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2023/11/17 3

범어사 보제루(梵魚寺普濟樓)

범어사 보제루(梵魚寺普濟樓.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에 있는 조선 후기 누각 형식의 건물. 널리 중생을 제도한다는 뜻이 담긴 보제루(普濟樓))에서는 예불(禮佛)과 법요식(法要式)이 거행된다. 범어사 일주문(梵魚寺一柱門)·범어사 천왕문(梵魚寺天王門)·범어사 불이문(梵魚寺不二門)의 삼문을 거쳐 높은 석계를 올라 도달하는 중간 마당의 첫째 건물이 범어사 보제루(梵魚寺普濟樓)이다. 범어사 보제루는 1699년(숙종 25)에 승려 자수의 주관으로 창건되었다. 사적기(事績記)에 의하면 1813년(순조 13)에 승려 신정의 주관으로 중건되었으며, 이후 1827년(순조 27)에 다시 중건된 기록이 있다. 정면 5칸, 측면 3칸 규모의 단층 건물로, 이익공식(二翼..

부산 2023.11.17

범어사 천왕문(梵魚寺天王門)

범어사 천왕문(梵魚寺天王門.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천왕문. 범어사 천왕문(梵魚寺天王門)은 삼문(三門) 가운데 두 번째 문으로서 사찰의 대문 역할을 하며, 13단의 높은 석계를 오르는 축대 위에 4구의 사천왕상(四天王像)을 봉안한 건물이다. 사천왕은 지상에서 가장 가까운 하늘의 동서남북 사방을 담당하여, 인간이 선을 행하고 악을 행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 불법(佛法)의 수호신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점에서 범어사 천왕문은 범어사(梵魚寺)라는 성역에 이르기 위해 속세의 티끌을 걸러내는 중요한 통과 의례 장치에 해당한다. 범어사 천왕문은 범어사의 일주문인 부산 범어사 조계문(釜山梵魚寺曹溪門)과 중문(中門)인 범어사 불이문..

부산 2023.11.17

범어사 불이문(梵魚寺不二門)

범어사 불이문(梵魚寺不二門.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이문. 범어사 불이문(梵魚寺不二門)은 부산 범어사 대웅전(釜山梵魚寺大雄殿)으로 오르는 축선상의 삼문 가운데 세 번째 문으로, 범어사 보제루(梵魚寺普濟樓)와 연결된다. 범어사 불이문은 1699년(숙종 25)에 승려 자수가 범어사 천왕문(梵魚寺天王門)과 함께 창건하였다. 지금의 건물은 창건 이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최근에 정면 기둥의 초석을 교체하였다. 정면 3칸, 측면 1칸 규모의 겹처마 맞배지붕 건물이다. 공포는 내외 이출목(二出目)의 주심포작으로 결구되어 있지만 다포식 공포와 흡사한 형상이 특이한 점이다. 불이문은 진리가 둘이 아니고 하나임을 강조한 사찰의 상징적..

부산 2023.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