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경주/경주인근자료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慶州 掘佛寺址 石造四面佛像)

노촌魯村 2021. 4. 15. 21:31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慶州 掘佛寺址 石造四面佛像. 보물 제121호. 경북 경주시 동천동 산4번지)

경상북도 경주 굴불사터에 있는 이 불상은 바위의 서쪽에는 아미타여래불, 동쪽에는 약사여래불, 북쪽에는 미륵불, 남쪽에는 석가모니불을 각각 새긴 사방불(四方佛) 형태이다.

『삼국유사』 에 의하면 신라 경덕왕이 백률사를 찾았을 때 땅속에서 염불 소리가 들려왔다고 한다. 땅을 파 보니 이 바위가 나와서 바위의 사방에 불상을 새기고 절을 지어 굴불사라 하였다고 전한다. 이 기록만으로는 분명하지 않지만, 여러 가지 여건으로 보아 이때쯤 불상이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서쪽의 아미타여래는 신체만 돌기둥에 조각했고 머리는 따로 만들어 놓았는데 머리가 얼굴보다 크게 표현되어 꼭 모자를 쓴 것처럼 보인다.

신체는 당당하고 굴곡 있게 표현되어 있으며 손과 발 또한 사실적으로 조각되어 있다. 좌우에는 다른 돌로 보살입상을 세워 놓아서 3존불의 모습을 띠고 있다.

동쪽의 약사여래는 양 발을 무릎위로 올리고 앉아 있는데 몸 전체가 앞으로 숙여져 있다. 얼굴 표현은 매우 세련되었으며, 신체는 활기차고 긴장감이 넘쳐 보인다.

북쪽면의 오른쪽에는 도드라지게 새긴 보살입상이 서 있고, 왼쪽에는 6개의 손이 달려있는 관음보살을 얕은 선으로 새겼다. 오른쪽의 보살상은 둥글고 예쁜 얼굴, 굴곡 있는 우아한 자세 등 그 표현이 매우 뛰어나다.

남쪽면은 원래 3존상으로 되어 있었는데 일본인들이 오른쪽 보살을 완전히 떼어 가고 가운데 본존상의 머리마저 떼어갔다고 한다. 미래세계에 나타나 중생을 구제한다는 미륵불을 표현한 것인데, 굴곡이 진 신체의 모습과 얇은 옷주름의 묘사가 매우 뛰어난 솜씨를 자랑하고 있다.

이처럼 입체의 표현, 음각과 양각의 표현, 좌상과 입상의 표현 등을 변화있게 배치한 점은 매우 특이한 경우이다. 풍만하고 부드러우면서 생기를 잃지 않은 솜씨를 볼 때 통일신라 초기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는 작품이라 하겠다.(출처 : 문화재청)

              

일제강점기 : 굴불사지석불상 서쪽에는 아미타여래불 삼존상
일제강점기 : 굴불사지석불상 서쪽에는 아미타여래불삼존상
굴불사지석불상 서면 아미타여래 불두
서면 : 굴불사지석불상(아미타삼존불)
일제강점기 : 굴불사지석불상 서쪽에는 아미타여래불 우측 협시보살
일제강점기 : 굴불사지석불상 서쪽에는 아미타여래불 좌측 협시보살(관세음보살)
서면 아미타삼존불 중 좌측협시보살상(관세음보살)
서면 좌측협시보살상(관세음보살) 발의 모습
동면 약사불좌상
동면 약사불좌상
동면 약사불좌상. 북면 미륵불
동면 아미타여래불 : 약사여래는 양 발을 무릎위로 올리고 앉아 있는데 몸 전체가 앞으로 숙여져 있다
동면 약사여래불
남면 석가모니불, 동면 약사여래불
남면 석가모니불 : 원래 3존상으로 되어 있었는데 일본인들이 오른쪽 보살을 완전히 떼어 가고 가운데 본존상의 머리마저 떼어갔다고 한다.
북면의 부조상(향우)과 선각 11면 6비 관세음보살상(향좌)
북면
동면 약사여래불 앞의 주춧돌(성혈 ?? ...)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慶州 掘佛寺址 石造四面佛像) 주위의 꽃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