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분류 전체보기 6289

풍납토성 축조 방법과 증축 단서 확인

문화재청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소장 유재은)는 사적 제11호인 풍납토성의 축조 방법과 증축의 단서를 확인하고 그 성과를 2020년 12월 1일(화) 오후 2시에 문화재청 유튜브 채널에서 공개한다. * 풍납토성 발굴조사 현장: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 310번지 일대 * 문화재청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luvu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는 2017년부터 풍납토성 서성벽 구역에 대한 발굴조사를 진행해 왔다. 당시 서남벽의 일부 구간만이 지표상에 드러나 있었고, 2002년부터 2003년까지 국립문화재연구소가 실시했던 ㈜삼표사옥 신축예정부지 조사를 통해 기초 흔적 정도만 확인되었던 곳이다. 2017년부터 실시한 발굴조사로 서성벽의 진행방향, 규모, 구조와 함께 서문지가 확인된 바 있다. ..

기타/각종정보 2020.12.01

2020 영남산타령 제21회 정기공연 -배 띄워라-

전통공연예술의 저변 확대를 위해 박차를 가하여 앞에 놓인 모든 일에 최선을 아주 작은 일에도 소홀히 하지 않고 열심히 하다보면 어느 새 부쩍 성장하고 성공에 한 발짝 다가선 당신을 발견할 수 있다. 삶을 위로하고 숱한 절망을 딛고 피어난 산고의 산물이기에 불가능한 것처럼 보이는 것을 성공하기 전에는 그것이 기회는 고난의 가면을 쓰고 우리 곁에 슬그머니 다가오지만,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모르지만 조금씩 표현이 다를 수 있고 순수하고 아름다운 전통예술을 비교하는 것은 무의미하며 끊임없이 행복을 생각하고 노력한다면 여러 가지 어려운 상황에 닥쳐도 분명히 COVID-19도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지혜로 어느 순간 행복이 찾을 것입니다. 아득한 옛날부터 선조들의 입에서 입으로 전해왔다는 사실은 이 소리에 조상의..

봉사활동 2020.12.01

2020 영남산타령 제21회 정기공연 -축원무-

전통공연예술의 저변 확대를 위해 박차를 가하여 앞에 놓인 모든 일에 최선을 아주 작은 일에도 소홀히 하지 않고 열심히 하다보면 어느 새 부쩍 성장하고 성공에 한 발짝 다가선 당신을 발견할 수 있다. 삶을 위로하고 숱한 절망을 딛고 피어난 산고의 산물이기에 불가능한 것처럼 보이는 것을 성공하기 전에는 그것이 기회는 고난의 가면을 쓰고 우리 곁에 슬그머니 다가오지만,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모르지만 조금씩 표현이 다를 수 있고 순수하고 아름다운 전통예술을 비교하는 것은 무의미하며 끊임없이 행복을 생각하고 노력한다면 여러 가지 어려운 상황에 닥쳐도 분명히 COVID-19도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지혜로 어느 순간 행복이 찾을 것입니다. 아득한 옛날부터 선조들의 입에서 입으로 전해왔다는 사실은 이 소리에 조상의..

봉사활동 2020.11.30

국보‘포항 중성리 신라비’실물 공개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이종훈)는 국립경주박물관과 함께 2020년 11월 30일(월)부터 ‘포항 중성리 신라비(국보 제318호)’ 실물을 국립경주박물관 신라역사관 3실에서 상설 전시한다. 이번에 전시되는 ‘포항 중성리 신라비’는 발견 직후 8일간의 특별공개와 단기간의 특별전시를 통해 대중에게 잠시 선보인 적 있었지만 이후에는 복제품으로만 공개하였다. 실물이 상설전시를 통해 전시되는 것은 2018년 이후 처음이다. ‘포항 중성리 신라비’는 2009년 5월 포항시 흥해읍 중성리의 도로공사 현장에서 한 시민에 의해 우연히 발견되었다. 비에 새겨진 203개의 문자를 판독‧해석한 결과, 신라 관등제의 성립, 6부의 내부 구조, 신라 중앙 정부와 지방과의 관계 등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

