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릉계곡선각여래좌상(三陵溪谷線刻如來坐像.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59호.경북 경주시 남산순환로 341-126 (배동) )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 삼릉계곡에 있는 높이 10m가량 되는 바위에 새겨진 앉아 있는 모습의 여래상이다. 이곳은 신라 아달라왕, 신덕왕, 경명왕의 큰 무덤이 있어서 삼릉계곡이라고 불리는 곳이다.
서쪽을 향하고 있는 불상은 몸은 모두 선으로 그은 듯이 새기고 얼굴만 도드라지게 표현한 독특한 조각수법을 보이고 있다. 이 불상은 고려시대에 새긴 것으로 추정되며 이런 유형의 불상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출처 : 문화재청)
선각육존불에서 등성이로 계속 200미터쯤 올라가면 높이와 너비가 각각 10미터쯤 되는 넓은 절벽바위가 서쪽을 향해 솟아 있다. 그 암벽 중앙에 지름 2.5미터쯤 되는 연꽃 위에 초전법륜인을 하고 앉아 계신 여래상이 있다. 몸체는 모두 선각으로 나타내고 얼굴만 깎아 내어 돋을새김으로 표현하였다. 두 눈썹과 눈은 아주 가깝고 코는 길고 입술은 두텁고 커서 균형 잡힌 얼굴이라 할 수 없으나 소박한 위엄이 있다. 광배는 두광과 신광을 모두 표현하였다. 연화대와 광배 등 중요한 선은 굵게 그었고 옷주름 같은 것은 가는 선으로 변화를 주었다. 상 전체에서 재주를 부리지 않은 소박함을 느낄 수 있는데, 머리위의 육계, 얼굴의 투박함, 귀부분 등 세련된 마무리가 안 되어 있어 미완성작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남산의 마애불 중 가장 늦은 10세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출처 : 경주시청)
부부바위와 삼릉계곡선각여래좌상(三陵溪谷線刻如來坐像)
여래좌상의 좌측옆의 바위는 부부가 안고 있는 모습같다고 하여 부부바위라 부른다.
삼릉계곡선각여래좌상(三陵溪谷線刻如來坐像) 앞 쪽에 있는 건들바위
'경주 > 남산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릉곡 제9사지 선각보살상(상선암 선각보살상) (0) | 2017.03.14 |
---|---|
삼릉계 선각마애여래상(미완성) (0) | 2017.03.14 |
경주남산입곡석불두 (慶州南山笠谷石佛頭) (0) | 2017.03.14 |
삼릉계곡선각육존불 (三陵溪谷線刻六尊佛) (0) | 2017.03.14 |
경주 남산 삼릉계 석조여래좌상 (慶州 南山 三陵溪 石造如來坐像) (0) | 2017.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