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 무섬마을(중요민속문화재 제278호.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로 732-20 (문수면))
문수면 수도리는 아름다운 자연과 고가(古家)가 그대로 보존된 전통마을이다. 수도리는 이름 그대로 내성천(乃城川)이 마을의 3면을 감싸안고 흐르고 있으며 그 가운데 섬(島)처럼 떠 있는 마을이다.
안동 화회마을을 연상시키는 이 마을은 휘감아도는 강을 따라 은백색 백사장이 펼쳐지며 맞은편에는 소나무, 사철나무 등이 숲을 이룬 나지막한 산들이 강을 감싸안고 이어진다. 또, 강위로는 견실한 다리가 놓여져 마을과 마을을 잇고 있다.
수도리는 고택과 정자로 이루어진 전통마을로 옛모습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해우당(경상북도 민속자료 제92호)과 만죽재(경상북도 민속자료 제93호)는 옛 선비들의 단아한 격식이 느껴지는 고택이다(출처:영주시청)
소장문화재
해우당고택(경상북도 민속자료 제92호)
만죽재고택(경상북도 민속자료 제93호)
영주 수도리 김덕진가옥(경상북도 민속자료 제117호)
영주 수도리 김뢰진가옥(경상북도 민속자료 제118호)
영주 수도리 김위진가옥(문화재자료 제360호)
영주 수도리 김규진가옥(문화재자료 제361호)
영주 수도리 김정규가옥(문화재자료 제362호)
영주 수도리 박덕우가옥(문화재자료 제363호)
영주 수도리 박천립가옥(문화재자료 제364호)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해우당고택(海愚堂古宅.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92호. 경북 영주시 문수면 무섬로 238-2 (수도리))
이 건물은 선성(宣城) 김씨 입향조 김대(金臺)의 셋째집 손자 영각(永珏 ; 1809~1876)이 1836년에 건립하였고, 고종(高宗) 때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를 지낸 해우당(海愚堂) 김낙풍(金樂灃, 1825~1900)이 1879년에 중수(重修)하였다. 가옥은 마을 삼면을 휘감아 흐르는 내성천에 놓인 수도교를 건너면 제일 먼저 시야에 들어오는 □자형 가옥이다. 배치구성은 평탄한 대지에 배산하여 북서향한 정면 5칸, 측면 6칸 규모이고, 사랑채 우측 1칸이 돌출된 편날개형이다. 평면구성은 대청 3칸(6통칸)을 중심으로 좌측에 상방 2통칸, 우측에 안방 2통칸을 배치하고, 안방 앞으로 정지 칸반·고방 반칸을 연달아 배열하였다. 정지는 안마당쪽으로 개방되어 있고, 정지와 고방상부에는 통칸에 우물마루를 깐 다락을 두었다.
상방 앞쪽으로는 상방정지 1칸, 중방 1칸, 고방 1칸으로 좌익사를 꾸몄다. 상방정지는 안마당쪽으로 벽체없이 개방시키고 상부에는 상방에서 이용하는 다락이 설치되어 있다. 사랑채는 중문을 중심으로 좌측에 작은사랑 1칸, 마루방 1칸을 두었고, 우측에는 큰사랑방 2통칸에 연이어 마루방 1칸을 들었다.
사랑방 2칸중 후면 한칸은 ㄱ자로 꺾어 책방 1칸을 두었고, 안마당 사이에는 벽장 반칸과 안채로 통하는 비밀통로 반칸이 설치되어 있다. 마루방 뒤쪽에는 빈소방(못방) 1칸을 두었는데, 마루방과 빈소방은 □자형 평면에서 우측으로 1칸 돌출되어 있다. 큰사랑채는 작은 사랑채보다 다소 지대를 높여 통주의 두리기둥을 세우고 툇마루에 계자각 헌함을 돌렸다.
이 가옥의 평면구성에서 주목되는 것은 먼저 넓은 대청공간의 배치와 다양하고 조리있게 배치된 수장공간의 활용이다. 또 하나는 안채와 사랑채가 대각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통례이나 여기서는 안채와 사랑채가 직선형으로 배치된 점이 특이하다. 기단은 얕은 자연석 쌓기에 상면을 모르타르 덧마감을 하고 그위에 자연석 초석을 놓았다. 기둥은 안대청 전면과 사랑채 툇기둥만 두리기둥이고, 나머지는 네모기둥을 세웠다. 상부가구는 안대청이 5량가이고, 큰사랑채가 전퇴 5량가이다. 지붕은 큰사랑채만 별도의 팔작지붕으로 꾸몄고, 나머지는 맞배지붕에 골기와를 이었다.(출처:영주시청)
해우당의 편액은 흥선대원군의 친필이다.
만죽재고택(晩竹齋古宅.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93호.경북 영주시 문수면 수도리 229-2번지)
이 가옥은 무섬마을의 입향시조인 박 수(1641~1709) 선생이 마을에 입향하여 1666년에 건립하였다.
배치구성은 안마당을 중심으로 ㄷ자형 안채와 一 자형 사랑채가 口자형을 이루고 있다.안채는 정면 5칸, 측면 5칸 규모이다. 안채 평면구성은 대청 3칸을 중심으로 좌측에 상방 1칸, 고방 반칸, 문간 반칸이 연달아 놓여 있다. 문간은 안마당쪽으로 벽체없이 개방시키고 서쪽에 널문을 달아 옆마당으로 통하게 했다.
대청 우측은 안방 칸반, 정지 칸반이 연이어 있고, 정지 상부에는 안방에서 이용하는 다락이 설치되어 있다. 중문 좌측은 사랑채부분으로 사랑방 2통칸, 마루방 1칸에 이어 마루방 뒤쪽에 못방 1칸을 두었다. 사랑채 전면은 얕은 기단에 통주의 두리기둥을 세우고, 툇마루에 계자각 헌함을 돌렸다.
중문 우측은 상부다락을 설치한 마구 1칸이 있다. 기단은 강돌에 시멘트 모르타르로 상면을 마감하였고, 그 위에 자연석 초석을 놓았다. 기둥은 사랑채 전면만 두리기둥이고, 나머지는 네모기둥을 세웠다. 안대청 상부가구는 간결한 3량가이고, 사랑채는 전퇴 5량가로 사랑채의 격식을 높였다. 지붕은 사랑채부분만 독립된 팔작지붕이고, 나머지는 맞배지붕에 골기와를 얹었다.(출처:영주시청)
무섬자료전시관
박제연 시지 (1840년)
만죽재 행장(行狀.1900년대 초)
집경루 관련 홍의호의 글(1797년. 홍의호 서)
'경상북도 > 영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주 금성대군 신단(榮州 錦城大君 神壇) (0) | 2014.09.27 |
---|---|
영주 영주동 석조여래입상(榮州 榮州洞 石造如來立像) (0) | 2014.09.27 |
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榮州 新岩里 磨崖如來三尊像) (0) | 2014.06.18 |
흑석사(黑石寺) (0) | 2014.06.18 |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榮州 可興洞 磨崖如來三尊像 및 如來坐像) (0) | 2014.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