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분류 전체보기 6355

자계서원紫溪書院

"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자계서원紫溪書院(영귀루詠歸樓,동·서재東·西齋.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서원길 62-2)조선 초기의 문신이며 학자인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1464∼1498]의 학문과 덕행을 배향하기 위해 건립한 서원이다. 경상북도 청도군 이서면 서원리 85에 위치한다. 대구 팔조령에서 청도 방향으로 난 국가 지원 지방도 30호선을 따라 오다 이서면사무소를 지나 약 1,250m 직진한다. 여기서 이서교를 건너기 전에 우회전하여 들어가면 미동 마을이 있다. 미동 마을의 야산 자락 아래에 자계서원(영귀루,동.서재)이 있다. 조선 전기의 문신이며 학자인 김일손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하여 1518년(중종 13)에 지은 서원이다. 1578년(선조 ..

경상북도/청도 2024.05.16

청도읍성(淸道邑城. 경북 청도군 화양읍)

"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청도읍성(淸道邑城. 경북 청도군 화양읍) 청도읍성은 고려 말에 토성으로 초축된 것으로 추정된다. 문헌 기록으로는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직전인 1591년(선조 24) 왜적의 침입에 대비해 전국 읍성을 대대적으로 수리할 때 크게 수축했다 한다. 그러나 임진왜란 때 큰 폐해를 입었고, 그 이후 성벽 및 성문 등의 시설이 건립과 소실을 반복해 오다가 일제 강점기 때 철거되었다. 현재 전체 둘레 대략 1.8㎞, 면적은 약 20만 1090㎡가 확인된다. 청도읍성 입구 동문터 좌측에 선정비가 세워져 있다. 청도읍성은 조선 초기에 이미 석성이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문헌 기록상으로는 임진왜란 직전 정세의 위급함에 동래에서 서울에 이르는 대로변..

경상북도/청도 2024.05.16

큰꽃으아리(Big-flower clematis, 신철선연, 개비머리)

큰꽃으아리(Big-flower clematis, 신철선연, 개비머리)분류체계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Magnoliidae (목련아강) > Ranunculales (미나리아재비목) > Ranunculaceae (미나리아재비과) > Clematis (으아리속) > patens (큰꽃으아리)햇볕이 잘 드는 숲 가장자리나 길가에서 자라는 낙엽 덩굴나무이다. 줄기는 갈색, 길이 2~4m다. 잎은 마주나며, 작은잎 3~5장으로 이루어진 겹잎이다. 작은잎은 난형, 길이 3~10cm, 폭 2~5cm이며, 보통 3갈래로 갈라지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 뒷면에 털이 난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줄기 끝에 1개씩 위를 향해 나며, 지름 10~1..

기타/꽃 2024.05.16

때죽나무

때죽나무계 : 식물계(Plantae)구분군 : 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 속씨식물군(Angiosperms) 쌍떡잎식물군(Eudicots) 국화군(Asterids)목 : 진달래목(Ericales)과 : 때죽나무과(Styracaceae)속 : 때죽나무속(Styrax)종 : 때죽나무 (S. japonicus )학명 : Styrax japonicus10m 정도의 자라는 작은키나무이다. 사이에 맺히는 열매가 생기고 반질반질한 것 같아 가을에 스님들이 새끼로 뭉친 것 같다고 해서 '떼중나무'라거나 이후에 '때죽나무'가 된 설이 있다. 또한 열매의 독으로 물고기를 '떼'로 '죽'여는 데서 유래된 설도 있습니다.꽃은 문에 봄에 꽃이 땅을 감시 하며 개화하며 맛있는 꽃향기가 그림자 나무를 얹기만 해도 맛있는..

