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분류 전체보기 6289

구구단 목간(九九段木簡)

구구단 목간(Wood Strip with Inscription 九九段木簡) 소장번호 : 부여45583(국립부여박물관) buy45583 출토지 : 충청남도 부여 쌍북리 시대 : 백제 재질 : 목재 크기 : 30cm 2011년 6월 백제의 도읍지인 부여 쌍북리의 한 공사장에서 발굴된 목간으로, 적외선 촬영으로 구구단을 기록한 것임이 밝혀졌습니다. 9단부터 2단까지 칸을 나누어 기록되었고 9단을 가장 상단에. 아래쪽으로 하위단을 기록, 각 단 사이는 가로 선을 그어 구분했습니다. 구구단 표 목간이 나옴으로 인해서 중국과 한반도를 거쳐 일본에 구구단 문화가 전파되었다는 것이 증명되었습니다. * 구구단 표 목간은 중국과 일본에서도 발견되었습니다. * 이 구구단표가 발굴되기 이전까지 중국에서 일본으로 전래되었다가 ..

기타/각종정보 2021.05.15

빛의 과학, 문화재의 비밀을 밝히다 -국립대구박물관 특별전시-

이번 특별전은 우리 문화재의 보이지 않는 이면을 ‘빛’과 ‘보존과학’으로 집중 조명해보는 전시입니다. 최초 기획 의도는 반영하되 대구박물관만의 특색을 살려 ‘빛과 보존과학의 이해’를 바탕으로 ‘역사적 가치를 담은 중요 문화재 감상’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이번 전시는 눈에 보이는 빛(가시광선)과 눈에 보이지 않는 빛(엑스선, 적외선, 자외선 등)으로 다양한 문화재의 겉과 속을 과학 기술로 풀어봅니다. 역사적 의미와 예술적 가치를 담은 국보급 문화재를 감상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습니다. 전시 구성은 프롤로그 ‘빛의 파장과 색놀이’ 영상을 시작으로 빛과 과학의 이해, 1부 보이는 빛; 문화재의 색이 되다, 2부 보이지 않는 빛; 문화재의 비밀을 밝히다, 3부 빛; 문화재를 진찰합니다, 마지막으로 보존과학의 내일..

대구 2021.05.15

「사천 선전리 백악기 나뭇가지 피복체 산지」천연기념물 지정 예고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경상남도 사천시에 있는「사천 선전리 백악기 나뭇가지 피복체 산지(泗川 仙田里 白堊紀 나뭇가지 被覆砌 産地 / site of carbonate coated wooden branches)」를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로 지정 예고하였다. 「사천 선전리 백악기 나뭇가지 피복체 산지」는 선전리 해안 지역의 중생대 퇴적층에 발달한 탄산염 성장체다. 천연기념물 ‘영월 문곡리 건열구조 및 스트로마톨라이트’, ‘옹진 소청도 스트로마톨라이트 및 분바위’, ‘경산 대구 가톨릭대학교 스트로마톨라이트’ 등과 형성과정이 매우 유사하지만 형태와 형성환경에서 뚜렷한 차별성을 갖고 있다. 스트로마톨라이트는 퇴적면에서 상부로 성장하여 고화된 엽층리를 가진 퇴적성장구조를 말하는데, 「사천 선전리 백악기 나뭇가지 ..

기타/각종정보 2021.05.14

에버그린통기타클럽(김정숙 엄정숙 이명숙 : Rivers of babyilon. 나비 소녀) 외1 -매호천 산책로 버스킹-

에버그린통기타클럽(김정숙 엄정숙 이명숙 : Rivers of babyilon. 나비 소녀) -매호천 산책로 버스킹- 일시 : 2021년 5월 7일(금) 18:00 - 19:00 장소 : 대구 수성구 매호천 산책길 에버그린통기타클럽은 대구문화재단의 행사 참여하여 동구문화재단 주관의 버스킹 참여, 교통사고줄이기 캠페인공연, 조문국박물관 버스킹 공연을 하였으며 현재 엘레오스 및 성림요양병원 등에서 월 1회 정기적으로 음악봉사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2019년 COVID-19 이후 봉사활동은 다소 부진하였으나 COVID-19 장기화로 지친 시민들의 마음을 잠시나마 위로하고자 2021년 5월에서 10월까지 에버그린통기타클럽은 매주 금요일 한 시간 씩 매호천 산책로 주변에서 잔잔한 음악으로 버스킹을 하고자합니다. 2..