기타/각종정보 2020.11.30

2020 영남산타령 제21회 정기공연 -내 어머니-

전통공연예술의 저변 확대를 위해 박차를 가하여 앞에 놓인 모든 일에 최선을 아주 작은 일에도 소홀히 하지 않고 열심히 하다보면 어느 새 부쩍 성장하고 성공에 한 발짝 다가선 당신을 발견할 수 있다. 삶을 위로하고 숱한 절망을 딛고 피어난 산고의 산물이기에 불가능한 것처럼 보이는 것을 성공하기 전에는 그것이 기회는 고난의 가면을 쓰고 우리 곁에 슬그머니 다가오지만,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모르지만 조금씩 표현이 다를 수 있고 순수하고 아름다운 전통예술을 비교하는 것은 무의미하며 끊임없이 행복을 생각하고 노력한다면 여러 가지 어려운 상황에 닥쳐도 분명히 COVID-19도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지혜로 어느 순간 행복이 찾을 것입니다. 아득한 옛날부터 선조들의 입에서 입으로 전해왔다는 사실은 이 소리에 조상의..

봉사활동 2020.11.30

2020 영남산타령 제21회정기공연 -수성아리랑-

전통공연예술의 저변 확대를 위해 박차를 가하여 앞에 놓인 모든 일에 최선을 아주 작은 일에도 소홀히 하지 않고 열심히 하다보면 어느 새 부쩍 성장하고 성공에 한 발짝 다가선 당신을 발견할 수 있다. 삶을 위로하고 숱한 절망을 딛고 피어난 산고의 산물이기에 불가능한 것처럼 보이는 것을 성공하기 전에는 그것이 기회는 고난의 가면을 쓰고 우리 곁에 슬그머니 다가오지만,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모르지만 조금씩 표현이 다를 수 있고 순수하고 아름다운 전통예술을 비교하는 것은 무의미하며 끊임없이 행복을 생각하고 노력한다면 여러 가지 어려운 상황에 닥쳐도 분명히 COVID-19도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지혜로 어느 순간 행복이 찾을 것입니다. 아득한 옛날부터 선조들의 입에서 입으로 전해왔다는 사실은 이 소리에 조상의..

봉사활동 2020.11.30

계림~월성을 잇는 진입로에서 도로·건물지ㆍ월성 석축해자 추가 확인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이종훈)는 경주 월성 종합학술연구 과제로 추진 중인 ‘계림~월성 진입로, 서성벽에 대한 발굴조사 성과’를 2020년 11월 27일(금)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유튜브 채널을 통해 온라인으로 공개한다.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yvYCBA2aJFa8hIdIpur82Q * 해자(垓子):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성 주위를 둘러서 판 물도랑 또는 못 경주 월성(사적 제16호)은 현재 해자, 성벽(A지구), 월성 내부 건물지군(C지구)으로 구분되어 발굴조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관련 조사 성과를 2016년 3월, 2017년 5월, 2019년 4월에 언론을 통해 공개한 바 있다. 특히, 2017년에 공개된 서성벽의 인신..

기타/각종정보 2020.11.28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이왕가박물관 관련 희귀 사진 16점 온라인 공개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김동영)은 일제가 설립·운영한 이왕가박물관(李王家博物館) 관련 유리건판 사진 16점을 2020년 11월 25일부터 박물관 누리집(gogung.go.kr, 소장품-소장품 안내-소장품 검색)에서 공개한다. 공개된 사진들은 우리나라 초기 박물관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서 사진 원본파일은 누구든 자유롭게 내려 받아 활용할 수 있다. * 유리건판: 유리판에 액체 상태의 사진 유제(乳劑)를 펴 바른 후 건조한 것으로, 현대의 흑백사진 필름에 해당. 1871년 영국에서 발명되어 20세기 초반에 많이 사용됨. 이왕가박물관은 일제의 주도하에 제실박물관(帝室博物館)이라는 이름으로 1909년(융희 3년) 창경궁(昌慶宮) 안에 개관하였으며, 이 시기 일제는 식물원과 동물원을 함께 조성하여 창경궁을 ..

기타/각종정보 2020.11.25

신라·고려 사찰 황룡사에서 금동봉황장식 자물쇠 출토-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서회랑 서편 발굴 성과 온라인 설명회 2020.11.25(수). 오후 2시 -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이종훈)는 신라 사찰 학술조사연구사업으로 추진 중인 ‘황룡사 서회랑 서편지역 발굴조사 성과’를 2020년 11월 25일(수) 오후 2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유튜브 채널을 통해 온라인으로 공개한다. * 회랑(回廊): 지붕이 있는 긴 복도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yvYCBA2aJFa8hIdIpur82Q 경주 황룡사지(사적 제6호)는 지난 1976년부터 1983년까지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경주고적발굴조사단(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에서 금당지와 목탑지 등이 위치한 중심구역과 강당 북편지역 등에 대한 발굴을 진행한 바 있다. 서회랑 서쪽지역은 당시 조사단 사무실이 위치했던 장소로, 사역 내 유일하게 발굴하지..

