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평지평리삼층석탑(楊平砥平理三層石塔) 양평 지평리 삼층석탑(楊平砥平理三層石塔.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80호.경기 양평군 지평면 지평의병로 107(지평리.지평초등학교 교정)) 이 탑은 경기도 양평군 지평면 지평리 야산에 있었다고 전하나 원 위치는 확인 할 수 없고 1945년 현 위치로 옮겨져 2001년도에 복구한 것이다. 2층 탑신.. 경기도 2015.04.04
‘옥동금(玉洞琴)’ 중요민속문화재 지정 예고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경기도 안산시 성호기념관이 소장하고 있는 ‘옥동금(玉洞琴)’을 중요민속문화재로 지정 예고하였다. ‘옥동금(玉洞琴)’은 성호 이익(星湖 李瀷, 1681~1763년)의 셋째 형인 옥동 이서(玉洞 李漵, 1662~1723년)가 만들어 연주하던 거문고이다. 이 거문고는 제작 시.. 경기도 2014.08.19
국립문화재연구소, 물거미 증식 최초 성공 국립문화재연구소, 물거미 증식 최초 성공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강순형)는 세계적 희귀종인 물거미의 증식․보존 연구를 통하여 물거미를 증식하는 데 최초로 성공하였다. 이번에 증식된 새끼 물거미(학명: Argyroneta aquatica)는 크기가 평균 1.55mm로, 오백원짜리 동전보다 약 5.. 경기도 2014.08.13
- 제38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정부간위원회에서 등재 최종 결정 - 남한산성(Nanhansanseong) 세계문화유산 등재 - 제38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정부간위원회에서 등재 최종 결정 - 1. 카타르 도하에서 개최되고 있는 제38차 세계유산정부간위원회(World Heritage Committee, 6.15.-25.)는 현지 시각 6.22.(일) 우리나라가 등재 신청한 ‘남한산성(Namhansanseong)'을 유네스코 세계.. 경기도 2014.06.23
연천 은대리 물거미 서식지(漣川 隱垈里 물거미 棲息地) 및 겨울잠 자는 어린 물거미 최초 확인 연천 은대리 물거미 서식지(漣川 隱垈里 물거미 棲息地) 연천 은대리 물거미 서식지(漣川 隱垈里 물거미 棲息地.천연기념물 제412호.경기 연천군 전곡읍 은대리 693-18번지 등 82필) 물거미는 전세계에 오직 1종만이 존재하며, 한국, 일본, 중국, 유럽의 온대지방, 시베리아 및 중앙아시아 등.. 경기도 2014.01.27
화성성역의궤 - 100년 전 프랑스를 사로잡다. 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1801년(순조 1) 정리의궤청(整理儀軌廳)에서 화성 성곽축조에 대한 기록을 모아 간행한 책. 수원 화성(水原 華城.사적 제3호.경기 수원시 장안구 연무동 190) 수원 화성은 서쪽으로는 팔달산을 끼고 동쪽으로는 낮은 구릉의 평지를 따라 쌓은 평산성이다. 정조는.. 경기도 2014.01.19
칠장사(七長寺) 칠장사당간(七長寺幢竿.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9호. 경기 안성시 죽산면 칠장리 801-1) 당간지주는 사찰 입구에 설치하는 것으로, 절에 행사나 의식이 있을 때면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둔다. 깃발을 걸어두는 길쭉한 장대를 당간이라 하며, 이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 경기도 2013.06.15
안성죽림리삼층석탑(安城竹林里三層石塔) 안성죽림리삼층석탑(安城竹林里三層石塔.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79호.경기 안성시 죽산면 칠장리 764 ) 이 탑은 전체 높이가 363cm이고, 지대석은 가로 171cm, 세로 140cm이다. 석탑은 단층 기단 위에 세워진 방형의 석탑으로, 중대석은 각 면을 1식으로 마감하고, 갑석은 1판석에 옥신괴임을 2단.. 경기도 2013.06.15
칠장사오불회괘불탱. 칠장사삼불회괘불탱. 인목왕후 어필 칠언시 사진출처:문화재청 칠장사오불회괘불탱(七長寺五佛會掛佛幀.국보 제296호. 경기 안성시 죽산면 칠장로 399-18, 칠장사 (칠장리) 괘불탱화란 야외에서 불교의식을 행할 때 높이 걸어 놓아 멀리서도 볼 수 있도록 만든 커다란 의식용 불화를 일컫는 말이다. 칠장사에 있는 오불회괘불탱화는 .. 경기도 2013.06.15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安城 七長寺 慧炤國師碑)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安城 七長寺 慧炤國師碑.보물 제488호.경기 안성시 죽산면 칠장로 399-18, 칠장사 경내 (칠장리)) 승려 혜소국사(慧炤國師 972~1054)를 추모하기 위해 세운 비로서, 비문(碑文)은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 김현 선생이 짓고, 글씨는 전중승, 민상제 선생이 구양순체(歐陽.. 경기도 2013.06.15
