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2025/03/19 5

홍학꽃(안스리움 Anthurium)

천남성목 천남성과 안스리움속(안수리움속)의 식물이다. 아메리카 열대 지역이 원산지로, 많은 종이 관엽식물이다. 꽃이 화려하고 오래 피는 일부 종이 관상식물로 유통되고 있다. 관상용으로는 홍학꽃(Flamingo flower)이라 불리는 안드래아눔안스리움(A. andraeanum)과 스케르제리아눔안스리움(A. scherzerianum)을 주로 재배한다. 일산화탄소, 휘발성 유해물질, 암모니아 등의 제거 능력이 있어 공기정화식물로도 인기가 있다.

기타/꽃 2025.03.19

불수감(佛手柑. Citrus medica var. sarcodactylus)

불수감은 시트론의 변종이며, 열매가 성숙해 가는 도중 심피가 분리되면서 기다랗고 구불거리는 모양을 형성한다. 그 형태가 마치  부처의 손가락을 닮았다고 해 불수감(佛手柑)이라 불린다.열매의 모양새가 매우 특이한 데다가 과육도 별로 없어서 관상용 식물로 많이 쓰인다.열매는 주로 건조시켜서 한약재로 쓰인다. 향기가 좋아 담금주, 차로 마시기도 하고, 기름을 채취해 방향제 원료로 사용하기도 한다.중국에서는 불수감의 불(佛)이 복(福)과 발음이 유사하여 복의 상징으로도 여겨진다.

기타/꽃 2025.03.19

촛대초령목

촛대초령목 : 목련과. 상록환렵관목으로 중국 아열대 지방이 원선지이다. 4월에 피는 연황색 꽃이 향기가 강하여 저원의 관상식물로 인기가 있다. 촛대초령목은 ‘촛대’와 ‘초령목(招靈木)’이란 단어가 합쳐진 이름으로, ‘촛대’는 꽃이 지고 나서 열매를 맺는 과정에 촛대모양으로 씨방이 위로 올라온 모습에서 연유되었다, ‘초령목’은 한자 이름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혼령을 부르는 나무란 뜻으로 꽃향기가 진해서 영혼, 귀신까지불러 온다고 믿어 붙여졌다.

기타/꽃 2025.03.19

극락조화(極樂鳥花. bird-of-paradise flower)

극락조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스트렐리트지아속에는 5종이 있는데 모두 아프리카 남부지방이 원산지이다. 꽃형태가 '극락조'라는 새와 닮았으며,  열매는 검게 익는다. 1m 내외로 자라며 뿌리가 크고 굵으며 줄기는 없다. 잎은 길쭉한 타원형으로 길이 40cm, 폭 15cm 정도이다. 꽃대는 잎과 비슷한 높이로 자라고 녹색 포 안에 6~8송이의 꽃이 주황색, 청색으로 6~7월에 핀다.

기타/꽃 2025.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