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경상북도/칠곡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漆谷 僊鳳寺 大覺國師碑)

노촌魯村 2018. 8. 12. 10:48

선봉사는 지금 비석이 자리잡고 있는 곳에서 남서쪽 200m 정도 떨어진 곳에 세워졌는데 임진왜란 때 사찰은 소실되고 이 비는 땅속에 묻혔다가 1922년 무렵에 발견되었다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漆谷 僊鳳寺 大覺國師碑. 보물 제251호.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숭오리 1435-1.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숭산로 275-209)

천태교를 수립한 대각국사(1055∼1101))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석비이다. 대각국사는 교장도감을 설치하고 중국 송나라와 일본의 서적을 교정·간행하여 『속장경』을 완성한 승려로, 교종과 선종을 통합하여 고려 불교의 융합을 실현하였다.
비의 형태는 네모난 받침돌 위에 비몸을 세우고 지붕돌은 얹은 모습으로, 받침돌에는 연꽃무늬를 새기고 지붕돌에는 덩굴무늬를 새겼다. 비문에는 대각국사가 문종의 넷째 아들로서 어머니는 인예대후이며, 자는 의천이라는 것과 천태교를 확립하는 과정 및 가르침 등이 실려있다.
고려 인종 10년(1132)에 세웠으며, 비문은 임존(林存)이 짓고, 승려 인(麟)이 썼다. 비문의 글씨는 가로획이 가늘고 세로획이 굵은 독특한 필체이다. 필력은 힘차고 짜임새는 가지런하다.(출처 : 문화재청)

경상북도 칠곡군 북삼읍 숭오리 숭산마을 북쪽 금오산 자락에 위치한 대각사라는 작은 암자 옆에 비각이 있다. 대각 국사비는 개성의 영통사(靈通寺)에도 1125년 세워진 1기가 남아 있다. 금오산의 대각 국사비는 대각 국사가 천태종을 수립한 시조임을 밝히기 위해 세운 것이고, 개성의 것은 증시(贈諡)를 위해 세운 것이다. 1천년에 가까운 세월이 흘렀어도 비문과 문양이 뚜렷하게 남아 보존상태가 양호한데, 비석의 재료가 백령도 부근에서 나는 바다 돌이기 때문이다.

바다 돌은 육지 돌과는 달리 철분이 적어 갈라짐과 부서짐이 없다고 한다. 그래서 대각 국사비에는 6·25전쟁 때 총에 맞아 부서진 자국을 제외하고는 말끔하다. 현재 비석이 서있는 곳에서 남서쪽 약 200m 떨어진 곳에 선봉사가 창건되고, 비는 지금 서 있는 곳에 세워졌는데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선봉사는 소실되었다. 비는 땅에 묻혀 있다가 1922년경 발견하게 되었다.(출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천태종의 시조로 불려진 고려11대 문종의 넷째왕자인 대각국사 의천(1055∼1101)의 공적을 찬양하기 위하여 인종10년(1132)에 건립한 석비이다. 고려시대에 건립된 것으로 귀부(龜趺:거북이모양으로 만든 비석받침대), 이수(이首:비석의 몸돌위에 얹은 덮개돌로 이무기나 용의 모습을 새겨 넣음)가 없으나 대석(臺石:받침돌)과 비신(碑身:비문을 새긴 돌), 개석(蓋石:뚜껑 돌)이 아름답게 조형된 것으로 유명하다.
비신을 받친 대석은 아름다운 연꽃무늬가 여러형태로 새겨져 있으며 비신의 위에는 당초문(唐草紋:여러가지의 덩굴풀이 꼬이고 뻗은 모양)이 새겨진 개석을 얹었다. 비신은 폭 1.2m, 두께 0.15m, 높이 2.34m이고 개석과 지대석의 높이는 각각 0.6m, 0.56m로 전체높이 3.5m의 큰 규모로 만들어진 비석이다. 비신상단에는 "천태시조 대각국사비명"이란 전서체로 새겨진 제액(비문에 새긴 글씨) 양 옆에는 봉황새 한 마리씩 날고 있으며, 비신둘레는 폭 8㎝가량으로 당초문이 새겨져 있다. 비신의 우측 비면에는 "남숭산 선봉사 해동천태시조 대각국사비명"이라고 쓰여있고 옆으로 비문이 시작되고 있는데 이 비문은 당대의 문장가 한림시독학사(翰林侍讀學士) 임존(林存)이 짓고 인(麟)이라는 스님이 글씨를 썼다고 기록되어 있다. 1000년에 가까운 세월이 흘렀어도 비문과 문양이 뚜렷하고 선명하게 남아있어 누구나 그 보존상태가 양호함에 놀란다. 그것은 비석의 재료가 백령도 부근에서 나는 바다돌 때문이라고 한다. 바다돌은 육지돌과는 달리 철분이 적어 갈라짐과 부서짐이 없다고 한다. 그래서 대각국사비에는 6.25전쟁시 총에 맞아 부서진 자국을 제외하고는 말끔하다. 현재 비석이 서있는 곳에서 남서쪽 약 200m 떨어진 곳에 선봉사가 창건되고 비는 지금 서 있는 곳에 세워졌는데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선봉사는 소실되고 이 비는 땅에 묻혀 있다가 1922년경 발견하게 되었다.(출처 : 칠곡군청)


비석의 형태는 지붕돌 60㎝, 비좌 56㎝, 비신 234㎝로 전체높이는 3.5m이며 폭 120㎝, 두께 15㎝이다. 팔작지붕 형태의 비각 안에 장방형의 받침돌과 비신, 지붕돌[옥개석] 형태의 비갓을 모두 갖추었다. 비좌는 장방형으로 측면에 앙련(仰蓮)과 복연(伏蓮)을 새겼고, 비갓에 전서체로 새겨진 제액(題額) 양 옆에는 봉황새 한 마리씩 날고 있으며, 비신 둘레는 폭 8㎝ 가량으로 당초문이 새겨져 있다. 비문은 전체 37행에 각 행 71자이며, 비문은 당대의 문장가였던 한림시독학사(翰林侍讀學士) 임존(林存)이 짓고, 승려 린(麟)이 글씨를 썼다고 한다.
(출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비신 상단에 “천태시조대각국사비명(天台始祖大覺國師碑銘)”을 전서로 쓴 제액을 중앙에 두고 양쪽에 봉황을 새겼다. 비명은 “남숭산선봉사해동천태시조대각국사비명(南嵩山僊鳳寺海東天台始祖大覺國師碑銘)”이다.


비신의 위에는 당초문(唐草紋:여러가지의 덩굴풀이 꼬이고 뻗은 모양)이 새겨진 개석을 얹었다


비신을 받친 대석은 아름다운 연꽃무늬가 여러형태로 새겨져 있다




 

      

 


 

대각국사비에는 6.25전쟁시 총에 맞아 부서진 자국을 제외하고는 말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