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 보기 가능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 보기 가능
다부동 전적기념관
중앙고속도로 다부 I·C에서 동쪽 아래 다부동고개가 시작되는 입구지점에서 25m 높이의 기념비와 탱크 모양의 전적기념관이 6·25 당시 격전지였던 유학산을 바라보며 서 있는데 이 건물은 1980년 12월, 당시 다부동 새마을부녀회장인 정순덕 여사가 칠곡군을 방문한 전두환 대통령에게 6·25전쟁시 다부동 전투의 승리를 기리기 위하여 전승기념관 건립을 호소한 것이 계기가 되어 국방부에서 건립하게 되었다. 국·도비를 지원받아 7억4천만원의 공사비로 1981년 7월 착공하여 11월에 완성한 이 기념관은 서울 남산 미술원에서 탱크모양으로 특별히 시공하였는데 외벽에는 격전 당시의 모습을 부조로 나타내고 내부에는 당시 전투에서 사용하였던 중화기와 소총 등을 전시하고 있다.기념관 아래 부지좌측에는 4억1천만원(도비2억, 군비2억1천)의 공사비로 1995년 5월 준공한 2층 건물의 관리사가 있는데 1층은 사무실과 휴게실 (매점), 2층은 회의실로 사용하고 있다. 이 건물은 1995년 6월 24일 다부동전투 희생용사들의 넋을 기리는 추모제행사시 김영삼 대통령이 직접 참석하신 가운데 구국용사충혼비 제막식과 함께 '구국관(救國館)'으로 명명되어 준공기념 행사를 가진바 있다. 칠곡군에서는 1979년 3월 1일 전적지관리사업소를 설치하여 왜관지구 전적기념관과 함께 이 기념관을 관리해 오다가 보다 더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1997년 2월 1일부터는 한국자유총연맹 경상북도지회에 위탁관리하고 있는데 학생, 군인, 일반인 등 연간 약 100만명 이상의 관람객이 이 곳을 찾아 전쟁의 교훈과 자유수호 의지를 되새겨 가고 있다. 또한 다부동전투 참가자들로 구성된 다부동전투 구국용사회에서는 당시 전투가 가장 격렬했던 8월을 기념하여 매년 8월 25일, 희생된 옛 전우의 넋을 기리고자 이 곳에 모여 추모제를 지내고 있으며, 인근 법전사 사찰에서도 매년 추모법회를 올려 구국용사들의 安眠을 빌고 있다. 어떻게 이 다부동이 격전지가 되었을까, 잠시 지난 역사의 현장을 되새겨 보면 팔공산 자락이 서쪽으로 숨가쁘게 내달리다 가산, 오계산 봉우리를 맺어 놓고 허리가 휠때쯤 주저앉은 다부동고개, 다부동은 팔공산이 일어서 황학산, 유학산, 소학산을 빚어놓은 틈새에 고즈너기 앉아 있다. 그래서 다부동 고개는 숙명적으로 격전을 치른 요충지일 수 밖에 없었다. 신라 - 조선시대에 걸쳐 축성된 천생산성, 가산산성, 냉산산성은 지금도 그 흔적이 남아 다부동고개의 험난한 역사를 설명해 주고 있다. 달구벌과 관문(문경새재)을 잇는 유일한 통로, 일찍이 왕건과 견휜이 대권의 길목에서 혈투를 벌인 곳이 바로 다부동 고개였고 병자, 임진 양난이 치열하게 펼쳐졌던 곳, 가까이는 6·25 전쟁때 조국의 최후 보루지로서 꽃같은 생명이 처절하게 쓰러져 갔던 곳이다. 조선시대까지 이 고개는 문경새재를 거쳐 한양으로 통하는 유일한 길목(1급 관도)이어서 경향을 드나드는 관원들을 위해 원이 설치돼 있었다. 역이 생기고 많은 관원과 행상인이 묵어가는 주막촌이 형성되면서 자연 상거래가 활발해졌다. 이 때 돈많은 거상들이 몰려들면서 부자가 많은 곳이라 하여 다부원(多富院)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관원들과 상인들의 왕래가 빈번했기 때문에 다부동 고개는 전국의 여느 고개처럼 산적이나 맹수가 나타나 주민을 괴롭힌 적이 없다. 