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2023/10 40

2023 대명유수지(大明遊水池) 가을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대명유수지(大明遊水池, 대구 달서구 대천동 816) 대명유수지는 1992년 성서산업단지 침수피해 방지를 위해 258,000㎡ 규모로 조성된 유수저류 시설이다. 2011년 8월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Ⅱ급 맹꽁이 최대 서식처로 발견됨에 따라 국내 최대 맹꽁이 서식처로 알려졌다. 대명유수지는 낙동강, 금호강, 대명천, 진천천이 합류하는 지점에 형성된 달성습지 옆에 위치하고 있어 맹꽁이 이외 삵, 족제비, 황조롱이, 고라니 등 다양한 야생 동·식물이 서식하는 생태자원의 보고이다. 2015년부터 3년간 대명유수지 일원에 맹꽁이 서식환경개선 및 전망데크, 생태탐방로, 포토존 등 맹꽁이 생태학습장이 조성되었다. 이 곳은 탐방데크를 중심으로 억새와 갈대가 펼쳐져있어 가을철 인생샷 ..

대구 2023.10.12

뚱딴지(topinambur, 돼지감자)

뚱딴지(topinambur, 돼지감자) 학명 : Helianthus tuberosus L. 학명이명 : Helianthus esculentus Warsz. 더보기 국명이명 : 뚱단지 분류체계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Asterales 국화목 > Asteraceae 국화과 > Helianthus 해바라기속 국화목 국화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덩이줄기가 발달한다. 줄기는 곧추서고 높이 150~300cm이며, 가지가 갈라지고, 전체에 짧고 거친 털이 난다. 잎은 줄기 아래쪽에서는 마주나고, 위쪽에서는 어긋난다. 위쪽 잎은 긴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날개가 있다. 꽃은 8~10월에 줄기 끝에서 갈라진 가지 끝에 머리 모..

기타/꽃 2023.10.11

2023 한밤마을 돌담길 가을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2023 한밤마을 돌담길 가을 - 대구광역시 군위군 부계면 대율리(한밤마을) - 천 년을 이어온 전통마을의 정겨움이 있는 돌담마을 : 군위군 부계면 대율리에는 집집마다 야트막한 돌담들이 두런두런 옛이야기를 나누듯 정겨운 모습으로 둘러져 있는 마을이 있다. 1000년 세월에도 10리의 돌담과 고택들이 고스란히 보존되어 있고 주변의 정자와 조경들이 아늑하여 찾은 이들의 발길을 멈추게 한다. 950년경 부림 홍씨의 입향조 홍란이라는 선비가 이주해 오면서 마을 이름을 대야(大夜)라 불렀으나 이후 밤야(夜)자 대신 대율(大栗)로 고쳐 부르게 되어 대율리 한밤마을로 불리게 되었다.

경상북도/군위 2023.10.07

2023. 금호강 하중도(섬들)의 가을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2023. 금호강 하중도(섬들)의 가을 대구광역시 북구 8경중 제1경으로 북구 팔달교와 노곡교 사이에 위치한 섬이며 전체 면적이 22만3800㎡(약 6만7800평) 중 하중도의 상류 쪽 16만6000㎡(약 5만300평)에는 금호강을 따라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고, 봄에는 유채꽃, 가을에는 코스모스 등을 식재하여 계절별 아름다운 볼거리를 제공, 주말이면 연인, 가족단위의 관광객들로 붐비는 명소이다. 특히 금호강에 서식하고 있는 수달의 보호 및 안정적 서식을 위해 하중도 하류에 5만6천㎡(1만 8천 평)을 원형대로 보존하면서 주변에 15곳의 대형 자연석 돌을 쌓고 은신처를 만들어 수달과 철새들의 보금자리를 제공해 자연과 사람이 함께 공존하는 공간을 조성했다. 코스모스(C..

대구 2023.10.06

노랑코스모스(yellow-cosmos, 황화코스모스, 황금코스모스)

노랑코스모스(yellow-cosmos, 황화코스모스, 황금코스모스) 학명 : Cosmos sulphureus Cav. 분류체계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Asterales 국화목 > Asteraceae 국화과 > Cosmos 코스모스속 멕시코 원산의 한해살이풀로 전국의 도로나 화단에 관상용으로 심어 기른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40~100cm, 가지를 많이 치고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며, 삼각상 난형으로 2회 깃꼴로 깊게 갈라진다. 줄기 아래쪽 잎은 잎자루가 길지만, 위쪽 잎은 잎자루가 없다. 꽃은 7~9월에 가지 끝에 지름 5~6cm인 머리 모양 꽃차례가 1개씩 달리며, 주황색이다. 관모양꽃은 양성꽃이며, 끝이 5개로 깊게 갈라진다. 혀모양꽃은 무..

