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경주/경주인근자료

금령金鈴(어린 영혼의 길동무) -1924년 금령총金鈴塚. 세상에 드러나다.-

노촌魯村 2022. 11. 27. 00:02

국립경주박물관 특별전 「금령金鈴, 어린 영혼의 길동무」 개최

1,500년 전 어느 어린 영혼의 발자취를 따라

- 국립경주박물관 특별전 「금령金鈴, 어린 영혼의 길동무」 개최 -

❍ 전시 개요

- “금령, 어린 영혼의 길동무”(특별전시관, 2022.11.22.(화)~2023.3.5.(일))

❍ 전시품: 금관, 금방울, 말 탄 사람 모양 주자 등 300여 점

※ 국가지정문화재: 말 탄 사람 모양 주자(국보), 금관(보물)

❍ 주최 : 국립경주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관장 함순섭)은 2022년 11월 22일(화)부터 2023년 3월 5일(일)까지 특별전시관에서 「금령金鈴, 어린 영혼의 길동무」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금관이 출토된 능묘 중 가장 작은 무덤, 허리춤에서 출토된 금령(금방울) 때문에 <금령총>이라는 이름을 얻은 신라 능묘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국립경주박물관의 금령총 재발굴 성과 집약

금령총은 일제강점기 22일 만에 조사를 완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당시로서는 드물게 충실한 발굴보고서가 발간되어 이후 신라 적석목곽묘(돌무지덧널무덤)의 구조를 제대로 이해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국립경주박물관은 이처럼 중요한 유적을 새롭게 조망하고자 2018년부터 2020년까지 3년에 걸쳐 발굴을 진행했다. 재발굴 결과, 금령총은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훨씬 큰 지름 30여 m의 무덤임이 밝혀졌다. 또한 호석 밖에서 출토된 제기祭器(제사에 쓰는 그릇)와 공헌물, 이를 담은 큰 항아리 등을 분석하여 당시 제사의 모습도 복원할 수 있었다. 이러한 조사 성과를 총정리하여 특별전에서 소개하고 그동안 감추어져 있던 유적의 가치를 새롭게 밝혔다.

새롭게 들여다보는 금령총 발굴 이야기

이번 전시는 ▲ 프롤로그 ‘금령총, 어떻게 알고 계십니까?’ ▲ 1부 ‘1924년: 금령총, 세상에 드러나다’ ▲ 2부 ‘내세로의 여정을 같이하다’ ▲ 3부 ‘2018년: 금령총, 다시 들여다보다’ ▲ 에필로그 ‘재발굴이 가져온 1,500년 만의 만남’ 등 다섯 개의 주제로 구성하였다.

▲ 프롤로그에서는 금령총을 둘러싼 기존의 인식을 소개하고, 금령총의 이름을 얻게 해준 작은 금방울을 선보인다. ▲ 1부 ‘1924년: 금령총, 세상에 드러나다’에서는 일제강점기 금령총 발굴품을 전시한다. 짧은 기간의 조사에도 불구하고 열차 칸 1량을 가득 채울 만큼 많았던 당시 발굴품 중에서 엄선하였다. 비록 크기는 작지만, 금관이 출토된 다른 무덤의 껴묻거리(副葬品)와 비교해 손색이 없다는 점에서 금령총 무덤 주인의 신분과 권위를 엿볼 수 있다.

▲ 2부 ‘내세로의 여정을 같이하다’에서는 무덤 주인이 누워 있던 관과 껴묻거리용 상자에서 확인된 유물을 소개한다. 금관(보물)과 금허리띠, 금가슴걸이, 금귀걸이, 금팔찌, 금반지 등 무덤 주인의 마지막을 화려하게 장식했을 복식품, 말 탄 사람 모양 주자(국보), 배 모양 그릇 등 무덤 주인을 위해 만든 각종 상형토기와 장식토기, 무덤 주인의 저승길에 동행자가 되었을 순장자들의 장신구 등으로 전시 공간을 꾸몄다. 목곽木槨 내부처럼 연출한 전시 공간에서는 유물의 출토 맥락을 직관적으로 느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재발굴 수습품인 흙 방울 소리로 만든 ‘토령가土鈴歌’(김신 작곡)와 함께 저승으로 향하는 무덤 주인의 여정을 영상에 담았다.

▲ 3부 ‘2018년: 금령총, 다시 들여다보다’에는 재발굴 성과와 이를 계기로 진행된 자연과학적 분석 및 복원 처리 결과를 담았다. 호석 외곽에서 확인된 수십 점의 제사용 큰 항아리와 그 안에 담겨 있었던 각종 공헌물, 소형 그릇 등을 소개한다. 특히 발굴 수습품으로는 가장 큰 말 도용도 주목된다. 복원 처리를 통해 새롭게 선보인 말다래와 금동신발, 국내에서 발견된 가장 이른 사례로 추정되는 진주珍珠, 금령총 일대의 고지형 분석 및 지하물리탐사 결과도 같이 공개하여 다각도로 금령총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 에필로그에서는 1924년에 발굴된 굽다리 긴 목 항아리 몸통과 2019년과 2020년에 발굴된 굽다리 편이 결합된 사례를 통해 금령총 재발굴이 갖는 의의와 성과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한다.(출처 : 국립경주박물관)

주인공의 허리춤에 달린 금방울

금형총에는 두 종류의 금방울이 있다. 하나는 주인공의 허리춤에 매달았고, 다른 하나는 금관에 달려있다. 

허리춤의 금방울은 표면에 가는 금띠를 마름모 모양으로 붙여 15개의 구획을 나누었다,

각 구획의 중앙에는 둥근 자리를 만들고 안쪽을 파란 유리로 채워 넣었다. 

금관에 달린 금방을은 별도의 고획 없이 금띠를 두 번 돌린 뒤 가운데를 유리로 마감하였다.

금령총이란 이름은  금관보다 먼저 발굴된 허리춤의 금방울 때문에 지어졌다.(출처 : 국립경주박물관 신라능묘 특별전4)

  

금령총 금관(金鈴塚 金冠. 보물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관 테의 좌우에는 귀고리 형태의 드리개(장식)에 금방울이 있다.

일제강점기의 금령총 발굴조사

금량총의 평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