안성 봉업사지 석조여래입상(安城 奉業寺址 石造如來立像) 현재 <안성 봉업사지 석조여래입상(安城 奉業寺址 石造如來立像)>이 있는 칠장사 원래 <안성 봉업사지 석조여래입상(安城 奉業寺址 石造如來立像)>이 있던 봉업사지 안성 봉업사지 석조여래입상(安城 奉業寺址 石造如來立像.보물 제983호.경기 안성시 죽산면 칠장로 399-18, 칠장.. 경기도 2013.06.15
안성 칠장사 명부전 및 목조지장삼존상과 시왕상 일괄 칠장사 명부전 안성 칠장사 목조지장삼존상과 시왕상 일괄(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27호. 경기 안성시 죽산면 칠장리 764 ) 지장보살좌상과 시왕상 등은 제작연대와 제작자 등을 추정할 수 있고, 보존상태가 우수하여 조선 후기 불교조각사 연구에 기준작으로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작품들.. 경기도 2013.06.15
안성 칠장사 범종(安城七長寺梵鐘) 안성 칠장사 범종(安城七長寺梵鐘.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38호. 안성 칠장사 범종 (安城七長寺梵鐘)) 칠장사 범종은 명문상 1782년에 신안태, 이년성,이영선,이영준,청봉이 제작하였다고 언급되어 있음. 범종의 형태와 문양배치에서 조선후기 전형적인 범종형식을 잘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경기도 2013.06.15
칠장사대웅전(七長寺大雄殿) 칠장사대웅전(七長寺大雄殿.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4호. 경기 안성시 죽산면 칠장리 764) 조선 숙종 20년(1694)에 절이 불에 타 숙종 30년에 석규대사가 대웅전을 옮겼다. 영조 12년(1736)에 설영대사가 고쳤으며, 그 뒤에도 여러 차례 수리하였다. 칠장사 대웅전은 석가모니를 모시는 법당으로 .. 경기도 2013.06.15
칠장사소조사천왕상(七長寺塑造四天王像) 칠장사소조사천왕상 (七長寺塑造四天王像.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5호.경기 안성시 죽산면 칠장리 764) 경기도 안성군 죽산면 칠장사(七長寺) 사천왕문의 좌우에 2구씩 모셔져 있다. 사천왕은 동서남북을 수호하는 불가의 신으로 본래는 인도의 민간신이었다고 한다. 부처님의 도량과 불법.. 경기도 2013.06.15
칠장사당간(七長寺幢竿) 칠장사당간(七長寺幢竿.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9호. 경기 안성시 죽산면 칠장리 801-1) 당간지주는 사찰 입구에 설치하는 것으로, 절에 행사나 의식이 있을 때면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둔다. 깃발을 걸어두는 길쭉한 장대를 당간이라 하며, 이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 경기도 2013.06.15
안성봉업사지(安城奉業寺址) 안성봉업사지(安城奉業寺址.경기도 기념물 제189호.경기 안성시 죽산면 죽산리 145외 41필지) 이 사지는 죽산면에서 일죽으로 가는 도로를 따라가다 보면 왼편으로 넓은 뜰이 있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봉업사지의 사명(寺名)이 확인된 것은 1966년 경지정리작업 중 출토된 향완과 반자에 새.. 경기도 2013.06.15
매산리석불입상(梅山里石佛立像.미륵당의 태평미륵) 매산리석불입상 (梅山里石佛立像.미륵당의 태평미륵.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7호.경기 안성시 죽산면 매산리 366) 경기도 안성에 있는 높이 3.9m의 보살상으로 머리에는 보관(寶冠)이 높이 솟아 있는데, 고려 초기 보살상에서부터 흔히 나타나는 모습이다. 얼굴은 넙적하고 눈·코·입은 비.. 경기도 2013.06.15
바우덕이 사당(바람은 노을되어...) 바우덕이는 안성남사당의 전설적인 인물이며, 우리나라 남사당 역사에서 유일무이한 여성 꼭두쇠로 알려진 인물이다. 구전에 의하면 5살 때 머슴살던 아버지가 병으로 사망하자 남사당패에 맡겨져 살면서 재주를 익혀 염불, 소고춤, 줄타기 등 남사당의 모든 기예를 익혔다고 한다. 15살 .. 경기도 2013.05.24
안성맞춤박물관 안성시 대덕면 내리 중앙대학교 안성캠퍼스 입구에 세워진 안성맞춤 박물관은 유기를 중심으로 안성의 풍부한 문화유산을 함께 접할 수 있는 테마 박물관이다. 지상2층 지하 1층 총 3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유기 전시실, 영상실, 기획 전시실, 농업역사실, 향토 사료실, 세미나실, 학예.. 경기도 2013.05.07