기타/꽃 2023.10.06

「하동 칠불사 아자방 온돌」 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 예고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에 위치한 「하동 칠불사 아자방 온돌」을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 예고하였다. 지리산 반야봉 남쪽 자락에 위치하고 있는 칠불사(七佛寺)는 대한불교조계종 13교구 본사인 쌍계사(雙溪寺)의 말사(末寺)로, 1세기경 가락국(駕洛國) 김수로왕(金首露王)의 일곱 왕자가 출가하여 성불하였던 암자인 칠불암(七佛庵)이 이어진 곳으로 전해지고 있다. * 본사(本寺): 한 종파(宗派)에 딸린 절을 통할(統轄)하는 큰절 * 말사(末寺): 본사의 관리를 받는 작은 절, 또는 본사에서 갈라져 나온 절 칠불사 경내에는 이른바, ‘아자방(亞字房)’으로 불리는 독특한 형태의 선방(禪房)이 있는데, 이는 스님들이 벽을 향해 수행할 수 있도록 방 안 네 귀퉁이를 바닥면 보다 한 단 높게 구..

기타/각종정보 2023.10.06

2023.9.30 추석 보름달

八月十五日夜玩月(8월 15일 야완월) - 劉禹錫(유우석) - 天將今夜月(천장금야월),一遍洗寰瀛(일편세환영)。 하늘은 오늘밤의 달로 온 세상을 한차례 씻어버리려 하네. 暑退九霄淨(서퇴구소정),秋澄萬景清(추징만경청)。 더위 물러나니 높은 하늘 깨끗하고 가을 맑으니 만물이 청아하네. 星辰讓光彩(성신양광채),風露發晶英(풍로발정영)。 별들은 달에게 광채를 사양하고 바람과 이슬에 영롱한 빛을 발하네. 能變人間世(능변인 간세),翛然是玉京(소연시옥경)。 이 인간세상을 바꿀 수 있는 것은 자유로운 저 하늘나라뿐이로구나!

용담(龍膽)

용담(龍膽) 학명 : Gentiana scabra Bunge 학명이명 : Gentiana buergeri Miq. 분류체계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Gentianales 용담목 > Gentianaceae 용담과 > Gentiana 용담속 용담목 용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뿌리줄기는 짧고, 수염뿌리가 많다. 줄기는 겉에 가는 줄이 4개 있고, 보통 자줏빛을 띠며, 높이 20~100cm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길이 4~8cm, 폭 1~3cm, 잎 가장자리와 잎줄 위에 잔돌기가 있어 까칠까칠하다. 잎 앞면은 자주색을 띠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다. 잎자루는 없다. 꽃은 8~10월에 피는데 줄기 끝과 위쪽 잎겨드랑이에서 1개 또는 몇 개가 달리며, 보라색 ..

기타/꽃 2023.10.01

맨드라미(鷄冠花, Celosia cristata)

맨드라미(鷄冠花, Celosia cristata) 학명 : Celosia cristata L. 국명이명 : 맨드래미 분류체계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Caryophyllales 석죽목 > Amaranthaceae 비름과 > Celosia 맨드라미속 석죽목 비름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민가, 공원의 화단에 관상용으로 심어 기르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0.4~1.0m, 전체에 털이 없고 보통 붉은빛이 돈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 길이 5~10cm, 폭 1~3cm, 잎자루가 길다. 꽃은 7~8월에 피는데 붉은색, 노란색, 흰색 등으로 다양하다. 꽃자루는 편평하고 대가 없는 잔 꽃이 빽빽하게 달린다. 화피편은 5장,..

기타/꽃 2023.10.01

금목서(金木犀, sweet Osmanthus, 구골나무)

금목서(金木犀, sweet Osmanthus, 구골나무) 학명 : Osmanthus fragrans var. aurantiacus Makino 분류체계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Scrophulariales 현삼목 > Oleaceae 물푸레나무과 > Osmanthus 목서속 정원에 관상용으로 심어 기르는 상록성 활엽 작은키나무로 높이 3~4m 정도 자란다. 가지에 털이 없고 연한 회갈색이다. 잎은 마주나며, 타원형 또는 긴 타원상 넓은 피침형이고 빽빽하게 달린다. 잎밑과 잎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거나 거의 밋밋하다. 잎몸은 길이 7~12cm, 너비 2.5~4cm이며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다. 잎자루는 길이 7~15mm이..

기타/꽃 2023.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