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2023/11/19 3

범어사 비로전(梵魚寺毘盧殿)과 범어사 미륵전(梵魚寺 彌勒殿)

범어사 비로전(梵魚寺毘盧殿.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 범어사 비로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의 맞배지붕 부불전(副佛殿)으로, 처마는 전면만 부연(附椽)을 둔 겹처마이고, 배면은 홑처마로 되어 있다. 2014년 시행된 비로전 해체수리 때 종도리 밑면에서 발견된 「동래도호부북령금정산범어사비로전상량문(東萊都護府北嶺金井山梵魚寺毘盧殿上樑文)」이란 제목의 묵서(墨書)한 상량문을 통해 1684년(康熙 24)에 중창(重創)된 건물이라는 건축 연혁을 분명하게 알 수 있게 됨으로써 그동안 간접사료에 기록된 범어사 비로전의 건립연대를 확인했을 뿐 아니라, 부산 지역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건물 중의 하나임이 입증되었다. 범어사 비로전의 고졸(古拙)한 익공식 공포(翼工式..

부산 2023.11.19

부산 범어사 대웅전(釜山 梵魚寺 大雄殿)

부산 범어사 대웅전(釜山 梵魚寺 大雄殿. 보물. 부산 금정구 범어사로 250, 범어사 (청룡동)) 경상남도 3대 절 중 하나로 유명한 범어사는 『삼국유사』의 기록에 따르면 의상대사가 통일신라 문무왕 18년(678)에 처음으로 지었다고 한다. 또한 옛날 일본인이 침입했을 때에는 이곳의 승려들이 전쟁에 직접 참여하여 함께 싸우기도 했던 중요한 곳 중 하나로도 알려져 있다. 1993년 문화재연구소 정밀실측 중 대웅전 종도리 묵서명에서 효종 9년(1658) 상량식을 거행한 내용이 발견되었는데, 이를 통해 대웅전이 1592년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후 1602년 당시 현감이 임시 복구하였으며 1658년 효종 9년에 중수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밖에 암막새 명문과 기단 각자, 목부재 기록 등으로 볼 때 현재 대웅전은 ..

부산 2023.11.19

범어사 팔상·독성·나한전(梵魚寺八相·獨聖·羅漢殿)

범어사 팔상·독성·나한전(梵魚寺八相·獨聖·羅漢殿.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로 250[청룡동 546])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전. 범어사 팔상·독성·나한전(梵魚寺捌相·獨聖·羅漢殿)은 부산 범어사 대웅전(釜山梵魚寺大雄殿)의 서쪽 상단에 위치한다. 범어사 팔상·독성·나한전은 1706년(숙종 32) 이전에 건립된 이후, 1905년(고종 42) 11월부터 1906년 11월까지 약 1년여에 걸친 대공사 끝에 현재의 모습으로 새롭게 단장되었다. 각각의 3불전(佛殿)을 하나의 건물에 융합하였는데, 중앙에 독성전(獨聖殿)을 두고 좌우에 팔상전(八相殿)과 나한전(羅漢殿)이 각각 배분되어 있다. 원래는 중앙의 천태문(天台門)을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팔상전과 나한전이란 별개의 건물이 있었다. ..

부산 2023.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