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도文字圖.紙本彩色/8폭.20세기前半.경산시립박물관
잉어 : 중국 진晉나라 때 왕상王祥이라는 사람이 그의 계모를 위해 한겨울에 얼음을 깨고 잉어를 잡으려 하자, 얼음이 깨지면서 잉어가 튀어 올라 어머니께 드렸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죽순 : 중국 오吳나라 사람 맹종孟宗이 한겨울에 그의 어머니를 위해 죽순을 구해와 봉양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부채 : 중국 한漢나라 사람인 황향黃香은 효성이 지극하여 더울 때 부모가 누워 계시는 베개에 부채질을 하여 시원하게 해 드렸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거문도 : 중국의 고대 순舜 임금은 효심이 지극했는데, 순임금은 평소 음악을 좋아하고 거문고를 잘 탔다고 한다. 거문고는 순임금의 효심을 상징한다.
귤 : 중국 오吳나라 사람 육적陸績이라는 자가 어릴 때 대접받은 귤을 먹지 않고 어머니를 드리기 위해 가슴에 품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할미새 : <시경詩經>에 나오는 구절에서 유래하였다. 할미새는 다소 호들갑스럽게 보이는데 이것이 어려운 일을 당했을 때 바쁘게 움직여 서로 돕는 형제애에 비유하였다.
산앵두나무 : 이 나무는 줄기가 길어 꽃이 아래로 늘여져 함께 모여 피는데, 이러한 모양이 형제간의 우애있는 모습에 비유하였다.
잉어. 용 : 중국 황하의 용문협곡에서는 매년 봄 잉어들이 급류를 뛰어오르는데, 성공하여 협곡을 통과하면 용이 된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이를 선비들이 과거에 합격하여 벼슬에 오르는 것에 비유하였다. 잉어와 용은 벼슬에 오른 선비가 나라를 위해 충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새우. 조개 : 새우와 조개의 등은 딱딱한 껍질로 이루어져 있어 굳은 충절을 의미한다.
대나무 : 대나무는 굽지 않고 곧게 자라므로 곧은 절개를 상징한다.
신(
청조靑鳥 : 머리는 사람이고 몸통은 새의 형상을 가진 상상의 새로 중국 고대 서왕모西王母 설화에 등장한다. 소식을 전하는 편지를 입에 물거나 목에 걸고 있는데, 이 편지가 사람과 사람 사이의 믿음을 상징한다.
흰기러기 : 중국 한漢나라 때 소무蘇武라는 사람이 흉노에 사신으로 갔다다 억류되었는데, 이 사실을 흰기러기가 편지로 전달해 알렸다고 한다.
거북이. 책 : 중국 하夏나라 때 우禹왕이 거북이 등에 쓰여진 글을 보고 천하를 다스리는 아홉가지의 법을 만들었다고 한다. 이 법 가운데 예禮의 기본이 되는 삼덕三德이 나운다. 이것에 유래하여 거북이가 예를 상징하는 동물로 인식되고 있다.
의(義) 의리
복숭아꽃 : 삼국지의 유비, 관우, 장비가 복숭아 나무 밑에서 의리를 다진 도원결의桃園結義를 상징한다.
물수리. 연꽃 : <시경詩經>의 시에서 유래한 것으로 물수리는 부부간의 의義를 상징한다. 물수리는 연못에 자주 날아들므로 연꽃을 함께 그린다.
봉황 : 봉황은 살아있는 벌레를 먹지 않으며, 오동나무가 아니면 앉지 않고, 대나무 열매가 아니면 먹지 않는 성푸이 있는데, 이러한 습성이 남의 것에 욕심내지 않고 자신의 도리를 지키는 청렴함으로 비유되고 있다.
게 : 중국 송대의 성리학자 주돈이는 청렴하여 관직에 연연하지 않고 나아감과 물러남이 분명했는데, 이를 게의 움직이는 모습에 비유한데서 유래하였다.
수양산 달. 매화 : 백이와 숙제는 은殷나라를 치고 주周왕조를 세운 것을 부끄럽게 여기고, 절개를 지키기 위해 수양산에 은거하다 굶어 주었다. 또 수양산에 숨어 살면서 달과 매화를 가까이 하였다. 그래서 백이와 숙제가 살았던 수양산과 늘 가까이했던 달.매화가 부끄러움을 상징하게 되었다.
충절비. 누각 : 백이.숙제의 절개있는 충절을 의미하는 상징물로 그려지고 있다.
'경상북도 > 경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산산전동분청사기요지(慶山山田洞粉靑砂器窯址) (0) | 2017.11.26 |
---|---|
5~6세기 신라 지방(옛 압독국 지역)의 지배층 추정 고분 발굴 (0) | 2017.06.23 |
상례喪禮, 슬픔을 함께 나누다(경산시립박물관 특별전) (0) | 2016.08.22 |
경산 원효암 마애여래좌상(慶山 元曉庵 磨崖如來坐像) (0) | 2016.08.21 |
경산 은호리의 스토로마톨라이트화석(慶山 隱湖里의 stromatolite화석) (0) | 2016.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