기타/꽃 2024.05.16

성모솔숲마을(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송내길 166)

"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성모솔숲마을(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송내길 166) : 성모솔숲마을은 천주교 대구 대교구 소속 피정의 집으로 환우나 힐링을 원하시는 사람들을 위한 휴양 시설이지만 모든 사람들에게 개방되어 있는 마을이다. 특히 성당이 있어 매일 미사가 열려 카톨릭 신자가 아니어도 성당 내부를 둘러보거나 소나무 숲길을 산책하며 잠시 쉬었다가 갈 수 있는 고요하고 평온한 마을이다.마을의 소나무 숲은 청도군에서 소나무가 가장 많이 밀식된 지역이고 지하수도 미네랄이 풍부한 곳으로 심신의 안정과 건강을 회복하기에 천혜의 휴양지이다. 장기간 휴양이 필요한 사람이나 한달살이를 원하는 사람들에게는 더 없이 휼륭한 공간이다. 개인이나 단체 피정도 가능하고 단식, ..

경상북도/청도 2024.05.16

청도 봉기리 삼층석탑(淸道鳳岐里三層石塔)

청도 봉기리 삼층석탑(淸道鳳岐里三層石塔.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봉기리 719-5)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봉기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삼층 석탑. 청도 봉기리 삼층석탑은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113호로 지정되어 있는 통일 신라 때 석탑이다. 이중 기단의 삼층 석탑으로 통일 신라 시대의 전형적인 형식을 보여준다. 상하층 기단은 우주와 각 면 2개의 탱주를 새겼다. 원래는 쌍탑으로, 현재는 서탑만 남아 있다. 주변에서는 기와 조각, 토기 조각이 소량 수습되었는데, 일설에는 현 석탑 주변 일대가 천정사(天井寺)라는 대규모 사찰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현재 풍각 초등학교 내에 남아 있는 치석재들과 함께 천정사지의 유물로 추정된다. 석탑의 위치한 곳이 천정사라고 하는 대규모 사찰이 있었다고 할 뿐 천정..

경상북도/청도 2024.05.15

송엽국(松葉菊. 사철채송화)

송엽국(松葉菊. 사철채송화)계 : 식물계(미분류) : 속씨식물군(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목 : 석죽목과 : 번행초과속 : 송엽국속종 : 송엽국학명 : Lampranthus spectabilis (Haw.) N. E. Br. (1930)송엽국(松葉菊)은 번행초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남아프리카 원산이다.이름은 소나무의 잎과 같은 잎이 달리는 국화라는 뜻이며, 흔히 속명인 ‘람프란서스’라고 부른다. 잎이 솔잎처럼 선형이면서 두툼한 다육질이다. 꽃잎은 매끄럽고 윤이 난다. 꽃색 자주색, 홍색, 흰색 등이 있다. (출처 : 위키백과)

기타/꽃 2024.05.10

광해군대 불상 「무안 목우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보물 지정 예고- 조선 불화, 고려·조선시대 전적 등 5건도 각각 보물 지정 예고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왜란 직후 조성된 불상인 「무안 목우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을 비롯해 「도은선생집」등 총 6건에 대해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지정 예고하였다. 「무안 목우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務安 牧牛庵 木造阿彌陀如來三尊像)」은 본존불 바닥면에 있는 조성 관련 묵서를 통해 1614년(광해군 6)이라는 제작 연대, 수조각승 각심(覺心) 등의 제작자, 아미타여래·관음보살·대세지보살로 구성된 아미타여래삼존으로 조성되었다는 사실 등을 명확히 알 수 있는 불상으로, 17세기 조각사 분야에서 학술적 가치가 크다. 본존불의 규모가 186cm에 이르는 대형 불상으로, 왜란 이후 새로운 불교 중흥의 의미를 담아 기백 넘치는 조형성을 담고 있다. 더불어 17세기 전반기에 제작된 불상 중 아미타여래삼존상으로는 ..

