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사(鄭賜)의 묏자리는 우리나라 8대 명당 중에서도 으뜸이라고 하는 이야기가 수백 년 전부터 내려오고 있다. 경상북도 예천군 지보면 도장리에 있는 정사 묘소는 옥녀측와형국(玉女側臥形局)이라고 한다.
정묘(鄭墓)에 얽힌 지관(地官)의 기지(奇智)
ㅇ 위 치 : 지보면 도장리
ㅇ 내 용
지보면 도장리에 있는 정사(鄭賜)의 묏자리를 우리나라 8대 명당(明堂-좋은 묏자리)중에서도 으뜸이라고 하는 이야기가 수 백년 전부터 전해 내려오고 있으며, 이 묏자리를 얻기 위한 박씨(朴氏)의 성을 가진 지관(집터,묘터를 잡는 사람)의 뛰어난 기지(奇智)에 대하여 감탄(感歎)을 금치 못하는 전설이 있다.
정사(鄭賜 : 1400~1453)는 진주목사(晋州牧使) 일 때 임지(任地)에서 죽었다. 목사라는 벼슬 높은 사람의 장사일 뿐더러, 당시 풍수지리설(風水地理說)에 젖어 있던 사회 풍조로 보아 상주(喪主)들이 응당 자기 아버지의 묘터를 명당(明堂)에 쓰려고 하였을 것은 너무나 당연하였던 것이다.
아버지의 명당자리를 찾기 위하여 시신(屍身), 상주, 호상꾼, 풍수(風水), 상여꾼들을 태운 10여 척의 배가 진주 남강(南江)에서부터 낙동강(洛東江)으로 거슬러 올라오면서 당대의 명지관(名地官)인 박 풍수(朴風水)를 앞세워 산세(山勢)와 지세(地勢)를 살펴가면서 몇 달만에 마침내 이 곳 도장마을 앞까지 배가 왔을 때 배 선두에 앉아서 동북편 산천(山川)의 지리(地理)를 살피고 있던 박풍수가 “앗!” 하는 소리와 함께 벌떡 일어서면서 배를 멈추라고 사공에게 고함을 쳤다. 선두(先頭)에 선 배는 급히 멈추어지고 박 풍수가 가르쳐 준 강 건너 동북쪽 산기슭을 바라보니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무슨 작업을 하고 있다. “한발 늦어 그만 놓쳤구나!” 말 없이 서서 이윽고 한 곳만 바라보다가 무겁게 떨어지는 박 풍수의 비통(悲痛)에 가까운 탄성이었다.
바라보이는 저 곳이 천하(天下) 명당(明堂)인데 현재 다른 사람이 뫼를 쓰고 있다는 박 풍수의 말에 이왕 여기까지 왔으니 현장에 가서 구경이나 하자고 상주(喪主)들이 우겨서 현장에 도착하여 보니, 묏터를 닦으려하니 물이 쏟아져서 뫼를 쓰지 못하고 돌아간다면서 철수하느라고 법석을 떨고 있었다. 돌아서는 상주에게 “우리가 이 자리에 묘를 들여도 좋습니까?” 물으니 “우리가 쓰지 못하는 자리에 들이던지 말던지!” 라는 무뚝뚝한 대답을 하였다. 이에 여러차례 물어서 뫼를 써도 좋다는 확답을 듣고 난 박 풍수는 조용히 작업을 지시했다. 먼저 광중(壙中)에 고여있는 물위에 겨(벼껍질) 한 섬을 갖다 풀고, 대젓가락 세매를 물 속에 집어넣으라고 시키고, 인부 세 사람을 호미 한 개씩을 가지고 자기를 따라 오라면서 현장(現場)에서 멀리 떨어진 “도마” 라는 마을 논두렁 밑에 가서 호미로 논두렁 밑을 파라고 하였다. 세 사람의 인부는 박 풍수의 지시대로 각각 세 곳의 논두렁 밑을 호미로 긁적이니, 갑자기 겨가 섞인 물이 꽐꽐 쏟아지기 시작하며 대젓가락 한 매씩이 물에 딸려 나오더니 세 곳이 모두가 샘이 되어버렸다. 뫼를 쓰려고 하는 현장의 물은 이 세 곳으로 빠진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처음 이 묏자리에 물이 고였을 때 금붕어가 놀고 있었다는 설도 있다.
당시 겨와 놋젓가락이 나왔다고 하는 샘들은 현재 “도마” 동네 사람들의 식수(食水)로 사용되고 있다. 아무리 날씨가 가물어도 수량(水量)이 한결 같고, 수정(水晶)처럼 물이 맑고 맛이 좋다고 하며, 지금 이세 개의 샘 이름이 “도마샘” “어룽샘” “옥로정”(玉露井)으로 불려지고 있다. 이 명당(明堂) 터를 잡은 사람은 박씨로만 알려지고 있을 뿐 이름이 전해지지 못한 것이 유감이다.
□ 정사(鄭賜)
정사(鄭賜 : 1400~1453)는 본관이 동래(東萊), 귀령(龜齡)의 셋째아들이다. 1420년(세종 2) 생원시에 합격하고 같은 해 문과에 급제하여 한림(翰林)이 되고 이조좌랑, 예조 ,형조정랑을 거쳐 홍문관 수찬, 사헌부 감찰, 사간원 정언, 예문관 직제학을 지냈으며 진주목사(晉州牧使)로 있을 때 모친상을 당하자 벼슬을 버리고 정성을 다하였다. 문학과 덕행(德行)이 뛰어났고 지조와 절개가 높아 완담사(浣潭祠)에 모셔졌으며 웅천(熊川)고을 동헌(東軒)에서 읊은 시가 전해온다. 『겹겹이 두른 뫼뿌리는 삼면을 에워싸고(千層列峀圍三面), 넓고 넓은 물결은 끝간 데를 모를로고(萬頃波濤浩一邊)』 지보면 도장리 명산에 있는 “정묘”(鄭墓)가 그의 묘소이다.
1476년(성종 7) 순충보조공신(純忠輔祚功臣)으로 내산군(萊山君)에 봉군(封君)되고, 중종 11년(1516) 숭록대부(崇祿大夫), 의정부좌찬성(議政府左贊成)으로 다시 증직되었고 내산부원군(萊山府院君)에 봉해졌다.(출처:예천군청)
동래정씨 정사(鄭賜) 묘(墓)에서 본 주변 산세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경상북도 > 예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진왜란 이전의 건축양식이 잘 남아있는 「예천 야옹정」 보물 지정 (0) | 2016.09.09 |
---|---|
예천 선몽대일원(醴泉仙夢臺一圓) (0) | 2015.10.17 |
말 무덤(言塚) (0) | 2015.09.30 |
초간정의 가을(2012.10.26) (0) | 2012.10.28 |
예천 용문사 단풍(2012.10.26) (0) | 2012.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