기타/각종정보 2020.11.25

제주 신창리 바다에서 中 중세 무역선의 3.1m 대형 닻돌 발견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김연수)와 국립제주박물관(관장 김유식)이 공동으로 2020년 5월말부터 7월까지 실시한 제주 신창리 해역 수중발굴조사에서 중국 도자기, 동전과 함께 3.1m짜리 대형 닻돌(碇石) 1점을 확인하였다. 제주 신창리 해역 수중유적은 중국 남송(南宋, 1127~1279)대 도자기가 다량 발견되고 있는 곳으로, 과거 중국 무역선이 난파되면서 형성된 유적으로 추정된다. * 닻: 배를 바다 위에 멈추어 있게 하는 갈고리 달린 기구 * 닻돌: 나무로 만든 닻을 물속에 가라앉히기 위해 매다는 돌 이번에 발굴된 닻돌은 두 조각으로 쪼개져 발견되었으며, 전체적으로 긴 마름모꼴로 중앙부가 두툼하고 양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태이다. 모든 면을 편평하게 다듬었는데, 자연석의 일부만을 다듬어..

기타/각종정보 2020.11.24

‘인삼 재배와 약용문화’국가무형문화재 신규종목 지정 - 농경 분야 첫 국가무형문화재…보유자·보유단체 없이 종목만 지정 의결 -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2020년 11월 20일에 열린 무형문화재위원회의 심의에 따라 ‘인삼 재배와 약용문화’를 신규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하기로 결정하였다. 2016년부터 전통지식 분야에 대한 무형문화재 지정이 가능해진 이후에 농경 분야에서 무형문화재가 지정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무형문화재위원회 심의에서 쟁점이 되었던 사항은 지정 명칭이었다. ‘인삼 재배와 약용문화’에 대한 30일 간의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예고 기간(‘20.9.28.~10.27.)을 거치는 중에 농림축산식품부, 지방자치단체를 비롯하여 관련 협회, 관계전문가와 국민 등이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그 가운데 지정 명칭을 ’고려인삼‘으로 제시한 것이 많았는데, 소수이지만 이에 대한 반대 의견도 있었다. 무형문화재위원회에서는 문화재..

기타/각종정보 2020.11.22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안흥진과 수군 군적부」 특별전 개최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김연수)는 2020년 11월 24일부터 2021년 2월 28일까지 태안 안흥진성의 국가사적 지정을 기념하고, 신진도 고가(古家)에서 발견된 수군 군적부를 널리 알리기 위하여 특별전 「안흥진과 수군 군적부-진(鎭)의 깃발 나부끼고 조운선 들고나네」를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태안해양유물전시관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한다. 참고로, 수군 군적부는 2020년 4월, 지역 주민의 신고로 안흥진성 인근 신진도 고가(古家) 벽지에서 발견한 조선 후기 수군(水軍)의 명단이 적혀 있는 문서이다. 이번 전시는 올해 새롭게 사적 제560호로 지정된 안흥진성의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2020년 4월 태안 신진도 고가에서 발견된 19세기 수군 군적부(水軍 軍籍簿) 등 약 80여점의 유물을 선보이는 ..

기타/각종정보 2020.11.20

양주 대모산성(사적 제526호)에서 고대 성벽축조 방식과 집수지 확인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의 허가를 받아 양주시(시장 이성호)에서 추진하고, (재)기호문화재연구원(원장 이명희)이 진행 중인 양주 대모산성(사적 제526호) 10차 발굴조사에서 고대산성의 성벽 축조방식과 집수지(集水池)가 확인되었다. * 발굴 장소: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방성리 789임 일원 * 집 수 지: 성내의 용수(用水) 확보 및 식수(食水) 보관 등을 위한 목적으로 축조한 시설물 양주 대모산성은 대모산(해발 212m)의 정상부에 축성된 테뫼식 석축산성으로 성의 규모는 둘레 726m, 내부 면적 5만 7,742㎡이다. 대모산성과 성의 북동쪽에 자리한 불곡산 사이에는 고대 교통로(장단도로)가 위치하며, 대모산성은 한강과 임진강유역 진출 거점을 확보하기 위한 군사적 요충지로 파악된다. 또한, 양주 대모산성..

