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강원도

원주 법천사지(原州 法泉寺址)

노촌魯村 2016. 7. 2. 22:27


위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원주 법천사지(原州 法泉寺址.사적  제466호. 강원 원주시 부론면 법천리 629번지 외)

 『고려사』, 『신증동국여지승람』, 『동문선』 등 문헌에서 전하는 법천사(法泉寺)는 신라말에 산지 가람으로 세워져 고려시대에 이르러 대대적으로 중창된 사찰이다. 특히 화엄종과 더불어 고려시대 양대 종단이었던 법상종의 고승 정현이 주지로 있어 법상종 사찰로 번성하였으며, 국사(國師)였던 지광국사 해린이 왕실의 비호하에 법천사로 은퇴하면서 크게 융성하였다가 조선 임진왜란 때 전소되었다.
법천사에는 우리나라 묘탑 가운데 최대의 걸작으로 평가되는 지광국사현묘탑(智光國師玄妙塔, 국보 제101호)과 탑비(塔碑, 국보 제59호)가 문종에 의해 세워졌는데, 그 중 탑은 일제에 의해 경복궁으로 옮겨져 있으며, 법천사지에는 탑비를 비롯하여 지광국사현묘탑지와 부도전지, 당간지주 등이 남아 있다.
2001년부터 2004년에 걸쳐 실시한 4차례의 시·발굴조사 결과 통일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다양한 시기의 건물지 19동과 우물지 3개소, 석축 및 담장유구, 계단지를 비롯하여 금동불입상, 연화대석, 각종 기와류 및 자기류 등의 유물이 확인되어 우리나라 불교사 연구에 귀중한 유적으로 평가된다.(출처 : 문화재청) 


◇시대 : 신라말 고려 초기 대표적인 법상종(法相宗) 사찰
◇유구 현황 : 명봉산(鳴鳳山) 자락에 위치해 있는 법천사 터에, 당간지주를 비롯하여 지광국사 현묘탑비(智光國師 玄妙塔碑)와 법당터 및 석탑의  일부 등이 남아 있으며, 주변에는 이 절터에서 나온 석재(石材)들이 흩어져 있다. 절터의 동편 산기슭에는 지광국사의 부도를 모셨던 탑전지(塔殿址)가 남아 있다. 부도는 서울 경복궁내로 옮겨졌으나 탑비는 그대로 남아 있다.
내력 : 법천사에 관하여 남아있는 최초의 기록은 928년(신라 경순왕 2)으로, 신라 하대에 이 지역의 대표적 사원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고려초기 유가종사원으로 금산사와 함께 개성 밖 지방 선종사찰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으며 무신정권 이전까지 법상종의 대표적인 사찰로 왕실과 문벌귀족의 후원을 받아 번성한 사찰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10세기에서 12세기까지 관웅(寬雄), 지광국사(智光國師) 해린(海鱗), 정현(鼎賢), 덕겸(德謙), 관오(觀奧), 각관(覺觀) 등 유명한 승려가 계셨다. 조선 초기 유방선(柳方善1388-1433)은 이 곳에 별서를 만들고 제자를 가르쳤는데 이 때 한명회(韓明澮)․서거정(徐居正)․권람(權擥) 강효문등이 그에게서 배웠다. 1609년 허균(許筠)이 방문했을 때에는 이미 폐허로 변해 있었음을 그의 기록을 통해 알수 있다. 법천사조사는 1938년 소천경길, 1965년 국립주아앙박물관에 의하여 탑비전지 일대에 관한 조사, 2001년 이후 2004년 까지 4차에 걸쳐 강원문화재연구소에 의하여 발굴조사 된 바 있다.
◇가람배치의 양식적 특성 : 남한강과 연결된 법천을 끼고 가람이 조성되어 있어 거돈사지와 섬강을 끼고 조성된 흥법사지 그리고 여주의 고달사지와 함께 한강변 수상교통과 관계 깊은 사찰로 추정된다. 주변에 법천사 도요지가 있는 점등으로 미루어 보면 사역이 상당했고 사원촌이 조성되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동편 명봉산자락에 조성된 가람으로 서향을 하고 있는 당간지주와 지광국사 현묘탑비의 이격 거리가 상당한 것으로 보아 경기도 양주군 회암사지에 버금가는 규모의 사지이었다고 추정된다. 특히 이 사지는 발굴결과 드러난 건물지 배치 형태를 보면 남북으로 평지가 조성되어 있어 대부분의 전각이 지형을 따라 분포되어 있고 대부분의 유구가 임진란 이후 전란으로 불에 타고 상당수의 석물은 일제 강점기 도굴 약탈되어 사지 훼철이 심해 배치 양식을 복원하기 어렵다. 그러나 지형이 약간 경사진 평지에 가까운 지형이라는 점이나 현묘탑비 부분에 전각지가 수평으로 분포함 점등이 회암사지와 유사한 구성 형식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지형의 높이 차이에 따라 계속 단을 지어 전각이 배치되고 중심축이 형성된 고려시대 전형적인 대가람 형식으로 추정된다. 특이한 사실은 현재 현묘탑비를 중심으로 남아 있는 두 개의 건물지가 탑과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이다. 우선 현묘탐비 왼쪽 끝에 있는 건물지는 초석의 배열로 보아 정면 2칸 측면 2칸의 건물로 추정되는데 내부에 훼손된 석탑이 남아 있는 점으로 보아 석탑 보호각으로 추정되는데 이러한 경우는 찾아보기 힘든 건물유형으로서 전국에서 유일한 건물지이다. 또한 기둥뿌리와 기둥뿌리 부분을 잇는 하방을 지지하고 보호하기 위한 일자형 초석이 지대석의 형태로 외벌대로 이어져 있는 점으로 미루어 보면 상당한 공력을 들여 만든 역사성을 지닌 건물지라고 생각된다.
 중앙부의 건물지는 기단부가 탑의 기초 부분이라 할 수 있는 지대석이 깔려있어 마치 감은사지 서삼층석탑에서 볼 수 있는 탑의 기단부와 같은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으로 보아 이곳은 목탑지가 아닌가 생각된다. 특히 건물지 옆에 불상의 뒤를 장식하던 광배(光背) 유구가 있고 계단 사이를 장식하던 대담하고 화려한 조각의 답도석(踏道石), 그리고 예배를 드리던 단인 배례석(拜禮石)이 있다.(출처 : 원주시청)




회랑터

탑전터





배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