카테고리 없음 2024.05.10

「인천 구 조흥상회」, 「이왕직 아악부 정간보, 오선악보」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 예고 - 인천 배다리 지역의 도시화 과정 보여주는 건물, 조선시대 궁중음악의 악보 기록 역사 간직한 기록물로서 가치 인정-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인천 구 조흥상회」, 「이왕직 아악부 정간보」,「이왕직 아악부 오선악보」를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 예고하였다. 이번에 등록 예고한 「인천 구 조흥상회」는 인천광역시 동구 금곡동에 위치한 지상 2층의 상업시설로 1955년 건축되었다. 근대기 인천의 역사를 온전히 간직한 배다리 지역을 대표하는 장소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당시 지역주민들의 생활상뿐만 아니라 해방 후 오늘날에 이르기까지의 인천의 도시화 과정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뛰어난 가치를 지녔다. * 배다리: 과거 매립되기 이전에 바닷물이 작은 수로를 통해 철교 밑까지 드나들어, 수산물을 실은 배가 정박하던 다리가 있었다는 데서 유래 이왕직 아악부의 악보는 조선시대 궁중음악 기관인 장악원을 계승한 이왕직 아악부에서 1920..

기타/각종정보 2024.05.09

버베나(Verbena)

버베나(Verbena)계 : 식물계(Plantae)분류군 : 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 속씨식물군(Angiosperms) 쌍떡잎식물군(Eudicots)국화군(Asterids)목 : 꿀풀목(Lamiales)과 : 마편초과(Verbenaceae)속 : 마편초속(Verbena)종 : 가든버베나(V. hybrida)마편초과의 허브. 레몬향과 비슷한 시트러스 계열의 향이 있어 향수의 원료로 자주 쓰인다. 대표적으로 록시땅의 버베나가 있다. 시트러스 계열이 다 그렇듯 여름에 어울리는 상쾌한 향이다.(출처 :나무위키)

기타/꽃 2024.05.09

페튜니아(Petunia)

페튜니아(Petunia)계 : 식물계(Plantae)분류군 : 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 속씨식물군(Angiosperms) 쌍떡잎식물군(Eudicots) 국화군(Asterids)목 : 가지목(Solanales)과 : 가지과(Solanaceae)속 : 페튜니아속(Petunia)종 : 페튜니아(P. × hybrida)관상용 꽃의 이름. 한해살이풀이다. 영어로는 피튜니아라고 읽으며, 국립국어원 외래어표기법에서도 이 음차가 옳다고 밝혔다. 과거 한국에서는 일본어의 영향으로 페츄니아라고도 했는데, 당시 사람들은 발음이 어려워서 배추니아로 부르기도 했다.애기담배풀이라고 하기도 하는데 꽃과 잎이 담배를 닮았고 원산지인 아르헨티나에서는 'petun'이 담배를 뜻한다고 한다. 나팔꽃과 비슷하게 생겼다. 기사..

기타/꽃 2024.05.09

공무원연금공단 대구지부 대경상록자원봉사단의 ‘한땀나눔상록자원봉사단’ 재능기부

"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공무원연금공단 대구지부 대경상록자원봉사단의 ‘한땀나눔상록자원봉사단’ 재능기부- 경추목베개로 건강과 온기 나눔. 가정의 달 맞아 홀몸어르신 등 300명에 전달 -  공무원연금공단(이사장 김동극) 대구지부(지부장 박종무) 대경상록자원봉사단(총단장 하종성)은 2024년 5월 7일 대구지역 5개 복지관(범물노인복지관. 대덕노인복지관. 삼덕노인복지센터. 어르신마을노인복지센터. 성심복지의원)에 홀몸어르신 등 취약계층의 건강하고 편안한 잠을 위한 경추목베개 300개를 전달했다.  편백나무 큐브칩을 넣어 만든 경추목베개는 재봉틀 활용이 가능한 대구지역 은퇴 공무원으로 구성된 한땀나눔상록자원봉사단원(단장 김양선) 30여 명이 4월 한 달 동안 가..