기타/각종정보 2020.11.18

정조 비 효의왕후 한글 글씨,「만석군전․곽자의전」 보물 지정 예고 - 조선 시대 대형 불화, 사찰 목판도 함께 보물 지정 예고 -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정조의 왕비 효의왕후 김씨의 한글 글씨인「만석군전․곽자의전」을 비롯해 조선 시대 대형불화(괘불), 사찰 목판 등 5건을 보물로 지정 예고하였다. 왕후 글씨의 보물 지정은 2010년 ‘인목왕후 어필 칠언시’(보물 제1627호) 이후 이번이 두 번째이다. 「효의왕후 어필 및 함-만석군전․곽자의전(孝懿王后 御筆 및 函-萬石君傳․郭子儀傳)」은 정조(正祖, 재위 1776~1800)의 비 효의왕후 김씨(孝懿王后 金氏, 1753~1821)가 조카 김종선(金宗善, 1766~1810)에게 『한서(漢書)』의「만석군석분(萬石君石奮)」과『신당서(新唐書)』의「곽자의열전(郭子儀列傳)」을 한글로 번역하게 한 다음 그 내용을 1794년(정조 18) 필사한 한글 어필(御筆)이다. * 효의왕후 김씨: 본관은 청..

기타/각종정보 2020.11.18

치매그림동화 '할머니와 네 마리의 동물들' 인형극 공연 봉사

치매그림동화 '할머니와 네 마리의 동물들' 인형극 공연 일시 : 2020년 11월 17일 장소 : 대구예술어린이집(대구 달서구 죽전1안길 14) 공무원연금공단 대구지부(지부장 하동규) 대경상록인형극봉사단은 어린이 대상으로 개발된 동화책 내용을 인형극으로 제작하고 운영을 위한 봉사단입니다. 2020년도 하반기에는 대구광역치매센터(센터장 김병수. 인형극 담당팀장 하주희)와 협력하여 치매증상이 있는 할머니가 동물들의 도움으로 행복하게 생활하는 모습을 그린 ‘할머니와 네 마리의 동물들’ 내용으로 기반으로 하는 인형극을 제작하고 11월과 12월에 대구 달서구 관내 어린이집 19곳에 공연을 합니다. 공연은 2개 팀으로 구성되어 교대로 공연하며, 1회 공연에는 8명이 공연을 합니다. 공연 준비 모습(무대 꾸미기)

봉사활동 2020.11.17

교통안전 캠페인

교통안전 캠페인 기간 : 2020년 10월 26일 - 11월 13일까지 장소 : 3개소(두류공원 3개 팀. 달성공원 1개 팀. 경상감영공원 1개 팀) 참여인원 : 1개소 당 4명 활동 내용 : 어르신 신발 및 자전거 야간 스티커 부착. 교통안전 전단지 배부 최근 교통사고로 인하여 어르신의 사망자가 증가로 인하여 교통안전에 대한 인식재고를 위한 교통안전 캠페인의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공무원연금관리공단(이사장 정낙준) 대구지부(지부장 하동규) 대경상록자원봉사단(총단장 하종성)에서는 대구시의 협조를 받아 다음과 같이 제1차 교통안전캠페인을 전개하였습니다. 제2차 교통안전캠페인은 11월 16일부터 12월 4일까지 5개 팀으로 구성하여 공원지역 및 노인복지센터를 중심으로 할 예정입니다. 교통안전 캠페인하면서 본..

봉사활동 2020.11.16

경주 쪽샘 L17호 목곽묘에서 중원식 금동허리띠장식 출토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이종훈)는 지난 2019년 발굴조사한 경주 쪽샘 L17호 목곽묘(木槨墓)에 대한 조사 성과 설명회를 2020년 11월 17일(목) 오후 2시 쪽샘 L17호 발굴조사 현장에서 개최하고,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유튜브를 통해서도 실시간으로 온라인 유물 설명회와 질의응답 시간을 갖는다. * 목곽묘(木槨墓): 덧널무덤 * 설명회 참석 대상: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누리집과 SNS로 사전신청받은 일반인 30명 등 * 온라인 유물설명회(실시간 질의응답):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유튜브(https://youtu.be/FvEpWuZCvog) 경주 쪽샘 L17호는 주곽(主槨)과 부곽(副槨)을 각각 조성한 이혈주부곽식(異穴主副槨式) 목곽묘로, 신라 고분에 있어 중요 유적으로 평가받는 월성로 유적의 ..