안성 3ㆍ1운동기념관 - 광복사(순국선열 사당) - 3ㆍ1운동 당시 안성지역에서의 순국하거나 고문을 당하신 분들의 넋을 위로하고 그 뜻을 기리기위한 사당으로 현재 이 곳에서는 순국선열 25위와 애국지사 195위의 위패가 봉인되어 있습니다. 위치 : 경기도 안산시 원곡면 칠곡리 2-18 <1919년 3월 11일> 최초의 .. 경기도 2013.05.06
미리내성지 위치 :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 미리내성지로 420 미리내성지는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 미산리에 마련되어 있는 성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를 모시고 있는 천주교의 유서 깊은 성지이다. "미리내(은하수의 순 우리말)" 라는 예쁜 이름을 가지고 있는 이 곳은 지금 보아도 산이 높고 골이 깊은 곳.. 경기도 2013.05.06
청룡사 사적비 (靑龍寺事蹟碑) 및 청룡사 부도군 청룡사(靑龍寺) 청룡사 사적비(靑龍寺事蹟碑.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24호.경기 안성시 서운면 청룡리62-4) 사적비란 어떠한 사건에 관련된 사실이나 자취를 기록한 것이다. 청룡사 절내의 부도밭으로 가는 입구에 서 있는 이 비는 청룡사의 중수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것이다. 청룡사는 고.. 경기도 2013.05.05
청룡사 명부전 안성 청룡사 <명부전> 편액. 안성 청룡사 <명부전> 편액에는 두인을 비롯하여, 액판 좌측에 ‘성재(惺齊)’라는 관지와 ‘김태석인 성재(金台錫印 惺齊)’라는 방인의 도서가 찍혀 있다. 이 편액은 전각에 비해 그 규모가 아주 작은 편인데, 변죽을 이중으로 한 것이 그 때문이 아.. 경기도 2013.05.05
안성 청룡사삼층석탑 (靑龍寺三層石塔) 청룡사삼층석탑 (靑龍寺三層石塔.경기도 문화재자료 제59호. 경기 안성시 서운면 청룡리 28) 청룡사 앞뜰(대웅전 앞)에 자리하고 있는 석탑으로, 1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려놓은 모습이다. 네모난 바닥돌 위에 올려진 기단은 4장의 판돌을 세워 4면을 이루게 한 뒤, 판돌을.. 경기도 2013.05.05
청룡사 영산회괘불탱(靑龍寺靈山會掛佛幀) 청룡사 영산회괘불탱(靑龍寺靈山會掛佛幀 보물 제1257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석가가 설법하는 장면을 묘사한 영산회상괘불로, 괘불이란 절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행하기 위해 법당 앞 뜰에 걸어놓고 예배를 드리는 대형 불교 회화를 말한다. 이 영산회상도는 석가불을 중심으로 6대 보.. 경기도 2013.05.05
안성 청룡사금동관음보살좌상(安城靑龍寺金銅觀音菩薩坐像) 안성 청룡사(安城靑龍寺) 안성 청룡사금동관음보살좌상(安城靑龍寺金銅觀音菩薩坐像.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70호.경기 안성시 서운면 청룡리 28)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청룡사는 고려 원종 6년(1265) 명본대사가 창건하여 대장암(大藏庵)이라 하던 것을 공민왕 13년(1364) 나옹왕사가 새롭게 .. 경기도 2013.05.05
안성 청룡사 동종(安城 靑龍寺 銅鍾) 안성 청룡사(安城 靑龍寺) 안성 청룡사 동종(安城 靑龍寺 銅鍾.보물 제11-4호.경기 안성시 서운면 청룡길 140, 청룡사 (청용리)) 조선 숙종 때 경기도와 경상도 지역에서 활동한 승려인 사인비구에 의해서 만들어진 조선시대 종이다. 사인비구는 18세기 뛰어난 승려이자 장인으로 전통적인 .. 경기도 2013.05.05
안성 청룡사 소조석가여래삼존상(安城 靑龍寺 塑造釋迦如來三尊像) 안성 청룡사 소조석가여래삼존상(安城 靑龍寺 塑造釋迦如來三尊像.보물 제1789호. 경기 안성시 서운면 청룡길 140) 안성 청룡사 소조석가여래삼존상은 임란(壬亂) 이후 대형 소조불상의 제작이 유행하기 시작하던 시기의 불상이다. 삼존불상은 갸름한 난형(卵形)의 얼굴에, 가늘고 긴 눈꼬.. 경기도 2013.05.05
안성 청룡사(安城 靑龍寺) 및 청룡사 대웅전(安城 靑龍寺 大雄殿) 1265년(고려 원종 6년) 서운산 기슭에 명본국사(明本國師)가 창건한 절로, 창건 당시에는 대장암(大藏庵)이라 하였으나 1364년(공민왕 13년) 나옹화상이 크게 중창하고 청룡사로 고쳐 불렀다. 청룡사라는 이름은 나옹화상이 불도를 일으킬 절터를 찾아다니다가 이곳에서 구름을 타고 내려오.. 경기도 2013.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