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경주/경주인근자료

석조石槽.경주흥륜사터. 통일신라 8∼9세기

노촌魯村 2020. 12. 14. 04:39

석조石槽.경주흥륜사터. 통일신라 8∼9세기. 높이 1.77m 너비 3.92m

석조石槽는 장방형 또는 원형의 돌 내부를 파내어, 절 등에서 물을 담는 용도로 썼던 것입니다.

이 석조에는 많은 글이 새겨져 있습니다. 서조의 윗부분에는 경주부윤府尹(지금의 시장) 이필영李必榮(1573∼1645)이 조선 인조仁組 16년(1638)에 이 석조를 흥륜사興輪寺(신라 최초의 절)에서 경주읍성 안의 금학헌琴鶴軒으로 옮겼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이 내용의 반대편에는 이교방李敎方(생몰년 미상)이 이 석조를 보고 지은 칠언절구七言絶句의 시가 있습니다.

측면에는 ‘석조 안의 물에 비친 하늘’이라은 뜻의 “천광운영天光雲影(하늘 빛, 구름 그림자)”이 새겨져 있습니다.

사람의 마음을 연못으로 비유하면서 모든 사물을 있는 그대로 비추어낼 수 있도록 성찰하면서 마음을 깨끗이 해야 한다는 주자의 시 관서유감觀書有感에 처음 나온 말입니다.

 

二樂堂前雙石盆(이요당전쌍석분)  이요당 앞에 있는 두 개의 돌 물통은

何年玉女洗頭盆(하년옥녀세두분)  그 언젠가 고운 여인 머리 감던 것이런가

洗頭人去蓮花發(세두인거연화발)  그 여인은 가고 없고 연꽃만 곱게 피어

空有餘香滿舊盆(공유여향만구분)  부질없이 남은 향기 옛 물통에 가득하네

 

戊子流頭蘇湖李敎方(무자유두소호이교방)  무자년 유두(음력 6월 15일)날 소호 이교방이 지음

           

 

성리학을 집대성한 주자(朱子)의 시 '관서유감'(觀書有感)의 한 대목인 '천광운영'(天光雲影·하늘빛 구름 그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