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분류 전체보기 6296

금동 당간 용두(金銅幢竿龍頭)

금동 당간 용두(金銅幢竿龍頭. 보물 제1410호.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321-0 (황금동, 국립대구박물관)) 경북 풍기에서 발견된 이 용두는 보당(寶幢)에 번(幡)을 매달 때 줄을 거는 역할과 당간 꼭대기에 올려 장식하였던 장치이다. 금동의 역동적인 용이 입안에 여의주를 물고 있으며, 여의주 뒤로 줄을 거는 도르래가 장착되었다. 용은 눈을 크게 뜨고 정면을 응시하였으며 얼굴 주위와 목 뒤로 굽이친 듯 갈기가 장식되었다. 목에는 비늘이 선각되고 전체적으로 화려하게 도금되어 당시의 모습을 짐작케 한다. 사찰에 쓰여진 보당의 형식과 그 위에 올려진 용두장식이 실제로 밝혀진 중요한 자료이며 통일신라 전성기의 금속공예 기술이 잘 발휘된 걸작이다.(출처 : 문화재청)

대구 2019.04.17

경산 신대리 1호 목관묘 출토 청동호랑이모양 띠고리(慶山 新垈里 一號 木棺墓 出土 靑銅虎形帶鉤)

경산 신대리 1호 목관묘 출토 청동호랑이모양 띠고리(慶山 新垈里 一號 木棺墓 出土 靑銅虎形帶鉤. 보물 제2017호. 국립대구박물관) ‘경산 신대리 1호 목관묘 출토 청동호랑이모양 띠고리’는 2007년 경상북도 경산 신대리 1호분 목관묘에서 출토된 유물로 일반적으로 호형대구(虎形帶鉤)..

대구 2019.04.17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楊州 檜巖寺址 無學大師塔). 무학대사탑 앞 쌍사자 석등(無學大師塔 앞 雙獅子 石燈). 무학대사비(無學大師碑)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楊州 檜巖寺址 無學大師塔. 보물 제388호. 경기 양주시 회암동 산8-1번지 회암사) 회암사는 고려 충숙왕(1328)때 지공(指空)이 창건하여 조선 순조 때인 1800년대에 폐사된 사찰이다. 조선 전기 왕실의 보호를 받던 절로서 태조 이성계가 늙은 후에 머무르면서 수도하던 곳으로도 유명하다. 절터의 북쪽 능선 위에 지공(指空), 나옹(懶翁)의 승탑과 함께 서있는 이 탑은 무학대사(無學大師)의 묘탑이다. 둘레에는 탑을 보호하기 위한 난간이 둘러져 있다. 회암사의 주지이기도 했던 무학은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 활약한 승려로,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와의 관계로 더욱 알려지게 되었다. 이성계의 꿈을 풀이하여 왕이 될 것을 예언한 이야기와 한양천도와 관련된 설화 등은 특히 유명하다...

경기도 2019.04.06

지공선사부도 및 석등(指空禪師浮屠 및 石燈) 그리고 양주회암사지공선사부도비(楊洲檜岩寺指空禪師浮屠碑)

지공선사부도 및 석등(指空禪師浮屠 및 石燈. 시도유형문화재 제49호. 경기 양주시 회암동 산8-1번지) 회암사에 놓여 있는 부도와 석등이다.부도는 승려의 무덤을 상징하여 그 유골이나 사리를 모신다. 회암사에 서 있는 이 부도는 회암사를 창건한 인도인 승려 지공선사의 사리를 모시고 ..

경기도 2019.04.06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 억새 자르는 날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본부장 직무대리 나명하)는 오는 6일 한식(寒食)을 맞아, 구리 동구릉(사적 제193호) 내에 있는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健元陵) 봉분을 덮고 있는 억새(청완, 靑薍)를 자르는 ‘청완 예초의(靑薍 刈草儀)’ 행사를 오전 9시 30분부터 진행한다. 건원릉은 다른 조선왕릉과는 달리 독특하게 봉분이 억새로 조성되어 있는데, 태조(太祖, 1335~1408년)의 유언에 따라 고향인 함흥의 억새를 가져와 봉분을 덮었다고 전해진다. 건원릉 억새는 예로부터 한식날 단 한 차례 예초(刈草, 풀베기)를 하였는데, 오랜 전통으로 이어져온 이 의식을 계승하기 위해 문화재청에서는 조선왕릉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이듬해인 2010년부터 매년 절향(節享, 계절에 따른 제사)인 봄 제사로 ‘청완 예초의’를 거행하..

기타/각종정보 2019.04.03

최고(最古) 사리공예품「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국보 지정 예고

최고(最古) 사리공예품「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국보 지정 예고 -「구미 대둔사 삼장보살도」등 3건은 보물 지정 예고 -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577년에 만들어져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사리(舍利) 공예품인 보물 제1767호 「부여 왕흥사지 사리기 일괄」(2012.6.29.지정)을 ‘부여 ..

기타/각종정보 2019.04.03

익산 미륵사지 석탑, 정비 마치고 2019년 3월 23일 완전한 모습 공개

익산 미륵사지 석탑, 정비 마치고 23일 완전한 모습 공개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최종덕)는 익산 미륵사지 석탑(국보 제11호)의 해체․수리와 이를 위해 설치했던 가설시설물 철거, 석탑 주변 정비를 완료하고 오는 2019년 3월 23일부터 석탑의 완전한 모습을 공개한다. 익산 미륵사..

기타/각종정보 2019.03.21

고령 지산동 고분군에서‘건국신화 그림 6종’새겨진 토제방울 출토

고령 지산동 고분군에서‘건국신화 그림 6종’새겨진 토제방울 출토 - 5세기 후반 가야 시조‘난생(卵生)’신화 형상화, 건국신화 투영된 유물 최초 사례 -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의 허가를 받아 (재)대동문화재연구원(원장 조영현)에서 발굴조사 중인 사적 제79호 고령 지산동 고분군에서 ..

경상북도/고령 2019.03.21

「매천야록」등 6건 문화재 등록 예고,「서울 구 공군사관학교 교회」문화재 등록

「매천야록」등 6건 문화재 등록 예고, 「서울 구 공군사관학교 교회」문화재 등록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매천야록(梅泉野錄)」 등 경술국치 직후 순절(殉節)한 매천 황현과 관련 있는 문화유산 4건과 「윤희순 ‘의병가사집’」 등 5건의 항일독립 유산과 「서울 한양대학교 구 본..

기타/각종정보 2019.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