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2024/06/10 2

첨백당(瞻栢堂)과 광복소나무

"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첨백당(瞻栢堂. 대구광역시 동구 도평로116길 192-7(지번)평광동 979)첨백당은 대구 동구평광동 단양우씨 문중의 재실이다. 조선 후기의 선비 용강(龍岡) 우명식(禹命植)의 절의와 그의 증손자인 우효중(禹孝重)의 효행을 기리고 추모하는 재실이다. 첨백당은 선조인 우명식의 묘소가 있는 ‘백밭골[백전곡(栢田谷)]을 우러러보는 집’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첨백당은 1896년(고종 33)에 세워졌다. 그 후 1920년부터 1923년에 걸쳐 중수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첨백당은 정면 5칸, 측면 1.5칸 규모의 홑처마 맞배지붕 건물로 좌우로 반 칸 규모의 누마루(다락처럼 높게 만든 마루)를 내고 부섭지붕(한쪽 면만 있는 지붕)을 달았다...

대구 2024.06.10

접시꽃(Hollyhock)

접시꽃(Hollyhock)학명: Alcea rosea분류 계 : 식물계(Plantae)분류군 : 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 속씨식물군(Angiosperms). 쌍떡잎식물군(Eudicots). 장미군(Rosids)목 : 아욱목(Malvales)과 : 아욱과(Malvaceae)속 : 접시꽃속(Alcea)종 : 접시꽃(A. rosea)언어별 명칭영어 : holly hock한국어 : 접시꽃중국어 : 蜀葵일본어 : タチアオイ(立葵)우리나라에서는 꽃이 접시 모양과 닮았다고 해서 '접시꽃'이라고 부른다.중국에서는 촉나라의 꽃이라는 의미에서 '촉규(蜀葵)'라고 부르고, 단오절에 꽃이 핀다고 하여 '단오화(端午花)'라고도 부른다. 일본에서는 줄기가 곧게 세워져 있는 꽃이라고 해서 '타치아오이(タチアオイ, ..

기타/꽃 2024.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