봉사활동 2024.05.08

붉은병꽃나무(Old-fashion weigela, 조선금대화朝鮮金帶花, 조선병꽃나무)

붉은병꽃나무(Old-fashion weigela, 조선금대화朝鮮金帶花, 조선병꽃나무)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꼭두서니목 > 병꽃나무과 > 병꽃나무속서식지 : 산지의 숲 가장자리, 계곡 주변 길가학명 : Weigela florida (Bunge) A. DC.국내분포 : 전국해외분포 : 중국, 일본, 러시아 우수리붉은병꽃나무(학명: Weigela florida)는 인동과 애기병꽃아과에 속하는 낙엽 관목이다. 한국, 중국, 일본에 자생한다.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높이 1~3m, 새 가지는 녹색 또는 붉은색이 도는 세로줄이 있으며, 2년 된 가지는 갈색 또는 붉은 갈색으로 반들거리고 껍질은 어두운 회색이다. 잎은 마주나며, 잎자루는 길이 1~2 mm, 잎몸은 넓은 타원형으로 길이 2.4~6.2cm, ..

기타/꽃 2024.05.07

보천사寶泉寺

"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보천사(寶泉寺.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해평4길 86 (지번) 해평리 525-1)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 해평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 직지사 소속 사찰. 보천사의 입지는 매봉산이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고, 남쪽으로만 트여 있어 낙동강을 바라볼 수 있다.『일선지(一善志)』「방리(坊里)조」에는 보천(寶泉)이라는 유명한 샘이 있어 보천사란 이름을 짓게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사찰의 앞쪽 나루터도 보천탄(寶泉灘)이라 불린다. 매몰된 통일신라 때의 선산 해평동 석조여래좌상(보물)이 발견되어 1959년 해평동 거주 최재기(崔在基)를 비롯한 신도들이 보호각을 지어 보호하면서 보천사가 통일신라 때부터 있었던 사원임을 알게 되었다. ..

경상북도/구미 2024.05.07

고광나무(mock orange)

고광나무(mock orange)분류 : 장미목 > 범의귀과 > 고광나무속꽃색 : 백색학명 : Philadelphus schrenkii Rupr.개화기 : 6월, 4월, 5월고광나무(Philadelphus schrenkii)는 한국·일본·중국 둥베이 지역에 분포하며 주로 산골짜기에서 자란다. 높이는 2-4m이고 작은가지에 털이 조금 있으며 2년생 가지는 회색이고 껍질이 벗겨진다. 잎은 마주나고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양쪽끝이 뾰족하며 뚜렷하지 않은 톱니가 있다. 잎표면은 녹색이고 털이 거의 없으나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맥 위에 잔털이 있다. 4-5월에 잎겨드랑이나 꼭대기에 백색 꽃이 총상꽃차례로 달리는데 잔털이 있으며 5-7개가 달린다. 꽃받침은 안쪽 끝에 잔털이 있으며 꽃잎은 둥글다. 암술대는 4개이고 열..

기타/꽃 2024.05.07

수다사(水多寺)

"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수다사(水多寺) : 구미시 무을면 상송리에 위치하고 있다. 『수다사약지(水多寺略誌)』에 의하면, 830년(흥덕왕 5) 진감국사(眞鑑國師)가 연악산 상봉인 미봉(彌峰)에 백련이 한 송이 피어 있는 것을 보고 절을 창건하여 연화사(淵華寺)라 하였다고 한다.976년(경종 원년)에 화재로 소실되었고, 1185년(명종 15)에 각원대사(覺圓大師)가 중창하여 사명을 성암사(聖巖寺)라 하였다. 이후 1273년(원종 14) 큰 수해를 입어 비로전·나한전·시왕전·청천요사(淸泉寮舍) 등만 남아 있었다.1573년(선조 5) 사명대사가 극락전을 중수하고 대웅전이라 개칭하고 청천료(淸泉寮)를 수리하여 극락당이라 개칭하고 만세루(萬歲樓) 24칸과 9개 방..

