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益山 彌勒寺址 西塔 出土 舍利莊嚴具) 익산 미륵사지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益山 彌勒寺址 西塔 出土 舍利莊嚴具. 보물 제1991호. 전라북도 익산시 미륵사지로 362 (금마면, 국립익산박물관))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는 2009년 익산 미륵사지 서탑 심주석(心柱石)의 사리공(舍利孔) 및 기단부에서 .. 전북 2019.03.10
이병기선생생가 이병기선생생가(전라북도 기념물 제6호.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가람1길 64-6) 국문학자이며 시조 작가인 가람 이병기(1891~1968)선생이 태어나 살던 곳이다. 조선 말기 선비의 가옥 배치를 따르고 있는데 안채, 사랑채, 헛간, 고방채, 정자 등이 남아 있다. 소박한 안채와 사랑채, 안담한 정.. 전북 2019.03.10
익산 쌍릉(益山 雙陵) 대왕묘 익산 쌍릉(益山 雙陵. 사적 제87호. 전북 익산시 석왕동 산55번지 산56) 전라북도 익산에 있는 무덤으로, 남북으로 2기의 무덤이 나란히 자리잡고 있어 쌍릉이라고 부른다.무덤 안의 구조는 백제 후기 굴식돌방무덤(횡혈식석실묘)이며, 무덤의 봉분과 돌방의 크기가 큰 북쪽의 것을 .. 전북 2019.03.09
조선 궁중회화의 으뜸,「기사계첩」국보 지정 조선 궁중회화의 으뜸,「기사계첩」국보 지정 -「제진언집 목판」등 5건은 보물 지정 -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18세기 초 대표 궁중회화로 꼽혀 온 보물 제929호 「기사계첩」을 국보로 지정하고, 「제진언집 목판」, 「고려 천수관음보살도」를 포함한 고려 시대 불화, 조선 시대 목판과.. 기타/각종정보 2019.03.08
「강진 백운동 원림」국가지정문화재 명승 지정 「강진 백운동 원림」국가지정문화재 명승 지정 - 경치를 끌어와 정원에 담은 전통원림의 백미 -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에 있는 「강진 백운동 원림(康津 白雲洞 園林)」의 역사적·경관적·학술적 가치를 확인하여 국가지정문화재 명승 제115호로 지정하였다. .. 기타/각종정보 2019.03.07
라오스 홍낭시다 사원에서 라오스 최초의 금동요니 발굴 라오스 홍낭시다 사원에서 라오스 최초의 금동요니 발굴 - 문화재청․한국문화재재단, 공적개발원조로 2013년부터 라오스서 보존․복원사업 중 - 문화재청(청장 정재숙)과 한국문화재재단(이사장 진옥섭)이 공적개발원조(ODA)로 추진 중인 라오스 홍낭시다 사원 보존·복원 과정에서 금동.. 기타/각종정보 2019.03.06
‘부안 동문안 당산’돌오리상, 도난 16년 만에 제자리로 ‘부안 동문안 당산’돌오리상, 도난 16년 만에 제자리로 - 부안 동․서․남 세 당산 중 유일한 원래의 돌오리상, 2019년 3월5일 11시 반환식 개최 - 문화재청(청장 정재숙) 사범단속반은 2003년 3월경 전라북도 부안군 동중리에서 도난당한 국가민속문화재 제19호 「부안 동문안 당산(扶安 東.. 기타/각종정보 2019.03.05
3.1운동 100주년, 보존처리로 되살아난 독립운동가의 복식 3.1운동 100주년, 보존처리로 되살아난 독립운동가의 복식 - 문화재보존과학센터, 등록문화재 서재필 진료가운과 유림 양복 보존처리 완료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센터장 이동식)는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독립운동가의 복식 중 제607호 「서재필 진료가운」과 제6.. 기타/각종정보 2019.02.28
고려청자의 기원,「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국보 승격 예고 고려청자의 기원,「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국보 승격 예고 - 군위 인각사 출토 공양구 및 고려‧조선 금속활자 서책 등 2건은 보물 지정 예고 -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우리나라 청자 제작의 시원(始原)이라 일컬어지는 보물 제237호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를 국보로, 통일신라.. 기타/각종정보 2019.02.27
「창녕 계성 고분군」과 「경주 분황사지」, 「경주 구황동 원지 유적 일원」 사적 지정 「창녕 계성 고분군」과 「경주 분황사지」, 「경주 구황동 원지 유적 일원」 사적 지정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경상남도 창녕군에 있는 「창녕 계성 고분군(昌寧 桂城 古墳群)」과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경주 분황사지(慶州 芬皇寺址)」, 「경주 구황동 원지 유적 일원(慶州 九黃.. 기타/각종정보 2019.02.27
