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경상북도/의성

고운사

노촌魯村 2009. 4. 5. 22:31

 

 등운산 고운사

 일주문

 일주문의 조계문 현판

 일주문의 등운산 고운사 현판

 일주문의 기둥(비툴 비툴한 기둥이 아주 멋짐)

 

 

 천왕문

 천왕문 현판

 천왕문 내의 사천왕상

 

 고불전

 고불전 내의 석불

 가운루

 

 가운루 현판

 가운루의 내부

 가운루 내부의 가운루 현판

 가운루 밑의 디딜방아

 종각

 고운사 삼층석탑

 

 

 

 고운사 삼층석탑의 제일기단(면석에 안상문양이 희미하게 남아 있음)

 옛 대웅전 현재는 나한전

 

 나한전 내부 석가모니불

 고운사 요사와 선원

 대웅보전

 

 연수전

 연수전 출입문인 만세문 현판

 

 연수전

 연수전 현판

 연수전의 벽화는 퇴색되였지만 예전의 모습을 상상할 수 있다.

 

 

 

 

 

 약사전(내부에는 약사여래불이 아니고 곤운사석가여래좌상을 모셔다.)

 

 고운사 석조석가여래좌상

 

 명부전

 명부전 지장보살

 명부전 시왕

 명부전 시왕

 아거각. 적묵당

 삼성각

 삼성각 내부

 삼성각 칠성탱화

 삼성각 나반존자

 삼성각 산신탱화

 

 극락전

 극락전 아미타불

 

 극락전 만덕당 마루에서 본 등운산(물에 뜬 반쯤 핀 연꽃 형상이라 함)

 무설전

 우화루(우화루에는 호랑이 벽화가 있는데 사람의 움직에 따라 호랑이의 눈이 움직인다 함. 현재 우화루 호랑이 벽화는 모사품이고 원본은 식당 입구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호랑이 벽화 원본

 

 

 

 

 고운사 입구에 있는 비로자불과 의상법사의 법계도에 따라 보행하도록 정원을 조성

 

 

 비로자나불

 

 

 의상법사 법계도

의상(義湘)

625∼702년 생존. 신라 출신의 스님. 해동(海東) 화엄의 초조(初祖)라고 불릴 만큼 화엄종의 대가로 꼽힌다. 김한신(金韓信)의 아들로 태어나서 29세 되던 해 황복사(皇福寺 경주 낭산 북쪽)에서 출가했다. 661년경에 배를 타고 당 나라 양주(揚州)에 도착하여 고승 지엄(智儼) 문하에 들어가서 수학한 뒤 670년에 귀국하였다. 지엄 스님에게서 의지(義持)라는 호를 받았으며,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를 지어서 화엄 사상의 핵심을 요약하기도 하였다. 그의 저술로는 4권 4편, 총 8부(部)의 문헌이 남아 전한다. 부석존자(浮石尊者), 의지원교국사(義持圓敎國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