 위해서 미륵보살상 1구를 아버지를 위해서 아미타불상1구를 조성하였다.그러나 그뒤의 역사는 전하지 않는다. 1915년에 한 일인에 의해 발견된 아미타불상과 미륵불상 2구는 서울 중앙박물관으로 옮겨 보관하고 있다. 현재 경내에는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95호인 감산사지삼층석탑 1기 외에 석조비로자나불 1구가 보관되어 있을 뿐 별다른 유물은 발견되지 않고 있다.

이곳에서 발견되는 기와들을 보면 절집은 고려시대까지 계속되었던 것으로 여겨지며 사지는 남북으로 길게 차지하고 있다. 3층석탑은 도괴되었던 것을 1965년 복원한 것이다. 현 사지에서 볼 때 금당지로 추정되는 곳에 법당을 마련하고 그 안에 석불좌상이 안치되어 있다. 법당은 남향을 하였으며 전면에 석등대석과 석탑이 있다.

금당지 북쪽에는 추정 강당지가 있으며 계곡 건너 맞은 편 구릉에도 쓰러진 석탑이 남아 있어 또 하나의 사찰 또는 감산사의 부속건물이 있었을 가능성을 말해주고 있다. 이외에도 감산사지에서 발견된 안상 내에 십이지신상을 조각한 석재 4편이 언젠가 국립경주박물관으로 옮겨 보관되고 있다.(신라문화진흥원)

 

 감산사지 맷돌

 감산사지 비로자나불

 감산사지 비로자나불

 감산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18호)

이 불상은 무릎의 폭이 넓고 당당하다. 두 손이 없어졌지만(현재 보완) 그 자세로 보아 지권인이라는 것을 확실히 알 수 있어서 석조비로자나불이다. 머리는 마모가 심하지만 머리카락은 나발로 표현하고, 앞가슴에 아래쪽으로 띠매듭을 조각하였다. 다리는 결가부좌하고, 광배와 대좌는 잃어버렸지만 최근에 보완하였다. 현재는 새로 조성된 감산사의 대적광전에 주존으로 모셔져 있다.(경주시)

 감산사지 비로자나불

2019.5.1 촬영

2019.5.1 촬영




 감산사지 삼층석탑

감산사의 옛 터에 남아있는 탑으로, 무너져 있던 것을 1965년 다시 세웠다.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통일신라시대의 일반적인 석탑 양식이나, 현재 탑신의 2·3층 몸돌은 없어진 상태이다. 탑의 일부분을 잃어버려 원래의 모습을 볼 수 없음이 아쉽지만 통일신라시대의 일반적인 석탑 양식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2019.5.1 촬영

  

 감산사지 석등대석

감산사지 석조아미타불입상(국보 제82호) 

 8각 대좌와 거신광배를 한 돌로 조성한 상인데, 불신은 정면으로 꼿꼿이 서 있다. 보발은 나발인데 육계가 큼직하고, 얼굴은 단엄하다. 목에는 삼도가 있고, 법의는 두 어깨에 걸쳐 윗몸에서는 반원을 그리다가 아랫몸에 이르러 두 다리에 따로 타원을 그린다. 옷주름이 드리워져 있어 통일신라시대 불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동심타원형 의문(衣文)>의 선구(先驅)를 이루고 있다. 법의(法衣)의 왼쪽과 아래끝에서 약간의 습벽을 나타내어 고태를 보여 주고 있으며, 오른손은 올리고 왼손은 내려 설법인을 결하고 있다. 좌대 각면에는 안상 1좌를 새기고, 위에는 복판 연화를 큼직하게 조각하였으며, 다시 간략하고 큼직한 단판 연화의 앙련좌를 두는 등 고식이 엿보인다. 거신의 후광은 두광과 신광을 2줄의 양선으로 구분하며, 신광부에는 그 사이에 화형을 조각하고 가장자리에 화염문을 돌려 놓았다. 광배뒷면에는 명각(銘刻)이 있어 조상(造像) 연대와 유래를 알 수 있는 점에서 더욱 중요하다. 이 상은 원위치에서 1915년 중앙박물관에 옮겨 놓았다(문화재정보센터) 

감산사지 석조미륵보살입상(국보 제 81호) 

석조미륵보살입상은 머리에 화려하게 장식된 관(冠)을 쓰고 있으며, 얼굴은 볼이 통통하여 원만한 인상이다. 목에는 2줄의 화려한 목걸이가 새겨져 있고, 목에서 시작된 구슬 장식 하나가 다리까지 길게 늘어져 있다.
왼쪽 어깨에 걸치고 있는 옷은 오른쪽 겨드랑이를 지나 오른팔에 감긴 채 아래로 늘어져 있다. 허리 부근에서 굵은 띠장식으로 매어 있는 치마는 부드러운 곡선을 그리면서 발목까지 내려오고 있다. 몸에서 나오는 빛을 상징하는 광배(光背)는 불꽃무늬가 새겨진 배(舟) 모양이며, 3줄의 도드라진 선으로 머리광배와 몸광배를 구분하였다. 불상이 서 있는 대좌(臺座)는 하나의 돌로 만들었는데, 맨 아래가 8각이고, 그 위에는 엎어 놓은 연꽃무늬와 활짝 핀 연꽃무늬를 간략하고 큼직하게 새기고 있다.
광배 뒷면에는 신라 성덕왕 19년(720)에 불상을 조각하였다는 기록이 새겨져 있는데, 이 글을 통해서 만들어진 시기와 유래를 알 수 있다. 돌로 만들었음에도 풍만한 신체를 사실적으로 능숙하게 표현하고 있어 통일신라시대부터 새로이 유행하는 감각적이고 관능적인 보살상의 이미지를 살리고 있는 작품으로 평가된다(문화재정보센터)

감산사지 북편 신계리 폐탑

 감산사지 북편 신계리 폐탑

 감산사지 북편 신계리 폐탑

현황 : 토함산 남단의 남월산 서쪽에 위치한 절터로 신라 제33대 성덕왕 18년(719) 중아찬 김지성이 국왕과 개원공(문무왕의 동생), 양부모, 전후처, 제매 등 일가의 명복을 빌기 위해서 세운 절이다. 금당 앞에 세워진 삼층석탑 1기는 도괴되어 있던 것을 1965년 중건하였다. 높이 1.83m의 감산사지 석조미륵보살입상(국보 제81호)과 높이 1.74m의 감산사지 석조아미타여래입상(국보 제82호)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현재는 석등대석 등 일부가 남아 있다(경주시사3)

'경주 > 경주인근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무왕릉  (0) 2007.03.26
마동사지 삼층석탑  (0) 2007.03.26
경주 간묘(慶州 諫墓)  (0) 2007.03.24
효소왕릉과 성덕왕릉  (0) 2007.03.24
신문왕릉  (0) 2007.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