「고령 지산동 32호분 출토 금동관」등 가야문화권 출토 유물 3건 보물 지정 「고령 지산동 32호분 출토 금동관」등 가야문화권 출토 유물 3건 보물 지정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고령 지산동 32호분 출토 금동관」을 비롯해 가야문화권 출토 중요 유물 3건에 대해 보물로 지정하였다. 이번에 지정한 가야 시대 유물 3건은 ‘철의 왕국’으로 알려진 가야가 각종 .. 기타/각종정보 2019.02.27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昌寧 校洞과 松峴洞 古墳群)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昌寧 校洞과 松峴洞 古墳群.사적 제514호.경남 창녕군 창녕읍 교리 129 등) 창녕은 『삼국사기』에 나오는 진한의 12개 나라 중 하나인 불사국으로, 비사벌이라고 불리던 곳이다.창녕읍 교리 및 송현리 일대에 넓게 분포하고 있는 대형 고분군으로, 1911년 일본인 .. 경남 2019.02.24
창녕 영산 서리유적 서구(西丘) 15호 석실무덤 창녕 영산 서리유적 서구(西丘) 15호 석실무덤 유적명 : 창녕 영산 서리농공단지 조성부지 내 유적 유적면적 : 215,118㎡ 조사기간 : 2010. 2. 16 ~ 11. 15 조사기관 : (재)삼강문화재연구원 경남 창녕 영산 서리유적은 영산 서리농공단지 조성사업 부지 내에 위치한다. 발굴조사에서 조선시대 무덤.. 경남 2019.02.23
창녕 계성고분군 Ⅱ지구 1호분 - 창녕박물관으로 이전·복원 - 국도 5호선 확장구간에 포함되어 1988년 호암미술관에 의해 발굴조사된 계성고분군의 Ⅱ지구 1호분은 영축산에서 서쪽으로 뻗어 내린 구릉의 정상부에 자리 잡은 대형봉토 석실무덤이다. 이 고분은 이미 도굴된 상태였음에도 불구하고 금제큰고리귀걸이(金製太環耳飾) 등 중요한 유물이 .. 경남 2019.02.23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배 경남 창녕 비봉리 고분에서 신석기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나무배(木舟)가 출토됐다. 발굴팀은 고고학적 퇴적층위로 미뤄 이 배의 제작 연대를 8천여년 전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는 지금까지 출토된 선사시대의 배로는 최고(最古)연대다. 가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불에 그을린 흔.. 경남 2019.02.23
‘문화재에 깃든 100년 전 그날’展 개최 ‘문화재에 깃든 100년 전 그날’展 개최 3.1운동ㆍ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2019. 2.19.~4.21. 서대문형무소역사관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념한 특별전 ‘문화재에 깃든 100년 전 그날’을 오는 19일부터 4월 21일까지 서대문형무소역.. 기타/각종정보 2019.02.19
봄 찾아가다 만난 복수초福壽草 복수초福壽草 Amur adonis (학명 : Adonis amurensis Regel & Radde) 속명 Adonis는 희랍 신화의 청년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며, 종명은 아무르지방에서 자란다는 뜻이다. 눈 속에 피는 연꽃 같다고 해서 ‘설연雪蓮’이라는 이름도 있다 기타/ 이 생각 저 생각 2019.02.17
「만해 한용운 심우장」사적 지정 예고. 「이봉창 의사 선서문 및 유물」문화재 등록 예고,「인제성당」등 2건 문화재 등록 「만해 한용운 심우장」사적 지정 예고 -「이봉창 의사 선서문 및 유물」문화재 등록 예고,「인제성당」등 2건 문화재 등록 -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항일독립 문화유산인 「만해 한용운 심우장」과 「이봉창 의사 선서문 및 유물」을 각각 사적 지정과 문화재 등록을 예고하고, 「인제.. 카테고리 없음 2019.02.13
방가산 돌탑공원 돌탑공원 위치 : 경북 영천시 화남면 용계리 11 언제나 다정한 친구인 道鬼가 영천 화남면에 용무가 있어 나의 愛馬인 소렌토를 몰고 道鬼의 고향인 삼창마을을 방문하고 '삼창마을 앞 도로를 직진하면 어디에 닿는지'하고 농담 삼아 질문을 하니 '방가산 정상 부근의 돌탑공원을 지나 방.. 경상북도/영천 2019.02.12
「한국의 갯벌」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신청서 제출.「가야고분군」세계유산 잠정목록 신청서 제출 「한국의 갯벌」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신청서 제출 「가야고분군」세계유산 잠정목록 신청서 제출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한국의 갯벌」을 2019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등재하기 위한 등재신청서를 제출하였다. 또한, 기존에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으로 각각 등록되어 있.. 기타/각종정보 2019.02.01