봉사활동 2021.05.10

상록해피우쿨렐레연주단(아빠의 청춘. 빨간 구두 아가씨) -매호천 산책로 버스킹-

상록해피우쿨렐레연주단 -매호천 산책로 버스킹- 일시 : 2021년 5월 7일(금) 18:00 - 19:00 장소 : 대구 수성구 매호천 산책로 상록해피우쿨렐레연주단은 퇴직공무원으로 구성된 단체로 2014년 9월 창립되었습니다. 현재 14명의 단원들이 우쿨렐레를 통하여 인생 2막은 음악활동과 재능 기부를 하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김한기교수 지도로 열심히 연습하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연습은 매주 목요일 수성구 매호동 1340번지에서 하고 있습니다. 그간 활동은 대구문화재단의 행사 참여하여 대구도시철도 반월당역 공연, 신매역 공연과 푸른효병원, 고산재가노인요양센터에서 월 2회 정기적 봉사활동(공연)하고 있으며 또한 교통사고줄이기, 거리 캠페인 공연 등 150여회 공연 및 봉사활동을 하였습니다. 2019년 COV..

봉사활동 2021.05.10

에버그린통기타 클럽(엄정숙) Stand by your man 외1 -매호천 산책길 버스킹-

에버그린통기타 클럽(엄정숙) Stand by your man 외1 -매호천 산책길 버스킹- 일시 : 2021년 5월 7일(금) 18:00 - 19:00 장소 : 대구 수성구 매호천 산책길 에버그린통기타클럽은 대구문화재단의 행사 참여하여 동구문화재단 주관의 버스킹 참여, 교통사고줄이기 캠페인공연, 조문국박물관 버스킹 공연을 하였으며 현재 엘레오스 및 성림요양병원 등에서 월 1회 정기적으로 음악봉사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2019년 COVID-19 이후 봉사활동은 다소 부진하였으나 COVID-19 장기화로 지친 시민들의 마음을 잠시나마 위로하고자 2021년 5월에서 10월까지 에버그린통기타클럽은 매주 금요일 한 시간 씩 매호천 산책로 주변에서 잔잔한 음악으로 버스킹을 하고자합니다. 2021년 5월 7일(금)에..

봉사활동 2021.05.10

상록해피우쿨렐레연주단(길가에 앉아서. 정든 그 노래) -매호천 산책로 버스킹-

상록해피우쿨렐레연주단(길가에 앉아서. 정든 그 노래) -매호천 산책로 버스킹- 일시 : 2021년 5월 7일(금) 18:00 - 19:00 장소 : 대구 수성구 매호천 산책로 상록해피우쿨렐레연주단은 퇴직공무원으로 구성된 단체로 2014년 9월 창립되었습니다. 현재 14명의 단원들이 우쿨렐레를 통하여 인생 2막은 음악활동과 재능 기부를 하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김한기교수 지도로 열심히 연습하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연습은 매주 목요일 수성구 매호동 1340번지에서 하고 있습니다. 그간 활동은 대구문화재단의 행사 참여하여 대구도시철도 반월당역 공연, 신매역 공연과 푸른효병원, 고산재가노인요양센터에서 월 2회 정기적 봉사활동(공연)하고 있으며 또한 교통사고줄이기, 거리 캠페인 공연 등 150여회 공연 및 봉사활동..

봉사활동 2021.05.09

상록해피우쿨렐레연주단(그 집 앞. 찔래꽃) -매호천 산책로 버스킹-

상록해피우쿨렐레연주단(그 집 앞. 찔래꽃) -매호천 산책로 버스킹- 일시 : 2021년 5월 7일(금) 18:00 - 19:00 장소 : 대구 수성구 매호천 산책로 상록해피우쿨렐레연주단은 퇴직공무원으로 구성된 단체로 2014년 9월 창립되었습니다. 현재 14명의 단원들이 우쿨렐레를 통하여 인생 2막은 음악활동과 재능 기부를 하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김한기교수 지도로 열심히 연습하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연습은 매주 목요일 수성구 매호동 1340번지에서 하고 있습니다. 그간 활동은 대구문화재단의 행사 참여하여 대구도시철도 반월당역 공연, 신매역 공연과 푸른효병원, 고산재가노인요양센터에서 월 2회 정기적 봉사활동(공연)하고 있으며 또한 교통사고줄이기, 거리 캠페인 공연 등 150여회 공연 및 봉사활동을 하였습니..