경상북도/구미 2024.05.07

마삭줄( 長節藤, Chinese Ivy)

마삭줄( 長節藤, Chinese Ivy)분류 : 협죽도과학명 :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asiaticum마삭줄(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asiaticum)은 상록의 덩굴성 목본으로서, 줄기는 길게 뻗으며, 부착근을 내어 바위나 나무 등에 기어오른다. 잎은 마주 달려 있는데, 타원형으로 두꺼우며 윤이 나고 뒷면에는 털이 나 있다. 꽃은 흰색으로, 5월경이 되면 잎겨드랑이나 가지 끝에 취산꽃차례를 이룬다. 열매는 8~9월에 익으며[1] 원통형의 골돌로 가을에 익으며, 씨의 끝에는 여러 개의 긴 털이 나 있다. 산과 들 및 숲속·바위 틈에서 자라며, 꽃향기가 좋아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되고 있다.(출처 : 위키백과)

기타/꽃 2024.05.07

정향나무(丁香나무, clove)

정향나무(丁香나무, clove)분류 : 물푸레나무목 > 물푸레나무과 > 수수꽃다리속학명 : Syringa patula var. kamibayashii (Nakai) M.Y.Kim정향나무(丁香나무, clove)는 도금양과에 속하는 상록 교목이다. 인도네시아 원산으로, 말린 꽃봉오리가 마치 못과 닮았다고 해서 정향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꽃이 피기 직전에 따서 말린 봉오리를 그대로 또는 가루 형태로 파는데, 달콤하면서도 매콤한 맛이 특징이다. 중국 요리 중에는 오향장육에, 서양에서는 디저트나 음료, 고기 요리나 피클, 소스를 만들 때도 사용된다. 꽃을 딸 때는 일단 봉오리가 벌어지면 향신료로서의 가치가 없으니 주의해야 한다.정향은 향기가 좋을 뿐 아니라, 향료 가운데 부패방지와 살균력이 굉장히 좋다. 정향은 한..

기타/꽃 2024.05.07

자란(紫蘭. 대암풀, 대왕풀, 백급白芨, Chinese Ground Orchid)

자란(紫蘭. 대암풀, 대왕풀, 백급白芨, Chinese Ground Orchid)분류 : 미종자목 > 난초과 > 자란속학명 : Bletilla striata (Thunb.) Rchb.f.개화기 : 5~6월자란(紫蘭)은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한국에서는 해남, 진도와 유달산에서 나는 여러해살이풀로 양지쪽에서 자란다. 줄기는 단축되어 둥근 알뿌리로 되고 여기에서 5-6개의 잎이 서로 감싸면서 줄기처럼 된다. 잎은 긴 타원형이고 길이 20-30cm로서 밑부분이 좁아져서 잎집처럼 된다. 꽃은 5-6월에 피고 홍자색에서 흰색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성장이 좋으면 5~7송이 정도 달린다. 잎에 복륜 .호 등의 무늬 종도 있다.관상용으로 심는다. 한방에서는 덩이줄기를 백급(白及)이라고 하며 수렴·지혈·배농제로서 상처..

기타/꽃 2024.05.07

운문사(雲門寺)

"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운문사(雲門寺.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길 264)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 동화사 소속 사찰.운문사는 호거산 아래 넓은 장군평의 평지 자락에 있는 고찰이다. 산지 가람에 속하는 운문사는 형태면에서는 평지 가람으로 배치되어 있다. 남쪽은 운문사, 북동쪽은 호거산, 서쪽은 억산과 장군봉이 돌아가며 절을 감싸고 있다. 이 모양이 연꽃 같다고 해서 흔히 운문사를 연꽃의 화심(花心)에 비유하기도 한다. 건립 경위 및 변천 1. 창건 557년(신라 진흥왕 18) 한 신승(神僧)이 금수동에 들어와 작은 암자를 짓고 3년 동안 수도하여 큰 깨달음을 얻은 후 절을 짓기 시작하여 동쪽에 가슬갑사[폐사], 남쪽..

