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대구

대구 신천의 早春

노촌魯村 2023. 3. 18. 21:08

대구 신천의 개나리(경대교 부근. 2023. 3. 18)

개나리

쌍떡잎식물 용담목 물푸레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학명은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이다. 한반도에서 흔한  특산종이다. 함경도를 제외한 전국, 집 가까이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울타리나 길 옆에 무더기로 심기도 하고, 한두 그루씩 심기도 한다. 양지 바른 산기슭에서 자생하기도 한다.

강인한 번식력은 군민의 불굴의 투지와 단결·번영을 의미한다. 노란색의 꽃은 온화하고 따뜻한 감을 주며, 봄의 첨단을 걷는 개척 정신과 희망찬 미래를 상징한다.

개나리의 길이는 약 3m이고 가지 끝이 밑으로 처지며, 잔가지의 경우 처음에는 녹색이지만 점차 회갈색으로 변하고 껍질눈[皮目]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잎은 마주나고 타원형이며 톱니가 있고 길이는 3~12㎝이다. 잎 앞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황록색인데 양쪽 모두 털이 없다. 잎자루의 길이는 1~2㎝이다. 4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노란색 꽃이 1~3개씩 피며 꽃자루는 짧다. 꽃받침은 4갈래이며 녹색이다.

화관의 길이는 2.5㎝ 정도이고 끝이 4갈래로 깊게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은 긴 타원형이다. 수술은 두 개이고 화관에 붙어 있으며 암술은 한 개이다. 암술대가 수술보다 위로 솟은 것은 암꽃이고, 암술대가 짧아 수술 밑에 숨은 것은 수꽃이다. 열매는 9월에 삭과(蒴果)로 달리는데, 길이는 1.5~2㎝이고 달걀 모양이다. 번식은 종자로도 하지만 가지를 휘묻이하거나 꺾꽂이로 한다.

개나리는 병충해와 추위에 잘 견디므로 흔히 관상용·생울타리용으로 심는다. 한방에서 쓰는 연교(連翹)는 개나리 종류의 열매를 말린 것인데, 한열(寒熱)·발열·화농성 질환·림프선염·소변 불리·종기·신장염·습진 등에 처방한다. 뿌리를 연교근(連翹根), 줄기와 잎을 연교지엽(連翹枝葉)이라 하여 모두 약용으로 쓰고 있다.

개나리 열매껍질에서 추출한 물질에는 항균 성분이 있으며, 개나리꽃으로 담근 술을 개나리주라 하고, 햇볕에 말린 열매를 술에 담가 저장한 것을 연교주(連翹酒)라 한다. 우리나라의 함경남도·함경북도를 제외한 전 지역과 중국에 분포한다.(출처 : 한국향토문화대전)

대구 신천의 조팝나무(경대교 부근. 2023. 3. 18)

조팝나무

산지나 구릉 일대에 자라는 장미과의 낙엽 지는 떨기나무이다.

조팝나무는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풀밭, 강가, 밭둑 및 산지 길가에서 자라며 각처 구릉이나 산지에서도 흔히 보인다. 특히 봄철 비교적 이른 시기에 나무줄기를 따라 하얗게 잇달아 무리 지어 피는 꽃차례가 독특해 많은 이들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조경수로도 심으며, 조밥나무·홑조팝나무라고도 한다.

높이는 1~2m까지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2~3㎝의 달걀 모양이다. 꽃은 4~5월에 피는데, 산형 꽃차례로 흰색 꽃이 4~6개씩 무리 지어 달린다. 가지의 윗부분 전체에 꽃이 달려서 흰 구름이 피어나는 듯하다.

익은 종자를 가을에 화분에 뿌려 기를 수 있다. 햇볕이 내리쬐는 곳이면 어느 곳에서든 잘 자란다. 척박한 토양에서 잘 견디는 반면, 공해에는 비교적 약하다. 포기 나누기나 꺾꽂이를 해도 잘 자란다. 같은 장미목 콩과 식물 싸리나무와 혼동되기도 하지만, 싸리나무는 꽃 색이 붉으며 주로 7~8월에 개화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자잘한 흰 꽃이 좁쌀을 튀겨 놓은 듯하다 하여 조밥이라고 부르다가 강하게 발음되어 조팝나무가 되었다. 이밥[쌀밥]나무를 세게 발음하여 이팝나무로 부르는 경우와 같다.(출처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