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경상북도/영천

일성부원군(日城府院君) 정운관(鄭云瓘 : 포은 정몽주선생의 부) 묘소

노촌魯村 2022. 1. 17. 13:53

 

일성부원군(日城府院君) 정운관(鄭云瓘 : 포은 정몽주선생의 부)

延日(迎日,烏川)鄭씨 지주사공파(知奏事公派) 9대손

父는 증밀직부사 유(裕), 祖父는 증개성윤 인수(仁壽), 曾祖父는 판도판서 림(林), 高祖父는 진현관제학 종흥(宗興)이다. 선생은 향시 과거에 합격한 뒤 성균복응제생의 벼슬에 올랐으며 뒤에 아들인 포은 정몽주가 귀하게 되어 신덕수의성근익조공신에 벽상삼한삼중대광으로 수문하시중 판병조사상호군영경령전사 일성부원군에 증직되었으며, 부인 이씨는 변한국대부인(卞韓國大夫人)에 봉해졌다.

슬하에 네명의 자손을 두셨는데 장남이 포은 정몽주, 둘째가 정과(鄭過)로 벼슬이 예조판서이며, 셋째가 鄭厚, 넷째가 鄭蹈로 벼슬이 사재령판서로 1392년 임신 4월에 둘째인 정과(鄭過)와 함께 이성계의 반정세력에 의해 포은께서 선죽교에서 순절시 함께 화를 당하셨다.

선생은 고려 공민왕 4년(1355,을미) 1월에 돌아가셨는데 이때 포은이 19세 되던 해였다. 포은은 이때 영천 도일동에 장사를 지내고 묘소에서 3년 동안이나 여묘살이를 하였다.

선생의 묘소는 임란병화로 허물어졌다가 중세들어 이 고을 군수인 한덕(外派孫)이 알고 표석을 만들어 세웠으며 후에 10세 종손인 현감 정운한(鄭雲翰)과 9세손 정익이 다시 비석을 세웠다. (출처 : 연일(延日,迎日,烏川)정씨(鄭氏) 지주사공파(知奏事公派))

           

오랜 세월의 흔적이 묻어나는 묘비석에는 '고려증 문하시중 일성부원군 정공지묘'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

고려증문화시중일성부원군오천정공묘비에 내용 중 백로가에 대한 글

  선생先生유시幼時대부인大夫人작作백로가白鷺歌

 

백로가

 

까마귀가 싸우는 골에 백로야 가지 마라

성낸 까마귀가 흰 빛을 샘낼까 염려스럽구나

맑은 물에 기껏 씻은 몸을 더럽힐까 하노라

 ​

비문 중 백로가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는 분들 ..

아래쪽에는 외가 쪽(영천 이씨) 사람 이부(李桴, 통정대부 행훈련부장)의 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