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2025/05/05 4

연풍고택(延豊古宅)

이곳은 서기 1838년 수정기원4 무술 7월 17 병진일 임진 시 입주(崇禎紀元 四 戊戌 七月 十七 丙辰日 立柱) 동월 21 경신일 신사협길 상량(冬月 二十一 庚申日 辛巳 協吉 上樑) 선산김(善山金) 28세(世) 처사공(處士公) 휘(諱) 상택(相) 29세(世) 묵암공(黙庵公) 휘(諱) 사묵(思黙) 통훈대부 행 연풍현감 충주진관 병마절레도위(通訓大夫 行 延豐縣監 忠州鎭管 兵馬節制都尉) 처사공 53세 묵암공 33세 때에 건립한 서른두칸( 정면 8칸 측면4칸 –앞뒤 반 칸-)의 웅장한 전통한옥이 자리하였던 곳이며 현재의 건물보다 약3미터-주춧돌 높이와 본 건물의 높이를 합함- 높이로 되어 있었음. 서기 1950년 한국전 전란으로 그해 9월 소실(燒失 -112년 존속-) 되기 전 거주하였던 태두(泰斗 처사공 4..

경상북도/고령 2025.05.05

도연재(道淵齋)

도연재(道淵齋. 경상북도 문화유산자료. 경북 고령군 쌍림면 개실1길 34 (합가리))이 건물은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 1431~1492)의 높은 뜻을 기리기 위해 지방 유림들이 조선 고종(高宗) 원년(1886)에 건립하여 유생을 가르치고 제사를 모시는 재실이다.도연재는 종택(宗宅)에서 남서쪽으로 약 100m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정면 5칸, 측면 2칸의 ‘ㅡ’자형 맞배지붕으로 상부가구는 5량가이며, 소로수장집이다. 건물의 좌측 전면에는 높은 누마루를 두었으며, 그 하부에는 광을 설치하였다. 우측에는 전면이 개방된 대청을 두었는데 우측면과 배면의 각 칸에는 쌍여닫이 판문이 설치되었고, 대청 좌측에는 전면에 툇마루를 둔 2통칸 온돌방이 설치되었으며, 대청과 방 사이에는 2분합 들문을 달아 개방할..

경상북도/고령 2025.05.05

점필재종택(佔畢齋宗宅)

">점필재종택(佔畢齋宗宅. 경상북도 민속문화유산. 경북 고령군 쌍림면 개실1길 26 (합가리))이 건물은 선산 김씨(善山 金氏) 문충공파(文忠公派)의 종택으로 안채는 1800년경에 건립, 1878년에 중수하였고, 사랑채는 1812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문충공(文忠公) 점필재 김종직 (金宗直, 1431~1492)은 고려 말 정몽주․길재의 학통을 이은 아버지 김숙자(金叔滋)로부터 학문을 익히면서 조선시대 도학의 정맥을 계승하였다. 조선 성종(成宗)때에는 도승지(都承旨), 예조참판(禮曹參判) 등을 역임하면서 왕의 총애를 받았다. 그러나 연산군(燕山君) 때 무오사화(戊午士禍)로 관직이 발탁되고 무덤이 파해쳐지는 수모를 당하기도 하였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신원되었다.종택은 마을 뒷산을 등지고 완만한 경..

경상북도/고령 2025.05.05

합천 핫들생태공원-유채화(油菜花)-

">유채화(油菜花) : 유채화는 배추과(십자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인 ‘유채(Brassica napus)’에서 피는 꽃을 말합니다. 유채는 아시아, 유럽, 뉴질랜드 등 세계적으로 널리 재배되는 식물로, 한국에서는 주로 봄철에 노랗게 만개한 유채꽃밭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유채의 줄기는 80~130cm 정도로 곧게 자라며, 잎은 피침형으로 아래쪽은 잎자루가 길고 위쪽은 줄기를 감싸는 형태입니다. 꽃은 4장의 노란 꽃잎이 총상꽃차례로 줄기 끝에 모여 피며, 화려한 노란색이 특징입니다. 유채꽃이 지고 나면 길쭉한 꼬투리가 맺히고, 이 안에서 종자가 자라는데 이 종자에서 짜낸 기름이 바로 유채기름(카놀라유)입니다. 이 기름은 식용유, 바이오 연료, 엔진 윤활유 등 다양한 용도로 쓰입니다. 유채는 품종에 따라..

기타/꽃 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