봉사활동 2021.05.08

상록해피우쿨렐레연주단. 에버그린통기타클럽 -매호천 산책로 버스킹-

상록해피우쿨렐레연주단. 에버그린통기타클럽 -매호천 산책로 버스킹- 일시 : 2021년 5월 7일(금) 18:00 - 19:00 장소 : 대구 수성구 매호천 산책로 상록해피우쿨렐레연주단과 에버그린통기타클럽은 퇴직공무원으로 구성된 단체입니다. 현재 상록해피우쿨렐레연주단은 단원은 14명이고, 에버그린통기타클럽의 단원은 13명입니다. 상록해피우쿨렐레연주단과 에버그린통기타클럽은 우쿨렐레와 통기타를 통하여 인생 2막을 음악활동과 재능 기부를 하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김한기교수 지도로 열심히 연습하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연습은 상록해피우쿨렐레연주단은 매주 목요일, 에버그린통기타클럽은 매주 화요일에 수성구 매호동 1340번지에서 하고 있습니다. 상록해피우쿨렐레연주단은 대구문화재단의 행사 참여하여 대구도시철도 반월당역 공..

봉사활동 2021.05.08

상록해피우쿨렐레연주단(오빠생각 외2) -매호천 산책로 버스킹-

상록해피우쿨렐레연주단 -매호천 산책로 버스킹- 일시 : 2021년 5월 7일(금) 18:00 - 19:00 장소 : 대구 수성구 매호천 산책로 상록해피우쿨렐레연주단은 퇴직공무원으로 구성된 단체로 2014년 9월 창립되었습니다. 현재 14명의 단원들이 우쿨렐레를 통하여 인생 2막은 음악활동과 재능 기부를 하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김한기교수 지도로 열심히 연습하고 활동하고 있습니다. 연습은 매주 목요일 수성구 매호동 1340번지에서 하고 있습니다. 그간 활동은 대구문화재단의 행사 참여하여 대구도시철도 반월당역 공연, 신매역 공연과 푸른효병원, 고산재가노인요양센터에서 월 2회 정기적 봉사활동(공연)하고 있으며 또한 교통사고줄이기, 거리 캠페인 공연 등 150여회 공연 및 봉사활동을 하였습니다. 2019년 COV..

봉사활동 2021.05.08

에버그린통기타클럽(Let me be there 외1)-매호천 산책길 버스킹-

에버그린통기타클럽 -매호천 산책길 버스킹- 일시 : 2021년 5월 7일(금) 18:00 - 19:00 장소 : 대구 수성구 매호천 산책길 에버그린통기타클럽은 대구문화재단의 행사 참여하여 동구문화재단 주관의 버스킹 참여, 교통사고줄이기 캠페인공연, 조문국박물관 버스킹 공연을 하였으며 현재 엘레오스 및 성림요양병원 등에서 월 1회 정기적으로 음악봉사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2019년 COVID-19 이후 봉사활동은 다소 부진하였으나 COVID-19 장기화로 지친 시민들의 마음을 잠시나마 위로하고자 2021년 5월에서 10월까지 에버그린통기타클럽은 매주 금요일 한 시간 씩 매호천 산책로 주변에서 잔잔한 음악으로 버스킹을 하고자합니다. 2021년 5월 7일(금)에 제1회 공연을 오후 6시부터 7시까지 한 시간 ..

