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계서당, 양산서당, 휘찬려사목판 휘찬려사 목판(도 유형문화재 제 251호) 국호 "대한민국(大韓民國)"의 한(韓)의 유래를 밝힌 휘찬련사는 조선시대 학자인 홍여하에 의해서 편찬되었습니다. 저자인 홍여하(洪汝河, 1621년~1678년)의 자(字)는 백원(白源), 호는 목제(木齊), 본관은 부림 홍씨로 과거를 거쳐 요직을 역임했으며, 당시 남인으로.. 경상북도/군위 2006.05.09
군위삼존석굴(제2석굴암) 전형적인 지권인 "삼존석불 비로자나불좌상" 이 불상은 작자 미상의 석조 비로자나불 좌상으로 대좌(臺座)와 광배(光背)는 소실되었으며, 9세기경의 불상을 따르고 있습니다.불상의 형식은 결가부좌에 양 쪽 어깨에 법의(法衣)가 조금 걸쳐 있어 앞가슴이 넓게 드러나 있습니다. 손은 비.. 경상북도/군위 2006.05.09
화산산성 화산산성(華山山城 시도기념물 제47호 (군위군) )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에 있는 이 성은 조선 숙종 35년(1709)에 병마절도사 윤숙이 왜적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병영을 건설하고자 쌓은 산성이다. 윤숙은 4문의 기초공사를 시작하여 먼저 홍예문을 세우고, 혜후와 두청 스님으로 하여금 군.. 경상북도/군위 2006.05.09
설악산(권금성) 케이블카를 타면 손쉽게 권금성에 올라간다. 설악동 소공원 안의 깎아지른듯한 돌산800m 위 80칸의 넓은 돌바닥 둘레에 쌓은 2,100m의 산성이 권금성이다. 산성을 만든 연대는 확실한 기록이 없어 알기 어렵다. 다만, 신라시대에 권씨와 김씨 두 장사가 난을 피하기 위해 쌓았다 하여 권금성.. 강원도 2006.05.07
용흥사(갑장산) 용흥사는 상주시로부터 10Km 쯤 떨어진 지천리에 소재하고 있다. 연악산(갑장산) 중턱에 위치하여 절 아래 개울에는 폭포가 있어 사찰경관을 돋보이게 하고 있으며 절의 뒤쪽 골짜기에는 약수가 있어 더욱 유명하다. 사찰 유적지는 없으나 1976년 극락전을 중수할 때 발견된 용흥사 중수 상량문이 발견.. 경상북도/상주 2006.04.24
갑장산 고려 충렬왕이 승장사에서 잠시 쉬었다 가며 "영남의 으뜸산" 이라하여 갑장산이라고도하며 갑장사 절의 이름을 따서 갑장산이라고도 한다. 갑장산은 산세가 부드럽고 아름다우며 정상 부근에 사찰인 갑장사와 상사바위, 백길바위, 시루봉, 바람문, 나옹바위 등이 산재해 있고 상주시 내에서 가까워 .. 경상북도/상주 2006.04.24
갑장산의 갑장사 갑장산 갑장산(806m)은 상주시에서 선산 방향으로 6km 쯤 떨어져 있는 굴티고개에서 시작된다. 산 아래에는 각 종 자생식물과 잡목이 우거져 있으며 동쪽으로는 깎아지른 듯한 절벽인 백길바위가 있고, 남쪽으로는 떡시루를 엎어놓은 듯한 기이한 암석이 있는데 이를 시루봉이라 하며 동쪽으로는 낙동.. 경상북도/상주 2006.04.24
천관사지 천관사지 폐탑 기단부 천관사(天官寺)터 재매정 집에서 월성 쪽으로 올라와 남천의 월정교(月精僑)를 건너서 경주시 교동 145번지 들가에 이르면 김유신이 청년 시설 사랑한 여인 천관녀의 집이 있던 곳에 세운 천관사터가 지금도 있다. 논둑에는 무너진 석탑재(石塔材)가 남아 있는데, 그.. 경주/남산자료실 2006.04.19
열암곡(샛갓골)의 2005년도 발견 불두를 찾아서 샛갓골 능선에서 본 백운 마을 경주 샛갓골(열암곡) 석불좌상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13호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노곡리 유래를 알 수 없는 이곳 사지에서 발견된 이 불상은 현재 완전히 도괴되어 불상 파편과 대좌만이 남아 있다. 현재 남아 있는 불상 파편은 머리가 결실된 .. 경주/남산자료실 2006.04.17