기타/각종정보 2020.11.16

궁궐 전각 장식한 ‘청기와 용머리 토수’공개

- 국립고궁박물관, 11월 큐레이터 추천 왕실유물’로 선정 ㆍ 유튜브로도 소개 / 11.16.~ -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김동영)은 이번 달 ’큐레이터 추천 왕실유물‘로 ’임금님이 집무하던 궁궐 전각을 장식한 청기와 용머리 토수’를 선정하고, 16일부터 상설전시실 에서 실물을 공개한다. 현장관람이 어려운 분들을 위해 온라인(문화재청·국립고궁박물관 유튜브)에서도 소개한다. * 국립고궁박물관 유튜브: https://www.youtube.com/gogungmuseum 문화재청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luvu * 토수: 목조 건물의 지붕 추녀 끝에 끼워, 비바람에 목재가 썩는 것을 막기 위한 부재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은 청기와 용머리 토수 두 점을 소장하고 있으며, 이 두 ..

기타/각종정보 2020.11.16

밤에 가 본 사문진 주막촌

사문진주막촌과 낙조 과거 낙동강 물류의 중심지였던 옛 사문진 자리에 복원한 주막촌으로, 우리나라 최초로 피아노가 유입된 곳이다. 유람선과 나룻배, 쾌속선 운항을 통하여 년간 100만명 이상의 관광객이 다녀가는 새로운 관광지로 발돋움하고 있다. 또한 낙동강변의 억새와 어우러진 사문진 낙조의 환상적이고 몽환적인 모습은 전국 최고의 낙조로서 손색이 없다. 2022년 가을(2022.11.2)에 다시 본 사문진

대구 2020.11.12

전라우수영 중심 관아터의 진출입 시설 확인 - 2020.11.10. 오후 2시 30분 발굴현장 설명회 개최, 명량대첩 군사요충지로 의미-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의 허가를 받아 해남군(군수 명현관)에서 추진하는 해남 전라우수영(사적 제535호) 발굴조사에서 명량대첩의 배후인 전라우수영의 중심 관아터의 진출입 시설이 처음으로 발굴 조사되었다. 현장공개는 2020년 11월 10일 오후 2시 30분 발굴현장에서 진행한다. * 발굴 장소: 전남 해남군 문내면 동헌길 37(동외리 1187-2외) 일원 해남 전라우수영은 이순신 장군의 명량대첩으로도 유명한 곳으로, 1440년(세종22년)에 처음 설치되어 1895년(고종 32년) 까지 약 450년 이상 유지된 군사적 요충지다. 이번 발굴조사는 해남 전라우수영 정비사업의 하나로 중심 관아터에 대한 위치와 형태를 파악하여 정비복원을 계획한다는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번 발굴로 전라우수영의 수사(水使)가 기거..

기타/각종정보 2020.11.09

「봉화 오고당 고택」국가민속문화재 지정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경상북도 봉화군 봉성면에 있는 「봉화 오고당 고택」을 국가민속문화재 제298호로 지정하였다. 「봉화 오고당 고택」은 조선후기 명의(名醫)로 알려진 박한진(朴翰鎭, 1815~1893)이 살았던 곳으로 1820년 건립되었다고 전하며, 오고당(五高堂)이란 당호는 박한진의 호를 따서 후손들이 붙인 명칭이다. 오고선생 유고집에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에 의하면, 박한진이 61세 때인 1875년(고종 12년) 헌종의 생모인 조대비 신정왕후(神貞王后, 1808~1890)의 병환을 고친 후 임금이 그의 의술을 높이 평가하여 명가전만리(名可傳萬里 : 명성이 만리에 전해질 것이다)라 하여 만리(萬里)라는 호를 내리셨고, 벼슬을 내려 고마움을 표하려 하였으나 그는 이를 거듭 사양하였다고 한다. 이에 감..

