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경주/경주인근자료

국립경주박물관 병신년 맞이 특집진열 “탁본으로 보는 신라 원숭이”

노촌魯村 2016. 2. 26. 17:16

국립경주박물관 병신년 맞이 특집진열

탁본으로 보는 신라 원숭이


기간 : 2016년 2월 2일 ~ 2016년 5월 1일

장소 : 신라역사관 2층 로비

전시를 개최하며

원숭이는 십이지(十二支) 중 아홉 번째 동물로서 시간적으로 오후 3시에서 5시를 가리키고, 방향은 서남서쪽에 해당합니다. 옛사람들은 원숭이를 다양한 의미로 받아들였습니다. 간사하고 잔꾀가 많아서 기피의 대상이기도 했으나, 장수와 다산(多産), 풍요의 뜻도 있었습니다.서유기의 손오공처럼 불법(佛法)을 수호하는 존재로도 등장합니다.

신라 법흥왕(재위 514~540) 때 이차돈(異次頓)의 순교 당시 곧은 나무가 부러지고 원숭이가 떼 지어 울었다라는삼국유사의 기록은 신라 사람들이 원숭이를 알고 있었음을 보여줍니다.

신라의 원숭이는 주로 능묘 둘레의 호석(護石) 등에 새겨진 십이지상의 하나로서 조각되었는데, 이러한 십이지상은 8세기부터 무덤의 부장품이나 불교 관련 석조품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이후 능묘의 호석에도 채택되었습니다.

이번 특집진열에 선보이는 원숭이 탁본들은 이러한 능묘의 호석에 조각된 것으로, 전 김유신 장군 무덤(7세기 후반~8세기), 성덕왕릉(8세기 중엽), 구정동 방형분(8세기), 능지탑(8세기), 전 경덕왕릉(8세기 후반), 원성왕릉(8세기 말~9세기 초), 흥덕왕릉(9세기 중엽), 전 진덕왕릉(9세기)의 것들입니다.

능묘 호석의 십이지 원숭이들은 평복(平服)을 입은 전 김유신 장군 무덤의 것을 제외하면 모두 화려한 무복(武服)을 입고 무기를 들고 있습니다. 다만 얼굴의 생김새나 각도, 자세는 조금씩 다릅니다. 실제 원숭이와 비슷한 것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것들도 있습니다. 당시 장인들은 원숭이를 직접 보고 새겼을까요, 아니면 상상하며 새긴 것일까요.

이번 전시에서는 종래의 평면적 탁본과는 달리 실물의 현장감과 조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탁본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그 결과 입체 또는 부조인 실물의 느낌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입체 탁본을 선보입니다. 이러한 입체 탁본으로써 신라 원숭이 조각의 독창적 아름다움을 느껴 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