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경상북도/구미

「구미 대둔사 대웅전」보물 지정

노촌魯村 2017. 11. 29. 21:37

구미 대둔사 대웅전보물 지정

 

문화재청(청장 김종진)은 경상북도 구미시에 있는 구미 대둔사 대웅전(龜尾 大芚寺 大雄殿)’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1945호로 지정하였다.

 

구미 대둔사는 구미시 옥성면의 복우산 동쪽 중턱에 남북으로 길게 대지를 조성하여 자리한 사찰로 신라 눌지왕 30(446) 아도화상(阿度和尙)이 창건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창건 후 고려 고종 18(1231) 몽골족의 침략으로 불타버린 것을 충렬왕의 아들 왕소군(王小君)이 출가하여 다시 세웠고, 그 후 선조 39(1606)사명대사 유정(四溟大師 惟政)이 중건하여 승군(僧軍)을 주둔시켰다.

 

현재의 사역은 원래 대둔사의 암자인 청련암(靑蓮庵) 자리이며, 현재 자리에서 서남쪽 약 300m 지점에 대둔사 옛터가 남아 있다. 사역에는 대웅전을 바라보면서 왼쪽으로는 요사채(스님들이 머물며 생활하는 건물), 오른쪽으로는 명부전과 응진전이 남아 있다.

 

대웅전은 1987년 수리공사에서 상량문이 발견되었으며, 이에 따르면 광해군 6(1614)부터 순조 4(1804)까지 다섯 차례 수리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지붕에 건륭31년 병술(1766)’이라고 기록한 망와(장식기와)가 다수 남아 있어 건물의 역사를 입증하고 있다.

 

대웅전은 경사지를 따라 조성하면서 앞쪽에 높은 장대석(長臺石) 석축과 계단을 두었으며, 그 위에 장대석 기단과 자연석 초석을 놓고 원기둥을 세웠다. 건물은 정면 3, 측면 3칸의 팔작지붕이며, 조선 시대의 전형적인 다포(多包)계 건물이다.

* 기단과 초석: 기단은 지면으로부터 집을 높여주는 역할을, 초석은 기둥 밑에 놓여 기둥에 전달되는 지면의 습기 차단 및 건물 하중을 지면에 효율적으로 전해줌

* 팔작지붕: 양 측면에 삼각형 모양의 합각면이 있는 지붕

* 다포(多包): 공포를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배열한 것

 

지붕의 네 모서리에는 팔각형 활주(活注, 추녀 밑을 받친 보조기둥)를 두었으며 창호는 정면 가운데에 꽃살 여닫이문과 배면 우측의 영쌍창(창호 가운데 기둥이 있는 창)이 고전적인 건축양식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지붕을 받치는 공포는 강직하면서도 장식성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1718세기 건물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우물천장 등의 구조와 내부 닫집의 섬세한 조각형태 그리고 건립 당시로 추정되는 단청문양이 잘 남아 있다.

* 공포(栱包): 지붕의 하중을 받치기 위해 기둥 윗부분 등에 짜 맞추어 댄 구조물

* 닫집: 사찰 등에서 불상을 감싸는 작은 집이나 불상 위를 장식하는 덮개

 

이처럼 구미 대둔사 대웅전은 형태, 구조, 장식 측면에서 볼 때,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역사적, 건축적, 예술적 가치가 충분하다.

보물 지정 개요



종 별: 보물

 

문화재명: 구미 대둔사 대웅전(龜尾 大芚寺 大雄殿)

 

지정내용

소 재 지: 경상북도 구미시 옥성면 옥관리 1090, 94-1

(산촌 옥관로 691-78)

양 식: 정면3, 측면3, 팔작지붕, 다포계

수 량: 1/ 65.97

조성연대: 조선 시대

소유자(관리자): 대둔사

지정면적: 178

 

지정사유

구미 대둔사는 복우산(伏牛山) 동쪽 중턱에 남북으로 길게 대지를 조성하여 자리 잡고 있다. 현재의 사역은 원래 대둔사의 암자인 청련암(靑蓮庵) 자리이며, 현 위치에서 서남쪽 약 300m 지점에 대둔사 옛터가 남아 있다. 대둔사는 446(신라 눌지왕 30)에 아도화상(阿度和尙)이 창건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창건 후 1231(고려 고종 18) 몽고족의 침략으로 불타버린 것을 충렬왕(忠烈王)의 아들 왕소군(王小君)이 출가하여 다시 세웠고, 그 후 1606(선조 39)에 사명대사(四溟大師) 유정(惟政)중건하여 승군(僧軍)을 주둔시켰다.

대웅전은 1987년 수리 중 발견된 상량문에 의하면 1614(광해군 6)부터 1804(순조 4)까지 다섯 차례 수리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지붕에건륭31년 병술(1766)’이라고 기록한 망와가 다수 남아 있어 건물의 역사를 입증하고 있다.

대웅전은 경사지를 따라 조성하면서 앞쪽에 높은 장대석 석축과 계단을 두었으며 그 위에 장대석 기단과 자연석 초석을 놓고 원기둥을 세웠다. 건물은 정면 3, 측면 3칸의 팔작지붕이며, 조선시대의 전형적인 다포계 건물이다. 지붕의 네 모서리에는 팔각형 활주를 두었으며 창호는 정면 가운데에 꽃살 여닫이문과 배면 우측의 영쌍창(창호 가운데 기둥이 있는 창)고식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지붕을 받치는 공포는 강직하면서도 장식성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1718세기 건물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우물천장 등의 구조와 내부 닫집의 섬세한 조각형태 그리고 건립당시로 추정되는 단청문양이 잘 남아 있다.

이처럼 구미 대둔사 대웅전은 형태, 구조, 장식 측면에서 볼 때,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역사적, 건축적, 예술적 가치가 충분하다.


<글. 사진 출처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