신라 왕경 알리미‘꾸리와 두두리’첫 공개 신라 왕경 알리미‘꾸리와 두두리’첫 공개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작, 월성 출토유물 벼루 다리 장식에서 착안 -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이종훈)는 문화유산 조사‧연구 성과를 국민에게 더 친근하게 홍보하고자 경주 월성에서 나온 벼루 다리에 나온 돼지와 도깨비 모.. 기타/각종정보 2019.02.01
‘전통어로방식’국가무형문화재 신규종목 지정 예고 ‘전통어로방식’국가무형문화재 신규종목 지정 예고 - 한국 어촌문화와 생업의 근간인 전통어로방식의 가치 인정 -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물고기를 잡기 위해 주변 지형과 조류(潮流)의 흐름, 물고기의 습성을 고려하여 어구(漁具)를 설치‧활용하는 ‘전통어로방식’을 국가무형문.. 기타/각종정보 2019.01.29
20년만에 복원된 ‘삼성상회’ 건물 및 삼성그룹 창업주인 호암 이병철 회장의 동상 삼성상회는 1938년 이병철 선대회장이 대구 중구 인교동에 창업한 건물이다. 1997년 붕괴 우려로 철거한 뒤 약 20년 만에 이곳에 복원됐다. 옛 건물 자재를 활용해 역사적 의미가 있다. 삼성그룹의 창업주인 호암 이병철 회장의 동상 제일모직 굴뚝 삼성그룹의 옛 삼성상회 터가 기념공간으.. 대구 2019.01.27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보물 지정, 「보령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보물 지정 예고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보물 지정, 「보령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보물 지정 예고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7호 ‘남양주 수종사 부도(南陽州 水鐘寺 浮屠)‘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2013호 「남양주 수종사 사리탑(南楊州 水鐘寺 舍利塔)」으로 지정하였다. 또.. 기타/각종정보 2019.01.25
연오랑 세오녀의전설이 서린 먹바우(검둥바위) 연오랑세오녀상이 호미곶해맞이광장에 세워져 있다. 포항의 대표적인 설화가 바로 ‘연오랑세오녀’다. 「삼국유사」 의하면 신라 제8대 아달라왕 즉위 4년 정유에 동해가에 연오랑 세오녀라는 부부가 살았다. 바다에서 고기잡는 어부 연오랑과 베짜며 옷짓던 세오녀는 금실 좋기로 소.. 경상북도/포항 2019.01.21
덕온공주 집안의 한글자료, 고국의 품으로 돌아오다 덕온공주 집안의 한글자료, 고국의 품으로 돌아오다 - 덕온공주가 손수 쓴 「자경전기」, 「규훈」 등 총 68점 환수 -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조선의 마지막 공주인 덕온공주가 한글로 쓴 「자경전기(慈慶殿記)」와 「규훈(閨訓)」을 비롯한 <덕온공주 집안의 한글자료>를 2018년 11월 .. 기타/각종정보 2019.01.19
여성 한복, 근대를 만나다 : 국립대구박물관 특별전시 2018-12-08 ~ 2019-03-10 190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근대 여성 한복을 재조명하는 전시입니다. 100년 전 독립만세운동 당시 입었던 여학생 한복 교복과 1950년대 벨벳 치마, 1960~70년대 레이스 저고리와 아리랑 저고리 등 시대를 대표하는 근대 여성 한복과 당시 유행을 보여주는 소품, 자료를 한자리에 만날 수 있습.. 대구 2019.01.15
영주 금강사 터에서 만난 보물 : 2018.10/23 - 2019.2.24 국립대구박물관 특별 전시실 경상북도 영주시 평은면에 위치한 금광리는 내성천이 'U'자 모양으로 굽이쳐 흐르는 곳에 위치한 마을입니다. 금광이라는 이름은 내성천의 물결이 모래와 같이 반짝이고 비단 같다고 하여 불리어진 것입니다. 이곳 내성천 일대에 영주댐 건설이 시작되면서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재)한국.. 대구 2019.01.11
금관가야 중심권역에서 새로운 형태의 집모양토기와 말발걸이 출토 금관가야 중심권역에서 새로운 형태의 집모양토기와 말발걸이 출토 - 금관가야 왕궁지 추정 김해 봉황동 유적(사적 제2호)에서 발견 - 문화재청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소장 김삼기)에서 2015년부터 발굴조사 중인 금관가야 추정왕궁지인 김해 봉황동 유적(사적 제2호)에서 지금까지 발견.. 기타/각종정보 2019.01.09
'장(醬) 담그기', 국가무형문화재 신규종목 지정 '장(醬) 담그기', 국가무형문화재 신규종목 지정 - 한국 음식문화의 뿌리인 장 담그기의 가치 인정받아 -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콩을 발효시키는 과정을 통해 만들어지는 ‘장(醬) 담그기’를 국가무형문화재 제137호로 지정하였다. 이번에 국가무형문화재 신규종목으로 지정된 ‘장 담.. 기타/각종정보 2019.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