대신 부사, 목사 등 목민관의 선정비가 많았다 하나 모두 전화속에 묻혀 찾을 길이 없다. 수많은 전란이 다부동 고개를 거쳐 갔지만 6·25라는 동족상잔의 참화는 아직도 고개구비마다 또 인접한 유학산 곳곳에 서려 있다. 실제 '94년과 '95년, '97년, 2000년, 군부대(50사단)의 유학산 일대 수색에서는 유골 및 전쟁유품들이 많이 발견되어 전쟁의 참상을 직접 확인하게 되었으며 수습된 유골들은 기념관 입구 오른쪽 양지바른 곳에 안장하고 대통령의 휘호가 새겨진 구국용사충혼비를 세워 '95년 6월 25일 김영삼 전 대통령이 참석하신 가운데 제막식과 추모제를 거행함으로써 이들 호국영령들의 넋을 기렸다. 303고지(자고산 : 왜관읍 석전리) - 328고지(석적면 포남리) - 숲데미산(석적면 망정리) - 유학산(석적면 성곡리, 가산면 학산리)을 잇는 방어선은 치열한 고지탈환전이 벌어졌던 곳이며 특히 유학산은 9번, 328고지는 무려 15번이나 고지주인이 바뀌었다고 한다. 유학산은 다부동을 병풍처럼 감싸 안고 있고 낙동강 동안에 펼쳐 놓은 것 같은 돌산인데 839m의 정상에 올라서면 적 포병이 대구시를 공격할 수 있는 요지이다. 따라서 이 고지를 탈환하기 위하여 처절한 죽음의 혈전을 벌였는데 8월 18일부터 25일까지 8일간 9차례의 탈환전중 아군측 신병 병력이 하루 700여명에 달할 정도로 희생이 컸던 곳이며 당시 후방에서 신임 소위가 보충되어 오면 유학산 정상의 소대까지 올라가는 것이 문제였다고 한다. 당시 다부동 고갯마루에는 조그만 옹달샘이 있어서 12연대 1·2대대가 '자유천', '생명천', '구국천'이라 부르며 식수로 사용했으나 지금은 도로확장으로 없어졌다. 다부동 전투는 9월 24일 천생산(구미시 인동) 진지를 탈환할 때까지 55일간이나 계속되었으며 북한군 2만 4천여명과 국군 1만여명이 죽거나 다치는 인명피해를 냈다. 특히 이 전투에서는 최초의 한미 연합작전으로 북한군과 전차전이 벌어졌는데 볼링앨리 전투(포탄화구가 날아가 후방에서 폭발하는 상황이 마치 볼링공으로 핀을 넘어 뜨릴 때의 모양과 같다 해서 붙여진 이름)로 전사에 기록되어 있다. John.H. 마이켈리스대령(전 미8군 사령관)이 지휘하는 미 제27연대는 이 전투에서 혁혁한 공을 세워 소방대(위급한 전선에 항시 투입되어 불을 끈다고하여 붙여진 별명)로서의 진면목을 보여주었다. 결과적으로 다부동전투는 당시 투입된 북한군 3개사단에 비참한 패배를 안겨 주었고 특히 13사단을 재기불능으로 만들어 북한의 적화야욕을 저지시켜 전세를 역전시키는 발판구실을 했던 것이다. 조지훈 시인은 직접 종군하면서 격렬했던 다부동 전투의 참상을 1950년 9월 26일, 이렇게 시로 표현하였다. 이 시는 1995년 시비로 만들어져 구국용사충혼비와 함께 제막식을 가진 뜻깊은 글이다.(칠곡군청 홈페이지에서 : http://tour.chilgok.go.kr/02culture/04_01.php ) |
"多富院에서"
-조지훈- 한달 농성 끝에 나와보니 다부원은 얇은 가을 구름이 산마루에 뿌려져 있다. 피아공방의 포화가 한달을 내리 울부짖던 곳아아 다부원은 이렇게도 대구에서 가까운 자리에 있었으나조그만 마을 하나를 자유의 국토안에 살리기 위해서는한해살이 푸나무도 온전히 제 목숨을 다 마치지 못했거니사람들아 묻지는 말아라 이 황폐한 풍경이 무엇때문의 희생인가를 고개들어 하늘에 외치던 그 자세대로 머리만 남아있는 軍馬의 屍體스스로의 뉘우침에 흐느껴 우는 듯 길 옆에 쓰러진 괴뢰군 전사일찍이 한 하늘 아래 목숨받아 움직이던 生靈들이 이제 싸늘한 가을바람에 오히려 간 고등어 냄새로 썩고 있는 다부원진실로 운명의 말미암음이 없고 그곳을 또한 믿을 수가 없다면 이 가련한 주검에 무슨 안식이 있느냐살아서 다시 보는 다부원은 죽은 자도 산 자도 다 함께 안주의 집이 없고 바람만 분다 |
