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복사지는 기린산 아래에 지은 사찰로 일설에는 신라 말 도선국사가 지었다는 설이 있으나, 기록에 의하면 고려 문종 때 세운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사찰에는 대웅전, 천불전, 영상전, 종각, 명부전, 나한전, 약사전이 있었으며 5층석탑, 석불입상, 당간지주, 석인상등이 있어 규모가 매우 큰 사찰이었다고 하며 만복사지 부근에는 백뜰, 썩은 밥배미, 중상골 등의 지명이 있어 당시의 사찰 규모를 추정할 수 있다. 백뜰은 만복사지 앞 제방을 말하는데, 승려들이 빨래를 널어 이곳이 온통 하얗다 해서 붙여진 지명이고 썩은 밥배미는 절에서 나온 음식물 찌꺼기를 처리하는 장소로 승려의 수가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남원의 8경 중 만복사 귀승이 있는데 시주를 마치고 저녁 나절에 만복사로 돌아오는 승려들의 행렬이 실로 장관을 이루었다는 것에서 아름다운 경치로 꼽았다고 한다. 1979-1985년까지 7차례 걸친 발굴조사결과 만복사지는 창건 후 몇 차례에 걸쳐 중창되어 목 탑지를 중심으로 동쪽, 서, 북쪽에 각각 금당지가 있는 1탑 3금당식의 가람 배치양식의 사찰로 북금당지 북쪽에 강당지가, 목탑지 남쪽에 중문지가 있었던 것으로 밝혀져 고려시대 사찰 가운데 유일하게 절의 구조와 형식을 알아볼 수 있는 유구가 남아있어 고려시대의 가람 연구에 귀중한 사료가 되고 있다. 만복사지는 정유재란 남원성 전투 때 소실된 후 1679년 (숙종 4년) 남원부사 정동설이 복원을 꾀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오늘에 이르고 있는데 "금오신화"의 저자 매월당 김시습은 만복사를 배경으로 "만복사저포기"라는 한문소설을 남겨 한문소설의 효시를 이루었으며 당시 만복사의 실상을 알 수 있게 하고 있다.(한국관광공사 자료에서)
불대좌
당간지주
만복사지 석불(광배 뒷면에도 불상이 조각됨)
만복사 오층석탑
인왕상(현재 도로 아스팔트 포장 기까이에 머리 부분만 보이고 나머지 부분은 묻혔있다.)
인왕상(도로에서 발굴 후)
'전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고의 열녀 성춘향의 묘 (0) | 2007.06.15 |
---|---|
용담사지 (0) | 2007.06.15 |
채석강 그리고 호랑가시나무 (0) | 2006.03.16 |
솔섬의 일몰(부안) (0) | 2006.03.16 |
선운사 답사 (0) | 2006.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