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2023/06/24 2

정약용선생묘(丁若鏞先生墓)

정약용선생묘(丁若鏞先生墓. 경기도 기념물. 경기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산75-1번지) 조선 정조대의 문신이자 실학의 대가였던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1762∼1836) 선생의 묘이다. 수원 화성의 성곽제도를 만들고, 공정을 단축시키는 거중기를 제작하여 수원성을 축조하는 데에 크게 공헌하였다. 선생은 학문 연구에 전념하여 『목민심서』 · 『경세유표』 · 『흠흠신서』 등 500여 권의 저서를 남겨 민생을 위한 개혁에 크게 공헌하였다. 묘역은 부인 풍산홍씨(豐山洪氏)와 합장된 하나의 봉분 형태이다. 묘제(墓制 :묘에 대한 관습이나 제도)는 대부분 새 석물로 구성되어 있는데, 1970년대 이후에 새롭게 정비한 것이다. 봉분 정면 오른쪽에는 묘표를 1기 세웠는데, 1959년에 새로 제작하였다. 봉분 앞으로..

경기도 2023.06.24

한음이덕형선생묘 및 신도비(漢陰李德馨先生墓및神道碑)

한음이덕형선생묘 및 신도비(漢陰李德馨先生墓및神道碑. 경기도 기념물. 경기 양평군 양서면 목왕리 산82번지) 한음(漢陰) 이덕형(李德馨, 1561∼1613) 선생은 임진왜란 때 정주까지 왕을 호종했고, 청원사(請援使)로 명나라에 파견되어 파병을 성사시켰다. 광해군 때 이이첨의 사주를 받은 삼사(三司)에서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처형과 폐모론을 들고 나오자, 이항복과 함께 이를 적극 반대했다. 이에 삼사가 모두 이덕형을 모함하며 처형을 주장했으나, 광해군이 관직을 삭탈해 이를 수습하였다. 이덕형선생 묘는 부인 한산이씨(韓山李氏)와 합장(合葬) 단분(單墳)이다. 봉분 앞에 원수방부(圓首方趺; 둥근 머릿돌과 사각 받침돌의 비석 형태)의 묘표, 혼유석, 석상, 향로석이 차례로 설치되어 있다. 그 좌우로 동자석, 문..

경기도 2023.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