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경주/남산자료실

경주남산 열암곡(새삿갓골) 답사 자료 사진

노촌魯村 2006. 3. 5. 01:24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13호

경주시 내남면 노곡리 산 123번지

이 불상은 남산의 남쪽 줄기가 갈라져 계곡을 형성한 가운데에 위치한다. 불상을 받치던 대좌는 불상 앞에 흩어져 있고, 머리를 잃은 불상은 앞으로 넘어져 있던 것을 근래에 바로 앉혀 놓았다. 팔각형에 24개의 연꽃잎을 새긴 하대가 있고, 중대석은 보이지 않으며, 상대는 3중으로 연꽃을 새겼다. 불상은 당당한 자세를 유지하고 있는데, 오른쪽 어깨를 드러낸 우견편단으로, 왼쪽 가슴의 옷주름은 곡선으로 처리하여 한층 유려하게 보인다. 속옷은 비스듬히 흘러내리게 조각하였는데, 배부분에서 U자 모양으로 처리된 겉옷 속으로 사라진다. 겉옷은 손목까지 덮었고 , 불상의 뒷면에도 옷주름을 섬세하게 표현하였다. 왼손은 무릎에 올리고, 오른손은 손가락을 가지런히 무릎 아래로 내려서 항마촉지인을 하였다. 불상의 뒤에 세웠던 광배는 몇 조각으로 깨어져 흩어져 있는데, 전체에 당초와 무름무늬 및 화불을 장식하였고, 두광 부분은 꽃으로 장식하였다. 이 불상의 머리는 2005년 11월에 불상 아래 조금 떨어진 지점에서 발견되었는데 아쉽게도 상호의 마멸이 상당히 심하였다.(경주시사)

 

 

 

 

 

 

불상의 머리는 2005년 11월에 불상 아래 조금 떨어진 지점에서 발견되었는데 아쉽게도 상호의 마멸이 상당히 심하였다.

열암곡 마애불 얼굴 세부 (사진출처: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열암곡 마애불 (사진출처: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열암곡 마애불 (스케치) 

육계(부처의 정수리에 불룩 솟아오른 부분)가 높고 민머리(素髮)이며, 타원형의 얼굴에는 오뚝하게 솟은 코와 아래로 내리뜬 길고 날카로운 눈매, 그리고 도톰하고 부드럽게 처리된 입술 등이 잘 표현되어 있습니다. 특히, 귀는 발제선(髮際線: 머리털이 난 끝선)에서 어깨에 이를 정도로 매우 크며, 평면적으로 처리되어 있는 등, 비슷한 예를 찾기 어려운 특이한 모양을 하고 있어 주목되고 있습니다.
목에는 삼도(三道)가 입체적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어깨는 넓고, 가슴은 펴고 있어 당당한 모습을 보여주며, 두 발은 좌우로 벌리고 서 있습니다. 불상의 수인(手印)은 왼 손등을 바깥으로 하여 손가락을 가지런히 펴서 가슴 위에 얹었으며, 오른손 역시 손등이 밖을 향한 채 엄지손가락을 안으로 감싼 채 네 손가락을 가지런히 하복부에 대고 있는 특이한 형식입니다. 법의(法衣)는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발목까지 길게 내려오는 우견편단(右肩偏袒) 형식으로, 아래로 내려올수록 간격이 넓어지는 옷 주름이 9개 표현되어 있습니다. 두발은 발끝이 밖으로 향하게 벌리고 있으며, 연화대좌는 5장의 꽃잎을 낮게 조각하였습니다.

이 마애불은 약 4등신(等身)으로 몸에 비하여 머리부분이 크게 표현되어 있어 예불하는 사람이 마애불을 우러러 볼 때의 비례감을 고려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잘 나타내려고 한 점이 돋보입니다

복원된 열암곡 불상(문화재청 사진)

원래 모습을 되찾은 경북 유형문화재 제113호 경주시 남산 열암곡 석불좌상(위쪽).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29일 보수 정비를 마친 석불좌상을 공개했다. 8, 9세기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이 불상은 머리, 몸체, 광배(조각에서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해 머리나 등 뒤에 광명을 표현한 것), 대좌가 모두 분리된 채 2005년 발견됐다(아래쪽). 이번에 얼굴 손상 부분은 복원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