봉사활동 2021.05.08

「제주 이시돌목장 테시폰식 주택」, 「동학농민군 편지」2건 국가등록문화재 등록 예고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제주 이시돌목장 테시폰식 주택」과 「동학농민군 편지」 2건을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 예고하였다. 이번에 등록 예고되는 「제주 이시돌목장 테시폰식 주택」은 아일랜드 ‘성 골롬반외방선교회’ 소속의 맥그린치(Patrick James McGlinchey, 한국명 ‘임피제’)신부가 1960년대 초, 제주도 중산간 지역 목장을 개척하는 과정에서 건축 자재가 부족했던 열악한 건축 여건을 극복하고자 도입한 ‘간이 쉘 구조체’ 공법의 건축물 2채(금악리 77-4번지‧금악리 135번지 각 1채)다. 오늘날 제주도를 제외한 다른 지역의 테시폰식 건축은 모두 소실되었는데, 제주 지역에서만 테시폰 건축 24채가 현존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제주 이시돌 목장의 주택 2채가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갖고 있다...

기타/각종정보 2021.05.06

「영덕 괴시마을」국가민속문화재 지정 예고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에 있는 「영덕 괴시마을(盈德 槐市마을)」을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 예고하였다. 「영덕 괴시마을」은 고려말 대학자인 목은 이색(1328~1396)이 태어난 마을로, 함창김씨(목은선생의 외가)가 처음 터를 잡은 이후 조선 인조대(1630년 무렵) 영양남씨가 정착하면서 남씨 집성촌이 되었으며, 경북 북부 해안지방에서 현재까지 단일 문중의 역사와 문화가 전승‧유지되고 있는 대표적인 반촌마을이다. 마을의 원래 명칭은 근처에 늪이 많고 연못이 있어 호지촌(濠池村)으로 불렸으나, 목은 이색이 자기가 태어난 마을이 중국 원나라 학자 구양박사(歐陽博士)의 마을인 ‘괴시(槐市)’와 비슷하다고 하여 마을 이름을 ‘괴시’라고 고쳐 불렀다고 한다.(출처: 가정목은양선생유허비) * ..

기타/각종정보 2021.05.03

위양못 이팝나무

위양못 이팝나무(주소 :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위양로 273-36) 신라시대 때 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축조된 저수지로 백성들을 위한다는 의미에서 위양지라고도 한다. 저수지 가운데에 5개의 작은 섬과 완재정 이라는 작은 정자가 있다. 이팝나무 등 진귀한 나무들을 심어 사시사철 아름다운 운치를 즐길 수 있는 곳으로 선비와 문인학자들이 즐겨 찾았던 명소이다. 특히 매년 이팝나무 꽃이 만발하는 시기가 되면 그 아름다운 절경이 절정을 이룬다.(출처 : 밀양시청)

경남 2021.05.02

국가등록문화재「소방 헬기 까치2호」기념행사 개최- 소방헬기 분야 문화재로 첫 등록 / 4.29. 보라매안전체험관 -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소방청(청장 신열우) 주관으로 2021년 4월 29일 오후 3시 서울 보라매안전체험관에서 열리는 「소방 헬기 까치2호」의 국가등록문화재 기념식에 참석한다. 국가등록문화재 「소방 헬기 까치2호」는 1980년 함께 도입된 까치 1호가 1996년 추락 후 폐기되면서 현재로서는 유일하게 남아있는 한국 최초의 소방헬기다. 이 헬기는 인명구조 시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소방헬기 분야에서는 첫 번째로 등록된 문화재로 의미가 크다. *「소방 헬기 까치2호」(1980~2005): 화재진압·응급환자후송 등에 3천여 회 이상 출동, 9백여 명의 인명 구조 문화재청은 정부혁신과 혁신행정의 하나로 매년 근현대문화유산 목록화 조사 연구를 통해 소유자가 자발적으로 문화재 등록을 신청..

기타/각종정보 2021.04.29

蓼花白鷺 -이규보(李奎報 1168~1241)-

蓼花白鷺 이규보(李奎報 1168~1241) 앞 여울에 물고기와 새우가 많아 前灘富魚蝦 마음먹고 물결 갈라 들어왔는데, 有意劈波入 사람 보곤 갑자기 놀라 일어나 見人忽驚起 여뀌 언덕 다시금 날아 모였네. 蓼岸還飛集 목 빼어 사람 가기 기다리자니 翹頸待人歸 보슬비에 깃털이 모두 젖누나. 細雨毛衣濕 마음 온통 고기에만 쏠려 있는데 心猶在灘魚 사람들은 기심(機心) 잊고 서 있다 하네. 人道忘機立

