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충북

보은 법주사 대웅보전(報恩 法住寺 大雄寶殿).법주사대웅보전소조삼불좌상(法住寺大雄寶殿塑造三佛坐像). 보은 법주사 대웅보전 후불도(報恩 法住寺 大雄寶殿 後佛圖)

노촌魯村 2023. 5. 6. 23:14

대웅보전 계단

보은 법주사 대웅보전(報恩 法住寺 大雄寶殿. 보물.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379, 법주사 (사내리))

속리산 기슭에 있는 법주사는 신라 진흥왕 14년(553)에 처음 지었고, 혜공왕 12년(776)에 다시 지었다. 임진왜란으로 모두 불탄 것을 인조 2년(1624)에 벽암이 다시 지었으며 그 뒤 여러 차례 수리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대웅전은 앞면 7칸·옆면 4칸 규모의 2층 건물로,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이다. 내부에 모신 삼존불은 벽암이 다시 지을 때 조성한 것으로 가운데에 법신(法身)인 비로자나불, 왼쪽에 보신(報身)인 노사나불, 오른쪽에 화신(化身)인 석가모니불이 있다.

이 건물은 무량사 극락전, 화엄사 각황전과 함께 우리나라 3대불전(佛典) 중 하나이다.(출처 : 문화재청)

얕은 기단 위에 서 있는 중층인 이 건물은 신라 진흥왕 14년(553년) 의신조사가 창건하고, 인조 2년(1624년)에 벽암대사가 중창한 것으로 총 120간, 건평 170평, 높이 약 20m에 이르는 대규모의 건축물입니다.

내부에는 앉은키가 5.5m, 허리둘레 3.9m에 이르는 국내 소조불 좌상으로 가장 크다고 알려진 3신불(三身佛)이 안치되어 있습니다.

중앙에 봉안한 불상은 진실로 영원한 것을 밝힌다는 진여의 몸인 법신 비로자나불상이고, 법신불을 중심으로 좌측에 안치한 불상은 과거의 오랜 수행에 의한 과보로 나타날 보신의 노사나불(노사나불)상이며, 우측은 중생을 제도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화신으로 나투신 석가모니불상입니다.

대웅전에 모셔진 부처님은 실내 안존불로서는 우리나라에서 제일 큰 불상입니다. 세 분 부처님을 좀 더 쉽게 설명하면, 우리 사람에게는 정신 즉 마음이 있고, 공부를 하면 지식이 있게 되는 즉 덕이 있고, 사람마다 제각기 육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사람이면 누구나 다 이 셋을 포용하고 있습니다. 법당의 가운데 부처님은 마음을, 왼쪽 부처님은 덕을, 그리고 오른쪽 부처님은 육신을 뜻한 것입니다. 이렇듯 부처님은 원래 한 분이지만 우리 중생들이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세 몸(三身)으로 모셔 놓은 것입니다.(출처 : 법주사)

법주사대웅보전소조삼불좌상(法住寺大雄寶殿塑造三佛坐像)

보물로 지정되었다. 불상 크기는 비로자나불 509㎝, 노사나불 492㎝, 석가모니불 471㎝이다. 점토로 만들어졌으며, 본존불인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왼쪽에 노사나불, 오른쪽에 석가모니불을 배치한 삼존불상으로 보존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1626년(인조 4)에 조성되었고, 1747년(영조 23)에 불상에 다시 금칠을 하였다.

비로자나불상은 네모진 얼굴에 기다란 귀, 건장하면서 굴곡이 없는 몸체와 무릎 때문에 둔중해 보인다. 머리에는 중앙계주와 정상계주가 있고 수인(手印)은 지권인(智拳印)을 취하고 있다. 법의(法衣)는 양어깨를 모두 덮은 통견(通肩)으로 대의 자락이 팔목에서 대칭되게 흘러내리고 있다. 노사나불상은 형태가 본존불과 거의 비슷하며, 수인은 왼손과 오른손이 뒤바뀐 하품중생인(下品中生印)을 취하고 있다. 머리에는 큼직한 중앙계주가 있다. 석가모니불상은 비로자나불상·노사나불상과 체형, 얼굴모습 등이 거의 같고 양식은 비슷하다. 수인은 석가여래불의 전형적인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으로, 무릎 위에 올린 오른손의 손끝이 땅을 향하고 있다. 한편 노사나불상과 석가여래불상은 수인이나 불상의 성격이 서로 다른 데도 불구하고 법의 착용법이 같다. 전체적으로 장대한 체구에 비하여 얼굴은 동안(童顔)이며 옷주름을 두텁게 표현하였다.(출처 : 법주사)

보은 법주사 대웅보전 후불도(報恩 法住寺 大雄寶殿 後佛圖.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이 탱화는 법주사 대웅보전 소조삼불좌상(보물) 후불정화로 모시고 있는 그림이다.

