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분류 전체보기 6296

안동 진성이씨 온혜파 종택・상주 우복 종택 국가민속문화재 지정

안동 진성이씨 온혜파 종택・ 상주 우복 종택 국가민속문화재 지정 익산 김병순 고택 국가민속문화재 지정 예고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안동 진성이씨 온혜파 종택」을 국가민속문화재 제295호로, 「상주 우복 종택」을 국가민속문화재 제296호로 지정하였다. 또한, 「익산 김병순 고..

카테고리 없음 2018.11.03

경주 서악동 삼층석탑慶州 西岳洞 三層石塔과 구절초九節草 그리고 고분古墳

경주 서악동 삼층석탑 慶州 西岳洞 三層石塔 보물 제65호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 통일신라시대 모전탑 계열에 속하는 탑으로, 무열왕릉 동북쪽 비탈진 곳에 서 있다. 모전탑은 전탑(전탑:흙으로 구운 벽돌로 쌓은 탑)을 모방한 것으로, 돌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쌓아 올린 것..

경주 남산 창림사지 삼층석탑(慶州 南山 昌林寺址 三層石塔)

경주 남산 창림사지 삼층석탑(慶州 南山 昌林寺址 三層石塔. 보물 제1867호. 경북 경주시 서西남산) 삼층석탑이 자리하고 있는 창림사지는 발굴조사를 통하여 경주 불국사 등 통일신라시대 가람에서 나타나는 층(공간)별 독립된 공간이 창림사에서 확인된 바 있으며 확장과정에서 새로 추..

장성 필암서원(長城 筆巖書院)

장성 필암서원(長城 筆巖書院. 사적 제242호) 선비들이 모여서 학문을 닦고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선조 23년(1590)에 하서 김인후(1510∼1560)를 추모하기 위해서 그의 고향인 기산리에 세워졌다. 1597년 정유재란으로 불타 없어졌으나 인조 24년(1624)에 다시 지었다. 현종 3년(1662)에 임금께서 ‘필암서원’이라고 쓴 현판을 직접 내려보내 주셨으며, 1672년에 지금의 자리로 옮겨 세웠다. 공부하는 곳을 앞쪽에, 제사지내는 곳을 뒤쪽에 배치한 전학후묘(前學後廟)의 형태로서 휴식처가 되는 확연루를 시작으로 수업을 받는 청절당, 그 뒤에 학생들이 생활하는 공간인 동재와 서재가 자리잡고 있다. 그리고 그 북쪽으로는 문과 담으로 별도의 공간을 만들어 사당을 두고 제사를 지냈다. 청절당의 처마..

전남 2018.10.06

1962년 문화재보호법 제정 이후 56년만 / 국보‧보물 지정 역사와 의의 소개

- 1962년 문화재보호법 제정 이후 56년만 / 국보‧보물 지정 역사와 의의 소개 - 보물 지정 번호가 제2000호에 이르렀다.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김홍도가 57세 때인 1801년(순조 1년)에 그린 8폭 병풍인 「김홍도 필 삼공불환도」를 보물 제2000호로 지정하였다. * 지정번호는 해당 문화재의 보..

기타/각종정보 2018.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