경상북도/청도 2024.05.04

청도 동산리 처진소나무(靑道 東山里 처진소나무)

청도 동산리 처진소나무(靑道 東山里 처진소나무.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동산리 146-1)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동산리에 있는 수령 약 200년의 소나무. 소나무는 중국 북동부·러시아 우수리·일본에 분포하고, 우리나라에는 북부 고원 지대를 제외한 전역에 자란다. 소나무의 품종으로는 금강송·처진소나무·산송·황금나무·다행송이 있다. 처진소나무는 가지가 아래로 처지는 수형을 가진 것인데 접목으로 형질이 유전된다. 우리나라 처진소나무 중 가장 전형적이고 희귀한 것이 청도 동산리 처진소나무이다. 가지가 아래로 축 늘어져 매우 독특하고 아름다운 모양을 하고 있으며, 늘어진 가지가 버드나무를 닮았다고 하여 유송(柳松)이라고도 한다. 또한 민속적·생물학적 자료로서의 가치도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 청도..

경상북도/청도 2024.05.04

꽃산딸나무(Flowering Dogwood. 미국산딸나무)

꽃산딸나무(Flowering Dogwood. 미국산딸나무)분류 : 속씨식물문 > 목련강 > 층층나무목 > 층층나무과 > 층층나무속원산지 : 북아메리카꽃색 : 흰색, 분홍색, 빨간색학명 : Cornus florida L.개화기 : 4월 ~ 5월북아메리카 동부 지역이 원산지인 산딸나무다. 미국 중부의 미시시피 강부터 동쪽의 플로리다, 남쪽으로는 멕시코 북부 지역까지 널리 분포한다. 세부적으로는 미국 동부 지역과 멕시코 북부에 분포하는 아종을 구분한다. 야생에서는 숲의 가장자리나 건조한 산등성이에서 찾을 수 있다. 봄이면 화사한 느낌의 꽃이 풍성하게 피고, 가을에는 선명한 붉은색 단풍이 들어 아름답다. 꽃과 단풍을 감상하기 위해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 그만큼 다양한 원예 품종이 있다.미국원산으로 꽃은 새하얀..

기타/꽃 2024.05.04

청도 가슬갑사(嘉瑟岬寺. 가실사加悉寺)와 세속오계(世俗五戒)

"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세속오계世俗五戒(경상북도 청도군 운문산 가슬갑사)신라 시대 원광법사가 경상북도 청도군 가슬갑사에서 전수한 신라 화랑도의 기본 정신.신라 제26대 진평왕 때인 600년(진평왕 22) 당시 수(隋)나라에서 귀국한 원광법사가 청도 가슬갑사(嘉瑟岬寺)[가실사(加悉寺)]를 창건하여 이곳에 머물렀다. 원광법사는 귀산(貴山)과 추항(箒項)에게 세속오계(世俗五戒)를 전수(傳授)하였다. 세속오계는 뒷날 화랑정신의 근본이 되어 삼국 통일을 이루는 데 원동력이 되었다.『삼국사기』 열전 귀산전과 『삼국유사』의 두 곳에 있는 세속오계의 전수 과정을 간단하게 요약하면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원광법사가 수나라에 들어가 유학하고 돌아와서 가실사에 있었는데..

경상북도/청도 2024.05.03

피라칸사스

피라칸사스(피라칸타)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장미목 > 장미과 > 피라칸타속 원산지 : 아시아, 유럽 서식지 : 관상용으로 재배꽃색 : 흰색 크기 : 약 4.5m 학명 :  Pyracantha 꽃말 : 알알이 영근 사랑 피라칸사스(피라칸타)는 장미과의 식물이다. 꽃은 흰색이며 작고 둥근 이과를 만들어낸다. 열매의 색깔은 주황색, 빨간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줄모양 타원형이다.

