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전남

진도 용장성(珍島 龍藏城)

노촌魯村 2019. 11. 23. 08:45


진도 용장성(珍島 龍藏城. 사적 제126호. 전남 진도군 군내면 용장리 106번지)

배중손이 이끌던 삼별초가 몽골의 침략에 대항하여 항쟁을 벌였던 장소이다.
고려 고종 18년(1231)부터 침략해 오던 몽골과의 전쟁을 벌이기 위해 고려는 수도를 개경에서 강화로 옮겼다. 그리고 40여 년 동안 삼별초가 중심이 되어 몽골과의 전쟁을 벌였으나, 원종 11년(1270) 고려가 몽골에 항복을 하였다. 몽골에 대한 항복을 받아들일 수 없던 배중손을 비롯한 삼별초는 왕족인 승화후 온(承化候溫)을 왕으로 삼아 남쪽으로 내려와 이곳에 궁궐과 성을 쌓고 몽골과의 전쟁을 계속하였다. 이때 쌓은 성이 바로 용장성이다.
지금은 용장산 기슭에 약간의 성벽이 부분적으로 남아있으며, 성 안에는 용장사가 있던 절터와 궁궐의 자리가 남아있다. 용장성 안에는 성황산이 있는데, 이 산에도 산성을 쌓은 흔적이 보인다.
성이 만들어진 연대가 확실하고 고려의 왕실과 대립되는 궁궐이 만들어진 점에서 가치있는 유적이다.(출처 : 문화재청)

진도 용장성(珍島 龍藏城)

1270년 진도에 도착한 삼별초는 곧바로 새 수도를 건설하였다. 삼별초가 건설한 궁궐과 성곽은 현재 거의 남아 있지 않다. 다만 유적지 조사보고에 의하면, 도성이었던 진도 용장성의 총 길이는 약 13㎞이며 성 안의 면적은 258만 평 정도로 추산된다.

진도 용장성은 기존 용장사(龍藏寺)를 중심으로 조성하였는데, 진도의 새 정부에서는 스스로에게 고려의 정통성이 있음을 자부하였다. 또한 당시 고려 사회의 지배적 이데올로기인 풍수도참설을 내세워 삼별초 정권의 정당성을 강조하였다.

진도 용장성은 울돌목을 건너는 바닷길인 벽파진을 북쪽으로 마주하고 있다. 방향으로 보면 북향으로, 대부분의 도성이 북쪽에 산을 등지고 남쪽을 바라보는 것과는 다르다. 그것은 여몽연합군의 침입을 한눈에 감지할 수 있는 수로를 감시하고 바다에서는 보이지 않는 곳을 택한 때문이었다.(출처: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진도 용장성(珍島 龍藏城)

현재 진도군 군내면 일대에 자리 잡고 있는 진도 용장성은 총 연장 길이가 12.85㎞에 이른다. 성내 면적은 약 258만 평으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만큼 방대한 규모이다.

진도 용장성의 동·북으로는 명량해협이 위치하고 북서쪽은 둔전제방(屯田堤防)이 축조되어 있어 현재는 둔전저수지와 농경지로 이용하고 있으나 과거에는 만곡(彎曲)된 해안이었다. 대체로 서쪽과 남쪽은 여러 봉우리를 잇는 산들로 둘러싸여 있다.

진도 용장성은 주로 석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부분적으로 토성인 곳도 있다. 성벽은 대부분 삼별초의 몰락 이후 철거령에 의해 훼철되고 그 기저부만 부분적으로 남아있다. 일부 성벽이 잔존하여 있는 곳은 높이 1.5m 내외이다.

성축은 산의 7~8부 능선을 따라 축조하였고 석재는 비교적 작은 자연석을 이용하였다. 일부 만곡된 해안에는 성벽을 쌓지 않은 곳을 발견할 수 있는데 서북쪽으로 뻗어 나간 성축은 유교마을 뒷산을 감싸 돌아 북쪽 해안의 만곡된 부분에서 일단락된다.(출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용장성(龍藏城)

진도 용장성 내 행궁지와 행궁지를 둘러싸고 있는 산 하록의 토축성을 말한다. 용장성은 1270년(원종 11) 삼별초에 의해 축조되어 대몽항쟁의 본거지로 이용했던 성이다.

용장성은 용장리 뒷산의 현 용장사 서남쪽 모서리에 위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건물지는 남향하는 것이 통례이나 행궁지는 북향하고 있으며 지형 상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산자락이 감돌아 자연스럽게 은폐되어 있다.

원래 용장사지에 자리 잡은 행궁지는 남고북저(南高北低) 형의 배산인 남쪽의 협착한 계곡을 9단의 축대로 정지하여 건물을 배치하였다. 이는 토벌군의 위협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용장성을 쌓으면서 최단 기간 내에 궁궐의 조영을 서둘러야 했던 상황에 기인했던 것으로 보인다.(출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진도용장성(珍島龍藏城)

1270년 (원종 11) 배중손과 노영희 등이 몽고에 굴복한 고려 정부에 반발하여 삼별초와 그 지지자들을 이끌고 강화도에서 진도로 내려와 이곳에서 부서(部署)를 정하고 관부(官府)를 열었으며, 궁궐과 성곽을 쌓고 몽고 침략자와 개경 정부에 반기를 들어 승화후 온(承和侯溫)을 왕으로 추대하여 왕실과 대립되는 정권을 세웠는데, 이 때 쌓은 성이 진도 용장성이다.

