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경기도

칠장사당간(七長寺幢竿)

노촌魯村 2013. 6. 15. 12:25

 

 

칠장사당간(七長寺幢竿.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9호. 경기 안성시  죽산면 칠장리 801-1) 

당간지주는 사찰 입구에 설치하는 것으로, 절에 행사나 의식이 있을 때면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둔다. 깃발을 걸어두는 길쭉한 장대를 당간이라 하며, 이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이 당간은 ‘칠장사’에서 약 700m 앞 길가에 서 있는데, 남아있는 당간 가운데 드물게 완전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총 높이 11.5m로 15마디의 원통형 철통이 연결되어 있으며, 아래부분은 화강암으로 된 좌 ·우 기둥이 버티고 있다. 흙으로 덮여 잘 드러나지 않는 바닥은 네모난 구멍을 마련하여 당간을 꽂았다. 양쪽 기둥은 조각이 없는 소박한 형태로 끝을 둥글게 처리하였다. 철당간은 위로 오를수록 크기가 줄어들고 각 이음새부분은 마치 대나무마디처럼 형성되어 있다.
원래는 원통모양의 철통이 30마디를 이루었다고 하며, 칠장사의 지형이 배(舟)모양과 같아 돛대의 역할을 하도록 이 당간지주를 세웠다고 전한다. 고려시대에 세워진 것으로 칠장사 외에는 청주용두사지와 공주갑사에서만 당간의 모습을 볼 수 있어 매우 희귀한 문화재라 할 수 있다.(출처:문화재청)

당간이란 부처와 보살의 공덕과 위신을 기리는 장엄용 불교 용구인 당(일종의 깃발)을 달기위한 깃대를 말한다.
칠장사에서 약 200m앞쪽 길가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주는 동서방향의 장축을 지닌 기단위에 세워졌는데, 기단은 모두 3매의 석재로 이루어져 있다. 지주는 상면 바깥의 모를 죽여 둥글게 처리하고 그 위로 1조의 종선(縱線)을 표현한 것외에는 장식을 하지 않았다.
당간과의 연결홈은 상하로 두개를 마련하였는데, 위쪽의 간구(竿溝)는 지주의 상면에 장방형의 홈을 파서 당간의 넷째마디 바로 밑에서 지주와 연결되도록 시설하였고 아래쪽의 간공(竿孔)은 지주의 안쪽면에 방형 구멍을 뚫어 지주와 연결하도록 하였다.
당간은 원래 30개의 원통이 연결되어 있었다고 한다. 현재는 14개의 원통이 남아있으며, 제일 아래칸은 길이 68cm, 지름 45cm의 원통으로 하단에 각 칸간 연결을 위한 폭 6cm의 반구형 마디를 마련하였다. 4번째 칸의 경우는 지주와의 연결을 위해 상하로 마디를 두어 마디 두개가 서로 연접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각 마디위로는 1조의 양각선을 횡으로 둘렀다. 9번째 칸과 12번째칸에는 각각 「十正」, 「十一」의 명문이 세로로 양각되어 있다. (출처: 안성시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