별천룡골 답사 별천룡골 능선에서 본 백운마을 별천룡골 폐탑재 별천룡골 금당터 묘지의 상석으로 사용된 탑재 별천룡골 답사 가는 길에서 본 난장이붓꽃 경주/남산자료실 2006.04.17
2006 흥무대왕(김유신장군)춘계제향 이모저모(2) 김유신 묘 사적 제21호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충효동 송화산 중복에 자리 잡고 있는 이 고분은 삼국 통일의 명장 신라 김유신 장군의 묘이다. 김유신 장군은 금관가야국(가락국)의 마지막 왕 김구해(일명 김구형)의 증손이며 신라의 명장이었던 서현 장군의 아들로 태어나 15살에 화랑이 되어 무예.. 경주/경주인근자료 2006.04.14
경주에 유채화가 피었습니다.(구경오시오) 반월성에 벗꽃은 지고 있는 중이고 유채화는 지금 한창 피고 있습니다 첨성대 부근 허트 모양의 꽃장식에 사랑하는 이와 사진 한 장 촬영하고 싶은 생각 ... 대능원 옆의 도로 꽃은 낙화도 아름답습니다. 경주/경주인근자료 2006.04.12
용추계곡 덕유산장수사조계문(용추사 일주문 도유형문화재 제 54호 ) 이 건물은 신라 소지왕 9년(487)에 각연대사가 장수사를 창건할 때 건립하였다고 전하는 문으로써 측면으로 기둥이 하나로 된 일주문이다. 일주문은 사찰로 진입할 때 제일 먼저 통과하는 문으로 일반적으로 기둥 하나로 지탱하.. 경남 2006.03.29
부석사(7) 목조건축으로 느끼는 선조들의 숨결(고려시대 목조 건축물-국보) : http://visit.ocp.go.kr/visit/cyber_new/serv03.jsp 경상북도/영주 2006.03.28
부석사(4) 국보 제18호 고려시대 ○소 재 지 : 부석 북지리 ○지정일자 : 1962. 12. 20 부석사 무량수전은 부석사의 본전으로 신라 형식으로 보이는 석기단 위에 초석을 다듬어 놓고 정면 5칸, 측면 3칸으로 배치하였다. 기둥은 배흘림이 많은 두리기둥을 세웠고, 지붕 네 모서리에 활주를 받쳤다. 공포는.. 경상북도/영주 2006.03.28
부석사(3) 국보 제17호 통일신라 ○소 재 지 :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8 148 ○지정일자 : 1962. 12. 20 무량수전과 자오선상에 있다. 사각의 이중 기대석 위에 8각을 기본으로 한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팔각석등이다. 지대석은 4매석으로 상면에 3단의 기단받침을 각출하였다. 방형의 기단석은 각 측.. 경상북도/영주 2006.03.28
부석사(2) 목조건축으로 느끼는 선조들의 숨결(고려시대 목조 건축물-국보) : http://visit.ocp.go.kr/visit/cyber_new/serv03.jsp 경상북도/영주 2006.03.28
부석사(1) 일주문 봄의 화신이 방문하여 산수유을 피워놓고 갔습니다. 보물 제255호 통일신라시대 ○소 재 지 : 부석 북지 117 ○지정일자 : 1963. 1. 21 부석사 경내로 올라가는 최하층의 좌측 노변에 위치해 있는데 양 지주가 1m간격으로 동서로 상대해 있다. 전면에는 별다른 조식이 없고 다만 양쪽 모.. 경상북도/영주 2006.03.28
금성단 금성단은 경상북도 기념물 제93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조선 세조 때 단종임금의 복위(復位)를 도모하다가 무참히 화를 입은 금성대군(錦城大君:이름 瑜, 세종임금의 여섯째 아들, 단종의 숙부, 수양대군의 넷째동생)과 순흥부사 이보흠(李甫欽) 및 그 일에 연루되어 순절한 의사들을 제사 .. 경상북도/영주 2006.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