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경남

사천향교 (泗川鄕校)

노촌魯村 2018. 3. 11. 18:39


사천향교(泗川鄕校.시도유형문화재 제220호.경남 사천시 사천읍 선인리)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나라에서 지은 교육기관이다
조선 세종 3년(1421)에 세워 유교를 공부했던 곳이다. 세종 22년(1440)에 향교 관계자들의 거처인 치성재, 학생들의 거처인 동·서재, 공부하는 장소인 명륜당, 휴식공간인 풍화루를 새로 지으면서 이름을 ‘수학원학사서재’로 바꾸었다.
현종 5년(1664)에 안혜원이 유교진흥을 위해 성현들을 모시는 대성전을 세우면서 비로소 교육과 제사를 겸했던 향교의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여러 차례 보수했으며 현재는 동재를 없애고 풍화루를 폐쇄했으며, 외삼문을 통해 출입하게 하고 있다.
공부하는 곳인 명륜당이 앞에, 사당인 대성전이 뒤에 있는 전학후묘의 형태로 향교의 일반적인 배치를 따르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학생들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1894) 이후 제사만 지내고 있다(출처:문화재청)

사천향교는 사천읍 선인리 119번지 성전봉 기슭에 위치하고 있다. 당초의 향교터는 지금의 정동면 풍정리에 있었다고 전해오나 확실하지 않고, 다만 옛날의 고현지(옛 읍터)가 현 정동면 고읍리에 있었음을 감안할 때 추정이 가능할 뿐이다. 향교는 고려시대부터 조선에 계승된 지방의 학교로서 오늘의 중 · 고등학교에 해당된다. 일명 교궁 또는 재궁이라고도 하는데, 조선조에 이르러 교생을 가르치고 인재를 길러내기 위하여 부, 목, 군, 현 등 고을마다 1교씩 이른바 대설위, 중설위, 소설위 등의 3등급으로 나누어 큰 고을에는 교수 · 훈도 각 1명씩, 작은 고을에는 훈도만을 두었다.

사천향교는 ‘전학후묘형’의 소설위 향교로서 훈도(선생) 1명에 교생은 30명이었다. 다음 사천향교의 내력을 살펴보면, 세종 3년(1421)에 향학당 창건을 시초(전학)로, 같은 왕 22년(1440)에 치성재·동서양재·명륜당 등을 짓고 (후묘) 향교로서의 모습을 갖추었다고 한다. 그 후 세종 32년(1450)에는 풍화루를 지었으나 임진란 때 병화로 불타버리고 인조 23년(1645)에 다시 지금의 자리에 재건하였다. 그 후 여러 차례 중수를 거듭해오다가 1983년 8월 6일 도지정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대성전(문묘)에는 공자(孔子)를 정위로 하여 안자, 자사는 동무(동편)에, 증자, 맹자는 서무(서편)에 모두 5성을 모시고, 다음은 송조 2현과 우리나라 18현도 서열에 따라 동과 서로 나누어 각각 10현씩 위패(묘당·절 등에 모셔두는 나무 패)를 봉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향교는 먼저 학당이 생긴 후 문묘가 다음으로 설치되었다는데, 조선 중기 이후의 향교는 과거의 준비장으로 되어지다가 서원이 발흥하게 되자 점차 쇠퇴하였고, 고종 31년(1894) 말에 과거제도의 폐지와 함께 향교는 완전히 이름만 남아 지금은 문묘를 향사(제사)할 따름이다. 그리고 문묘향사와 건물관리를 위하여 전교(향교의 대표자)를 두고 있으며, 봄 · 가을 두 차례에 걸쳐 석전제라 하여 문묘제사를 지내고 있다.(출처:사천시청)


공자상


풍화루

명륜당

동재(東齋)

서재(西齋)

치성재

대성문

대성전

동무

서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