기타/각종정보 2020.11.09

「담양 태목리 대나무 군락」천연기념물 되다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 태목리에 있는 「담양 태목리 대나무 군락(潭陽 台木里 대나무 群落)」을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 제560호로 지정하였다. 「담양 태목리 대나무 군락」은 일반적인 대나무 서식 조건과는 달리 하천변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는 퇴적층에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드물게 자연적으로 조성된 대규모 대나무 군락지다. 평균높이 18m, 평균지름 2~12㎝의 왕대와 솜대가 같이 분포하고 있으며, 천연기념물인 황조롱이(제323-8호), 원앙(제327호), 수달(제330호)과 함께 달뿌리풀, 줄, 물억새 등 야생동·식물의 서식처로서 자연 학술 가치가 크다. 또한,「담양 태목리 대나무 군락」은 영산강 하천변과 어우러져 아름다운 대나무 숲을 보여주고 있는 등 경관 가치가 뛰어나고, 대..

기타/각종정보 2020.11.09

落葉詩 : 신위(申緯·1769 ~1845)

落葉詩 신위(申緯·1769 ~1845) 天地大染局(천지대염국) 幻化何太遽(환화하태거) 천지는 거대한 염색 가게 환상의 변화를 어쩜 저리 서두를까? 丹黃點飄蘀(단황점표탁) 紅素吹花絮(홍소취화서) 발갛고 노란 잎을 점점이 날리는 바람 붉은 꽃과 흰 버들솜에 불어왔었네. 春秋迭代謝(춘추질대사) 光景兩無處(광경양무처) 봄과 가을 번갈아 바뀌어도 태양은 양쪽 어디에도 머물지 않네. 空色顚倒間(공색전도간) 苒苒流年去(염염유년거) 공(空)과 색(色)이 뒤집히는 동안 성큼성큼 세월은 흘러가누나.

문화재청, 서원(서당 포함)·향교 20건‘보물’지정 예고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99호 「강릉향교(江陵鄕校)」의 명륜당(明倫堂) 등 20건의 서원(書院)·향교(鄕校) 문화재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하였다. 문화재청은 2018년부터 ‘건조물 문화재에 대한 지정가치’ 주제연구를 통하여 지난해 누정(樓亭) 문화재 10건을 보물로 지정한 바 있으며, 2019년부터는 430여건의 서원(서당 포함)과 향교들 중 전문가 사전 검토를 거쳐 선정한 총 33건을 대상으로 지정조사해 최종적으로 이번에 20건의 서원과 향교들을 대거 보물로 지정 예고하게 됐다. 이번에 지정된 서원과 향교 문화재들을 지역적으로 살펴보면 강원 2건, 경기도 3건, 경상도 11건, 충청도 1건, 전라도 3건이며, 서원이 3건, 향교가 14건, 서당이 3건이다. 참고로, 현재..

기타/각종정보 2020.11.06

「대구 동인초등학교 강당」,「독립신문 상해판」문화재 등록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2020년 11월 6일자로 「대구 동인초등학교 강당」과 「독립신문(獨立新聞) 상해판」등 2건을 문화재로 등록하고, 「전남대학교 용봉관」, 「경상남도립 나전칠기 기술원 양성소」, 「군산 둔율동 성당 성당신축기 및 건축허가신청서」, 「대각교의식(大覺敎儀式)」등 4건을 문화재로 등록 예고했다. 국가등록문화재 제798호가 된「대구 동인초등학교 강당」은 강당 건물로서의 필요한 층고 확보를 위해 사용한 ‘맨사드 지붕’ 등의 건축 수법을 잘 보여주는 특징을 가지고 있고, 대구 구 도심의 오래된 학교시설로서 근대기 도시 공간 구조와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도시 역사와 교육사, 지역사적인 면에서 의미를 가지고 있다. * 맨사드 지붕(mansard roof): 지붕 상부와 하부의 지붕면에서 경사를..

기타/각종정보 2020.11.06

안동 용계리 은행나무(安東 龍溪里 銀杏나무)

안동 용계리 은행나무(安東 龍溪里 銀杏나무. 천연기념물 제175호. 경북 안동시 길안면 용계리 744외 8필) 은행나무는 살아 있는 화석이라 할 만큼 오래된 나무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중국에서 유교와 불교가 전해질 때 같이 들어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가을 단풍이 매우 아름답고 병충해가 없으며 넓고 짙은 그늘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어 정자나무 또는 가로수로도 많이 심는다. 용계의 은행나무는 나이가 700년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 31.0m, 둘레 13.67m이다. 원래는 용계초등학교 운동장에 있었으나 임하댐의 건설로 물에 잠길 위치에 있어, 15m의 높이로 흙을 쌓아 지금의 위치에 옮겨 심은 것이다. 이 나무에는 조선 선조(재위 1576∼1608) 때 훈련대장이었..

경상북도/안동 2020.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