기타/꽃 2024.05.02

골담초(骨擔草, Scotch bloom)

골담초(骨擔草)는 콩과에 딸린 갈잎떨기나무이다. 중국이 원산지이며 경기도 이남의 산중턱의 양지에서 잘 자란다.원산지가 중국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우리 나라에서도 군락지가 경북 및 중부지방의 산지에서 발견되어 원산지로 들고 있다.키는 1~2m쯤이며, 더부룩하게 나고 잔가시가 많다. 잎은 깃꼴겹잎이고, 잔잎은 넓은 타원 모양이다. 봄에 황색에서 적황색으로 변하는 길이 2.5cm~3cm인 나비 모양의 누른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하나씩 핀다.비옥한 사질양토에서 잘 자라나 토박지에서도 잘 자란다. 튼튼하고 내한성과 내건성이 강하며 생장이 빠르고 위로 자란다. 양수이나 반그늘에서도 잘 견딘다. 내조성이 강하여 해변이나 공해가 심한 도심지에서도 잘 자란다. 잎은 홀수깃모양겹잎으로 2쌍씩 붙어 있고 어긋나기하며 엽축 ..

기타/꽃 2024.04.29

의성김씨학봉종택(義城金氏鶴峰宗宅)

"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의성김씨학봉종택(義城金氏鶴峰宗宅. 경상북도 기념물. 경북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 856번지)조선 중기 문신 학봉 김성일(1538∼1593) 선생의 종가이다.김성일은 선조 1년(1568) 과거에 급제하여 정언과 수찬 나주목사 등을 역임하였다. 임진왜란 때는 경상도 초유사로 관군과 의병을 화합시켜 의병의 전투력 향상에 큰 공을 세웠다. 퇴계의 제자로 뛰어난 성리학자이기도 한 그의 학문은 이후 영남학파의 학문 전통에 큰 영향을 미쳤다.가옥은 一자형 안채와 사당, 문간채, 풍뢰헌, 운장각으로 구성되어 있다. (출처 : 문화재청)김성일(金誠一. 사순士純,학봉鶴峯,문충文忠.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조선 전기 안동 출신의 문신.본관은 의..

경상북도/안동 2024.04.28

봉정사(鳳停寺)

"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봉정사(鳳停寺.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 901[봉정사길 222])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 고운사 소속 사찰. 봉정사를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는 의상(義湘, 625~702)은 통일신라시대의 승려로, 속성은 김(金)이다. 신라 십성의 한 사람으로 당나라에 건너가 화엄을 공부하였다. 이후 귀국하여 부석사(浮石寺)를 세우고 화엄종을 강론하여 우리나라 화엄종의 창시자가 되었다. 전국 열 군데에 화엄종 사찰을 세웠으며, 저서로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 등이 있다. 의상의 제자인 능인(能仁) 또한 통일신라시대의 승려로, 동문인 표훈과 함께 금강산에 표훈사(表訓寺)를 창건하였다. 봉정사는 ..

경상북도/안동 2024.04.28

봉정사 영산암(鳳停寺靈山庵)

"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봉정사 영산암(鳳停寺 靈山庵.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 901[봉정사길 222])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에 있는 봉정사에 딸린 조선 후기 암자.봉정사영산암은 자연 친화적이며 유가적 생활공간과 닮은 특이한 불교 암자이다. 영산암이라는 이름은 석가불이 『법화경』 등의 경전을 설법하였던 영취산에서 유래하는데, 보통 줄여서 영산이라 부른다.석가불을 봉안하고 있는 대웅전의 「후불탱화」는 영취산 위의 『법화경』 설법 장면을 그린 것인데, 흔히 「영산회상도」라고 한다.봉정사 영산암은 영취산에 모여 석가불의 설법을 듣는 나한에 초점을 두어 응진전을 중심 건물로 보기 때문에 영산암이라 하였다고 볼 수 있다.봉정사영산암의 구체적인 건립 ..

경상북도/안동 2024.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