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남산 승소곡 삼층석탑(南山僧燒谷三層石塔) 경주 남산 승소곡 삼층석탑(南山僧燒谷三層石塔) 이 석탑은 통일신라시대에 유행했던 석탑과는 달리 하층기단(下層基壇)과 기단면석(基壇面石) 네 면에 각각 2좌(座)의 안상무늬[眼象文]를 새겼으며, 초층탑신 4면에도 각각 커다란 안상무늬를 새기고 그 속에 사천왕상(四天王像)을 도들.. 경주/경주남산의 옛 사진들(경주남산의 불적. 조선총독부) 2006.05.11
부계서당, 양산서당, 휘찬려사목판 휘찬려사 목판(도 유형문화재 제 251호) 국호 "대한민국(大韓民國)"의 한(韓)의 유래를 밝힌 휘찬련사는 조선시대 학자인 홍여하에 의해서 편찬되었습니다. 저자인 홍여하(洪汝河, 1621년~1678년)의 자(字)는 백원(白源), 호는 목제(木齊), 본관은 부림 홍씨로 과거를 거쳐 요직을 역임했으며, 당시 남인으로.. 경상북도/군위 2006.05.09
군위삼존석굴(제2석굴암) 전형적인 지권인 "삼존석불 비로자나불좌상" 이 불상은 작자 미상의 석조 비로자나불 좌상으로 대좌(臺座)와 광배(光背)는 소실되었으며, 9세기경의 불상을 따르고 있습니다.불상의 형식은 결가부좌에 양 쪽 어깨에 법의(法衣)가 조금 걸쳐 있어 앞가슴이 넓게 드러나 있습니다. 손은 비.. 경상북도/군위 2006.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