명문에 의하면 錦湖堂 若效가 제작한 것으로 제작연대는 1897년 전후인 것으로 추측된다. 노사나불, 비로자나불, 석가모니불 후면에 각 1점씩 배치되어 있으며 특이하게 사천왕탱화 2폭이 분리되어 걸려 있으며 3차례에 걸쳐 수리된 기록이 남아있다.

법주사 대웅보전의 높은 불단 위에 봉안된 소조삼존불좌상의 후면 벽에 걸려 있는 5폭의 후불탱화이다. 본존인 비로자나불도, 좌우협시인 아미타불도 2폭, 그리고 삼존불상 좌우 양쪽에 사천왕도 2폭 등 모두 5폭으로 상태가 양호하다.

󰡈 法住寺 大雄寶殿 後佛圖 가운데 가장 먼저 그려진 것은 1897년에 그려진 향우측의〈阿彌陀佛圖〉와 〈四天王圖〉중 東方天王과 南方天王이다. 이 불화를 그린 이는 奉化인데, 錦湖堂 若效가 같은 해 법주사에 그려 봉안한 〈八相圖〉의 각 장면에 등장하는 如來尊像과 기본형이 일치하며, 특히 陰影法과 渲染法을 병용한 서운의 채색 표현방식이 동일하다.

󰡈 1917년에 그려진 불화는〈毘盧遮那佛圖〉이다. 이 불화는 錦湖堂 若效의 제자인 普應堂 文性을 비롯하여 永星夢華·蓮庵敬仁·孝庵在讚·佛尊 梵華竺林이 그린 것으로 불·보살 각 존상 안면의 양감을 드러내기 위해 사용된 음영법, 어색한 그림자 표현 등에 文性 및 그 문도들의 화법이 잘 반영되어 있다.

󰡈 1925년에 그려진 불화는 향좌측〈阿彌陀佛圖〉와〈四天王圖〉중 西方天王과 北方天王이다. 이 두 폭은 강원도에서 화업을 시작하여 경기일대를 비롯, 전국을 돌며 불화를 그린 개성이 강한 화사 古山堂 竺演의 작품이다.〈四天王圖〉와〈阿彌陀佛圖〉상단 권속들의 안면이 용주사와 전등사〈神衆圖〉를 비롯하여 古山堂 竺演의 여타불화에서 볼 수 있는 강렬한 음영법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 불화는 2006년 보수하면서 특히 푸른 청색을 많이 쓰고 가칠하여서 원래의 고풍스러운 맛이 많이 없어져 보인다.

法住寺 大雄寶殿 後佛圖 일괄은 각각 제작시기가 다른데다가 근대화사로서 명성을 알렸으며, 최근 근대불교회화사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세 화사들에 의해 그려졌다. 그리고 이 작품들은 근대 불화계의 일부 畵師들에게 크게 선호되었던 서양화법 수용과 그에 따른 표현상의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다. 재료는 면포이다.

조성연대 및 화사는 다음과 같다.

󰡈 비로자나불도〈中央〉: 大正6년(1917년), 普應堂 文性

󰡈 아미타불도〈向左〉 : 佛紀2952년(1928년), 古山 竺演

󰡈 아미타불도〈向右〉 : 建陽2년(1897년), 奉化

󰡈 사천왕도 〈向左〉 : 佛紀2952년(1928년), 古山 竺演

󰡈 사천왕도 〈向右〉 : 建陽2년(1897년), 奉化

法住寺 大雄寶殿 後佛圖 및 법주사 경내 전각들의 後佛圖가 錦湖堂 若效와 그 門徒들에 의해 제작된 사실은 이미 불화계에 잘 알려진 사실이다. 비록 근대에 해당하지만 제작화사들의 높은 인지도와 문화재·학술연구대상으로서의 가치 또한 격상하고 있다.(출처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