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제40호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 1654번지
이 탑은 통일신라시대의 13층 석탑으로 높이는 5.9m에 달한다. 각 부의 양식과 조성 방법으로 보아 국내에서는 유사한 유례를 찾을 수 없다. 전체의 부재를 화강석으로 조성한 것으로 현재 옛 절터의 원위치에 원형을 잘 간직한 채 보존되어 있다. 기단은 단층 토축으로서 옛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어느 정도로 원형을 보존하고 있는지는 알 수 없다. 토대의 상면 중앙에는 1단의 석축이 마련되고 그 위에 4매석으로 구성된 높직한 2단의 방형괴임을 두고 13층의 탑신부를 받고 있다. 이 2단의 괴임돌은 곧 기단부 �개석 상면의 괴임대 수법으로서 현재는 마치 지대석과도 같은 구실을 하고 있다. 즉 이 받침석은 4매의 판석을 네 귀에 1매씩 놓아 짜맞추었으므로 신라 석탑의 기단부 덮개돌의 조성 수법과 동일하다. 높고 낮은 2단의 각층 받침을 조출하여 상층 기단 덮개돌 위에 놓아 그 위에 탑신부를 받는 받침대로 마련된 것으나 다름 없다. 그러나 현재는 석탑에 기단부가 없어 이 2단의 받침석이 지대석 또는 몸돌 괴임의 구실을 하고 있다. 탑신부는 13층의 몸돌과 지붕돌로 건립되었는데 특히 1층 몸돌은 131cm, 너비 166cm이고 지붕돌은 한 면의 길이가 284cm의 큰 규모로 조성되었다. 그러나 2층부터는 평면의 넓이 하나만 보아도 1층 지붕돌의 1/6에도 못 미치는 크기로 다른 탑의 체감률과는 비교가 안되게 현저히 작아졌지만 2층 이상부터는 13층까지 고른 체감률을 보이고 있다. 1층 몸돌은 네 귀에 큼직한 방형의 석주를 모서리돌로 세우고 그 안에 양측으로 모서리기둥에 붙여서 1석씩으로 된 작은 문설주같은 기둥을 세웠다. 기둥 사이에는 감실형의 문을 내고 그 위에 인방을 걸치고, 아래에 하방을 놓았는데 그 사이에 공간은 가로 33cm, 세로 77cm로 내부는 막혀 있다. 이러한 시설은 4면에 모두 같은 방법으로 설치되어 있다. 1층 지붕돌은 4매의 석재로 구성된 하면의 처마받침돌과 8매의 석재로 구성된 낙수면돌로 짜여졌다. 처마선은 편평하여 신라 석탑의 전형을 보이며, 네 귀의 전각에 경쾌한 반전과 낙수면은 평박하나 우동에는 합각머리를 볼록하게 돌출시켜 표현하였다. 상면은 1매의 판석으로 된 1단의 괴임돌을 놓아 2층 몸돌을 받고 있는데 이 괴임 별석으로 인하여 상부와 하부의 연결이 짜임새 있게 느겨진다. 2층 이상의 탑신부는 급격히 줄어들며 또한 몸돌과 지붕돌을 동일한 석재에 나마나므로 해서 마치 1층 탑신부에 부가된 상륜부 같아 보인다. 각 층 지붕돌 하면의 받침은 3단으로 1층과 같으며 지붕돌 각부의 양식도 동일하다. 처마는 편평하며 평박한 낙수면과 네 모서리 전각의 반전과도 잘 조화되어 전체적으로 경쾌한 형태를 보이며 처마 하단에 절수구는 마련하지 않았다. 상륜부는 도굴로 인하여 현재 노반만 남아 있다. 이탑은 일반형 석탑에서 보기 드문 13층일 뿐 아니라 1층 비하여 2층 이상이 일반적인 체감의 비례를 무시하고 과감하게 줄어드은 점 등 특수한 형태를 보이고 있고 1층 몸돌 또한 4면에 감실을 설치한 것과 아울러 기단 구조에 있어서도 통식에서 벗어난 특수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慶州市史3)
현황 : 동경통지에 의하면 신라 선덕왕 원년(780)에 당나라 첨의사 백우경이 난을 피하여 자옥산 아래에 영월당과 만세암을 세우니, 왕이 친히 나와 보고 암자를 정혜사라 고치고 당을 경춘이라 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현재 절터에는 보기드문 13층석탑이 있으며, 초층에 비해 2층 이상이 일반적인 체감의 비례를 무시하고 줄어든 점 등, 특수한 형태를 가졌을 뿐만 아니라 초층 옥신 4면의 감형 개설과 아울러 기단도 통식에서 벗어난 특수 현태로 축조되었다. 정혜사지 13층석탑은 국보 제40호로 지정 관리하고 있다.(경주시사3)
정혜사지 13층석탑의 명칭과 크기 바로가기 : http://blog.daum.net/kinhj4801/15960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