따라서 진도 용장성의 축성연대는 1270년(원종 11) 이후이며 삼별초군은 기존의 사찰 건물을 개조하여 궁지로 삼고, 그 외곽의 산에는 구간을 따라 석축과 토축으로 된 산성을 개축하여 그들의 근거지로 이용하였다.

원종 12년(1271) 5월 고려 정부는 김방경 등을 내세워 몽고군과 연합군을 형성하여 진도 용장성을 공격하였고, 김통정을 중심으로 한 삼별초의 잔여 세력은 진도를 떠나 제주도로 갔다. 제주도에서는 1273년(원종 14) 4월까지 지탱하다가 정부군의 공격으로 소멸하였다.

삼별초군이 진도 용장성에 주둔한 기간은 8개월간이었고, 진도 남도진성과 함께 고려 시대의 대표적인 항몽 유적지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또한 진도 용장성은 축성연대가 확실하다는 점, 고려 왕실과 대립되는 궁전이 건립되었다는 점에서 가치가 크다.
[위치]
진도 용장성은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용장리·세등리와 고군면 벽파리·오류리·유교리 일대에 걸쳐 있다. 진도 용장성의 북벽과 서벽 및 동벽의 일부는 바다와 접하고 나머지 구간은 산 능선을 통과하고 있다. 북쪽은 우리나라에서 유속이 가장 빠른 곳으로 잘 알려져 있는 명량해협과 접해 있고, 3개의 만과 곶으로 이루어져 있다. 현재 성벽은 곶 지형에만 남아 있다.
[발굴조사경위]
1989년 연차적인 정비 복원의 일환으로 행궁지(건물지)에 대한 발굴 조사가 목포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처음으로 실시되었다. 2004년에는 진도 용장성의 규모 및 구조, 축성 방법, 부속 시설(성문, 치) 등에 대한 현황 파악 및 종합적인 정비 복원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 확보를 목적으로 하여 목포대학교 박물관에서 시굴·조사를 하였다.
[발굴결과]
2004년에 실시한 조사에서 성벽 구간 17개소, 문지 7개소, 건물지 6개소 등 총 30개소에 트렌치를 설정하여 진도 용장성 및 부속 시설의 규모 및 구조, 축성법 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동·서·남벽에 2개소씩 6개소의 성문지와 치 1개소씩 3개소 등 부속시설이 새롭게 확인되었다. 또한 지표 조사를 통해 진도 용장성 내부에 수십 개소의 건물지가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성벽과 그에 부속된 성문, 건물지, 치 등 다양한 부속 시설이 분포하고 있는 것도 확인하였다.
[형태]
진도 용장성은 전 구간이 내벽과 외벽을 모두 돌로 쌓은 석축성으로 협축법에 의해 축조되었다. 용장성 건물지는 행궁지로 추정되는 곳으로 계단식 대지를 이루고 있다. 건물의 배치는 양쪽과 중앙에 회랑이 있고, 전면에 두 건물지가 있으며, 중앙 회랑 동쪽에는 방단이 위치하고, 회랑과 건물 전면에는 보도가 깔려 있는 형태이다.

서문지는 다른 성문지가 일직선상에 성문이 배치된 것과는 달리 서로 방향을 약간 어긋나게 설치한 어긋문 형식이다. 개구부와 정면 1칸, 측면 2칸 규모의 문루 주춧돌이 있다.

제사 건물지는 성황산 정상부의 해발 219m 지점에 위치한다. 장축 방향은 남-북이며, 규모는 19m×14.4m이다. 기단부는 경사가 낮은 동쪽과 남쪽 부분에만 4단의 계단식으로 축조하였고 기단부를 포함하여 3단으로 이루어진 중앙부에 제단이 마련되어 있다. 제단의 내부에는 토제 전(塼)이 깔려 있다.

추정 장대 건물지는 해발 230m 지점의 성황산 최정상부에 위치한다. 기단부는 경사가 낮은 부분에만 축조되었다. 석곽묘는 용장마을로 가는 국도변 주변 트렌치 1m 외곽에서 확인되었다. 경작으로 인해 파괴되어 모서리 일부 벽석만 남아 있다.
[출토유물]
행궁지에서는 막새기와와 평기와 등 다량 기와가 출토되었으며, 그 외 청자·분청자기·백자 등 도자기편이나 청자가 주를 이루고 있고, 청동기·철기편, 불두도 발견되었다.

제사 건물지에서는 동전류, 토제·철제마, 청자잔과 받침, 철화장고편을 비롯한 각종 청자 및 분청사기, 백자 등 자기류, 청동거울 및 청동수저, 벼루편 등 고려 초기에서 조선 후기까지의 제사 관련 유물이 다량 출토되었다.

추정 장대 건물지에서는 통일신라~고려시대의 철제솥편을 비롯한 각종 철기류, 청동 개, 대형 옹 등 도기류, 다량의 기와 등 주로 생활 용기가 출토되었다. 석곽묘에서는 청자병·접시·완·청동수저 등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동전은 총 5점이 출토되었다. 성벽에서 출토된 상평통보(常平通寶) 1점을 제외한 나머지 4점은 모두 제사 유적 건물지에서 출토되었다. 중국제 동전으로는 황송통보(皇宋通寶)·원부통보(元符通寶)·정화통보(政和通寶) 등 3점으로 모두 11세기 중반~12세기 초반에 걸쳐 발행된 중국 북송대의 것이다. 우리나라 동전으로는 조선통보(朝鮮通寶)·상평통보(常平通寶) 등이 출토되었다.(출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우물





용장산성

용장성 행궁지

토성

용장성 기념관 내부





용장성의 출토 유물



고려항몽충혼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