나이키 유도탄
다부동 지나면서(조지훈의 시 : 당시 종군기자 )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 보기 가능
백선엽장군 기념비
월튼 워커 미 8군 사령관은 왜관을 축으로 동쪽으로 포항까지 Y선, 남쪽으로 함안까지 X선을 설정했다. 더 이상 물러설 수 없는 마지막 방어선이었다. 1사단은 선산 오상중학교를 떠나 대구 북방으로 내려가라는 명령을 받았다. 나는 혼자 지프를 타고 먼저 그 지역을 살펴봤다. 대구 20㎞ 북방 지역이었다. 수암산(519고지)~유학산(839고지)~가산(902고지)으로 이어지는 천혜의 방어선이었다. 그 산록에 있는 다부동(多富洞)이란 마을의 이름도 마음에 들었다. 그 인근의 동명국민학교(초등학교)에 사단 CP를 세우도록 했다.([6·25 전쟁 60년] 낙동강 혈전 (47) 최후의 방어선에 도달하다.백선엽장군 글 중에서)
구국 경찰 충혼비
무명용사 묘
비목...(한명희 작시 / 장일남 작곡)
초연이 쓸고 간 깊은계곡 깊은계곡 양지녘에
비 바람 긴 세월로 이름모를 이름모를 비목이여
먼 고향 초동친구 두고 온 하늘가
그리워 마디마디 이끼 되어 맺혔네
궁노루 산울림 달빛타고 달빛타고 흐르는 밤
홀로 선 적막감에 울어지친 울어지친 비목이여
그 옛날 천진스런 추억은 애달퍼
서러움 알알이 돌이 되어 쌓였네
****
다부동전투(한병국 작가. 그림으로 보는 6.25전쟁)
워싱턴, 한국전쟁 참전용사 기념관
(Korean War Veterans Memorial)
재미동포 춘하추동님 사진 및 글
검은 대리석에 아래 동상들이 비친 모습입니다. 18명의 군인동상이 대리석에 투영되어 38명으로 38선을 상징합니다. 한국을 지키기위해 몸을 바쳐 희생된 많은 미군들은 대리석표면에 음영(etching)으로 조각되어 있습니다. 아래 대리석에는 UN참전국 명단과 "Freedom is not Free!" (한국) "자유는 저절로 얻어진 것이 아닙니다" 문구가 새겨져 있습니다. 미국여인이 대리석표면에 새겨진 한 군인을 더듬으며 내 동생 닮았다고 하는 말이 우리의 가슴을 뭉클하게 했습니다.
동상 앞에는 '우리는 잊지않고 당신들을 기억합니다'라는, 고마운 뜻을 가진 한국분들이 자주 가져다 두는 화환이 있습니다. 뒷편에 보이는 건물은 링컨 기념비가 있는 건물입니다. 건물뒷편으로 강을 건너 버지니아 주가 있습니다.
미국은 한국전쟁에 150만 명이 참전하여 5만 4000명
이 사망하고 11만 명이 잡히거나 부상 당했으며,
8,000명이 실종 되었다.
성조기 아래에는 "조국은 그들이 전혀 알지도
못하는 나라와 한번도 만나본 적 없는 사람들을 지키기
위해 조국의 부름에 응한 아들 딸들에게 경의를
표한다" 라고 적혀 있다.
Our Nation honors her sons and daughters who
answered the call to defend a country they never knew
and a people they never met.
6.25을 바로보다(조선일보) 바로가기 : http://news.chosun.com/special/issue/war_625/index.html
'경상북도 > 칠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봉사와 대각국사비 (0) | 2007.12.20 |
---|---|
칠곡 노석리 마애불상군(漆谷 老石里 磨崖佛像群) (0) | 2007.12.09 |
왜관지구 전적기념관 (0) | 2007.04.15 |
신유장군 유적지 (0) | 2007.04.15 |
경북 칠곡군 신동면의 신동입석(新洞立石) (0) | 2006.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