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대구

신숭겸장군 유적지

노촌魯村 2008. 11. 14. 22:39

 

 파계사 방면으로 401번 버스가 지나다가, 파군재 삼거리에서 파계사쪽으로 120여m쯤 가면 조그만 지묘교 다리가 보인다.  다리 건너 우측 동화천을 따라 거슬러 올라가면 우뚝 솟은 홍살문이 이곳이 유적지임을 알려준다. 또한, 뒤편으로 가는 길은 104, 105, 131번을 타고 파군재 삼거리를 지나 동화사쪽 방향 첫번째 지나면 우뚝 솟은 왕산 아래 고가(古家)의 기와채가 산자락 아래 옹기종기 널려있다.  제일 위채가 표충사(表忠祠)로 위패와 함께 신숭겸 장군의 영정이 모셔져 있다. 호피가죽 위에 큰칼을 짚고 떡 버티어 서있는 몸집이 장대한 장군의 영정을 보면 그 당시 위풍과 기상을 한눈에 느낄 수 있다.  홍살문 뒤로 있는 신숭겸 장군 순절단은 태조 10년(927년) 후백제의 견훤이 신라를 공격하여 경애왕을 죽이고 약탈을 자행하자 태조 왕건이 군사를 이끌고 공산동수(公山桐數:지금의 동화사)에서 견훤을 맞아 싸웠으나, 의외로 싸움은 대패하여 왕건이 위험에 처하자 왕건의 옷을 바꾸어 입고 왕을 피신시킨 후 싸우다 전사한 자리이다.  후일 태조는 장군의 죽음을 애통히 여겨 그의 시신을 거두어 광양주(지금의 춘천)에 예장하고 이곳에 피묻은 흙, 의복 등을 수습하여 그가 전사한 자리에 혈단으로 쌓은 것이 순절단인데, 일명 표충단이라고도 한다.  그 후 1819년 신의직에 의해 묵은 제단을 중수하고 고려장절 신공순 절지지"(高麗壯節 申公殉 節之地)라 새겨진 순절비를 건립하였다.  단소(壇所) 내에는 여름이면 400년 정도의 수령을 가진 백일홍 고목이 단(壇)주위를 에워싸 만발한 꽃은 역사의 덧없음과 함께 아늑하고 포근함마저 느끼게 한다.  한편 영정을 모신 표충사 옆 충렬비각에는 용머리에 거북받침으로 건립한 장절공 행적비인 충렬비가 세워져 있는데 그 오랜 풍상 속에서도 찡그리지 않고 해학적으로 웃고있는 거북의 모습은 매우 이채롭게 느껴진다.  고려태사 장절공 신숭겸 장군의 유적은 지난 74년 대구광역시 기념물로 지정, 장절공의 충절을 기리는 위패(位牌)와 영정(影幀)이 모셔져 있으며, 순절단(殉節壇)과 충렬비(忠烈碑)등이 있다. 현재는 초·중등학교의 학습과 방학 때면 문화 유적 순례지로 학생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

 옛날에는 이 일대가 오동나무 숲으로 덮혀 있으며, 이곳이 공산전투의 최대 격전지였다 한다. 이곳 주변에는 왕건과 관련된 지명이나 재미나는 전설이 많이 전혀 내려오고 있다.  예를 들면, 왕건이 공산 전투에서 그의 군사들이 크게 패했다는 파군(破軍)재, 지묘동 뒷산에 피신하여 잠시 휴식을 취해 "왕건을 살렸다"는 뜻에서 왕산(王山), 도주하다 이 지역에 이르자 어른들은 피난 가고 어린아이들만이 남아있어 불로동(不老洞), 겨우 위험을 피해 이곳에서 한숨을 돌리고 찌푸린 얼굴을 활짝 폈다는 해안(解顔), 도주 중 날은 반야이고, 중천에 달이 떠 있어 탈출로를 비췄다고 해서 반야월(半夜月), 이 지역에 도달하여 안심했다는 안심(安心) 등의 유래가 있다.(대구 동구청 자료)

 

 

 

 

 

 

 

 

 

 

 

 

 

 

 

 

 

 

 

 

  

 

 

 

 

 

 

 

 

 

 

 

 

 

 

 

 

 

 

 

 

 

 

 

 

 

 

 

 

 

 

'대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읍내동(안양동) 마애불  (0) 2009.04.21
백촌 김문기선생 유적비와 태충각  (0) 2009.04.14
경상감영공원  (0) 2008.09.08
함지산  (0) 2008.08.07
육신사(묘골마을)  (0) 2008.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