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경상북도/문경

대승사 윤필암

노촌魯村 2009. 5. 24. 23:05

 

위의 사진을 클릭하면 원본 사진이...  

 윤필암에 대하여는 「 상산지 」· 「 대승사사적 」·「 동문선 」등에 비교적 자세한 기록이 있다. 먼저 「 대승사사적 」에 따르면 윤필암은 1380년(우왕 6) 각관대사가 창건하였다 하였으며, 「 동문선 」의 이색기에는 이때 각관과 함께 찬성 김득배의 부인 김씨에 의하여 조성되었다고 하였으며, 고려 나옹화상의 출가처임을 밝히고 있다. 「대승사사적 」에는 1645년(인조 23)서조 · 탁잠 양사 중건, 1765년(영조41) 야운화상 중건, 1806년(순조 6) 취운종백 중건, 1885년(고종22) 창명장로 중건이라 하였다.

 

 사불전

 

 사불암

 사불전 위쪽에 있는 석탑

문화재청자료사진

대승사윤필암목조아미타여래좌상및지감(大乘寺潤筆庵木造阿彌陀如來坐像및紙龕 시도유형문화재  제300호 (문경시) )

대승사 윤필암은『대승사사적』에 따르면 고려 우왕 6년(1380) 각관대사가 세웠다고 한다. 나무로 만든 작은 불상에 금칠을 했기 때문에 불상 본래의 모습을 확인하기 어렵다. 얼굴은 계란형으로 조선 후기 불상양식과는 다르며, 목에는 3개의 주름이 뚜렷하다. 양 어깨를 감싸고 입은 옷은 비교적 단조롭게 처리되었다. 이 불상은 두터운 한지로 정교하게 만든 검정색 감실(鑒室:불상을 모시기 위해 불당 건물을 본떠 작게 만든 공간)안에 모시고 있었는데, 이 감실은 불상을 만든 후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문화재청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KS_01_02_01&VdkVgwKey=21,03000000,37&queryText=(`윤필암`)<in>(z_title,z_content) )

 

 운필암 단청공사 

 

 대승사 마애여래좌상(지방유형문화재 제239호)

소재지 : 문경시 산북면 전두리 산 38-1 

이 불상은 대승사(大乘寺)로부터 약 2㎞지점, 윤필암(潤筆庵)과 묘적암(妙寂庵) 중간 노변의 직립 암벽에 음각과 양각으로 새겨 조성된 거대한 마애여래좌상이다. 비록 윗쪽과 아래쪽 외곽에 균열이 있으나, 보존 상태는 비교적 양호하다. 크기는 불상이 높이 약 6m, 어깨 너비 약 2.2m, 무릎 너비 3.1m이며, 연화대좌(蓮華臺坐)는 높이 1.3m, 너비 3.7m이다.

 화강석의 자연석벽을 이용하여 음각된 이중연화좌(二重蓮華座) 위에 신광(身光)과 두광(頭光)을 역시 음각하였으며, 머리위로는 모서리가 깨어진 편평한 판석이 앞으로 밀려나와 있는 것으로 보아 천개(天蓋) 형식의 판석을 별석(別石)으로 마련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머리는 소발(素髮)에 육계는 편평하게 솟아 있으며, 그 양편에 뿔처럼 화문(花文)을 돋을 새김으로 나타내것이 특이하다. 두 귀는 아래로 처지면서 반전 되었고, 얼굴은 정면관(正面觀) 위주로 약화형식이 뚜렷하다. 통견(通肩)에 군의(裙衣) 매듭띠가 가슴 앞으로 보이는데 끝을 길게 늘어 뜨리고 있다. 음각선만으로 처리된 옷주름은 듬성듬성하며 거친 편이다. 목에는 삼도(三道)가 있는데 두줄의 삼도가 쳐진듯이 표현되어 있다. 왼손은 어깨 위로 올려 시무외인(施無畏印)을 나타내고 있으나, 오른손은 손가락을 조금씩 오므려 복부에 대고 있다. 관배는 머리와 상체를 감싸는 거신관배이며, 두관은 동심원형(同心圓形)에 주위를 화염문으로 채우고 있다. 이같이 활활 타오르는 듯한 화염문은 불상의 위엄을 강조하는 동시에 정교한 고려시대 불교 미술의 한단면을 잘 보여주고 있다.

 작자 및 유래는 미상이나 이곳에 미륵암(彌勒庵)이 있었다는 것으로 미루어 곧 이 석불은 미륵불로 조성되어 신봉해 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불상은 고려시대에 대규모로 조성되었던 마애거불상(磨崖巨佛像) 계열이라고 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음각과 양각을 섞어 쓰는 불상의 조각수법과 함께 세부 표현이 간략하게 처리되기도 하였지만, 전체적인 비례는 안정감이 있어 보인다. 아울러 이 불상의조성 시기는 대체로 고려시대로 추정되며, 이 시기 불상 양식의 변천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윤필암의 야생화

 

 

 

 

 

 

 

 

 

 

 

 

 

 

 

 

 

 

 

 

 

 

 

 

 

'경상북도 > 문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경평산신씨묘출토복식 (문경평산신씨묘출토복식)  (1) 2012.03.17
김용사  (0) 2009.05.24
대승사  (0) 2009.05.24
부처님 오신 날의 희양산 봉암사  (0) 2008.05.13
문경 연개소문 세트장  (0) 2008.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