「울주 반구천 일원」20년 만에 명승 지정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있는 자연유산인「울주 반구천 일원(蔚州 盤龜川 一圓)」을 국가지정문화재 명승으로 지정하였다. 이곳은 지난 2001년 명승가치에 대하여 처음 조사한 이후 여러 차례의 추가조사와 논의를 거쳐 울산광역시(시장 송철호) 신청을 받아 20년 만에 지정된 것이다. * 반구천(盤龜川): 조선 시대까지 지금의 대곡천을 부르던 원래 이름 울주 반구천 일원은 계곡물이 수많은 절벽과 협곡, 구하도(옛 물길), 습지 등을 거치며 다양한 지형과 숲 경관을 만들고 있으며, 구곡(九曲)문화와 함께 저명한 정자 등 자연경관, 역사문화경관이 복합된 명승으로서 가치가 뛰어난 자연유산이다. 이 일대는 중생대 백악기 퇴적암층으로, 초식공룡과 익룡의 발자국 화석이 있으며, 특히, 암각화 인근의 코..

기타/각종정보 2021.04.28

대구 팔거산성에서 대구 최초로 신라 목간 출토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의 허가를 받아 (재)화랑문화재연구원(원장 오승연)이 발굴조사 중인 대구 팔거산성(대구광역시 기념물)에서 7세기 초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신라 목간 11점이 대구 지역에서 최초로 출토되었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2021년 4월 28일(수) 오전 10시 40분 팔거산성 현장에서 설명회를 개최하고 목간을 공개한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재)화랑문화재연구원으로부터 현재까지 발견된 목간 11점을 인수받아 적외선 사진 촬영을 진행하고, 두 차례의 판독 자문회의 등 기초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전체 11점 가운데 7점에서 글자가 보이고, 그 중에는 제작 시점을 추정할 수 있는 간지(干支)와 곡식 이름도 등장한다. 8점의 목간에선 한쪽에 끈을 묶기 위해 나무를 잘라내었으며, 일부..

기타/각종정보 2021.04.28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 국보 지정 예고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보물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불삼신불좌상’을 국보로 지정 예고하고, ‘울진 불영사 불연’을 비롯해 ‘완주 송광사 목조석가여래좌상 및 소조십육나한상 일괄, ’송시열 초상‘ 3건을 보물로 지정 예고하였다.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求禮 華嚴寺 木造毘盧遮那三身佛坐像)’은 현존하는 우리나라 불교조각 중 ‘삼신불(三身佛)’로 구성된 유일한 작품으로 2008년 보물로 지정되어 17세기 불교사상과 미술사의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아 왔다. * 삼신불: 법신(法身) 비로자나불(毘盧舍那佛), 보신(報身) 노사나불(盧舍那佛), 화신(化身) 석가불(釋迦佛)을 말하며 화엄사상에 근원을 둔 도상으로서, 변상도(變相圖)나 사경(寫經) 등에는 종종 보이지만, 조각품으로는 화엄사 사례가 유일함 화엄..

기타/각종정보 2021.04.28

경주 동부사적지대(발천) 발굴조사 현장공개ㆍ학술대회 개최

문화재청(청장 김현모)과 경상북도(도지사 이철우), 경주시(시장 주낙영)는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사업의 하나로 추진 중인 경주동부사적지대(발천) 수로 복원 정비를 위한 발굴조사 성과를 공유하기 위하여 오는 2021년 4월 29일(목) 오전 10시에 발천 유적에 대한 조사 현장을 공개한다. 또한, 2021년 4월 29일 오후 1시부터 30일까지 이틀간에 걸쳐 발천 복원정비 방안을 논의하는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현장공개와 학술대회는 문화재청 유튜브 채널을 통해 온라인 시청이 가능하다. * 문화재청 유튜브 채널: https://www.youtube.com/chluvu 발천은 경주 동궁과 월지에서 월성 북쪽과 계림을 지나 남천에 흐르는 하천을 가리키는데 신라 시조 박혁거세 왕의 왕비 알영과 관련된 『삼국유사..

기타/각종정보 2021.04.28

1,500년 전 삼국 시대 금동신발 보물 지정 - 고창 봉덕리 1호분과 나주 정촌고분에서 출토된 금동신발 2건 - - 장성 백양사 아미타여래설법도 및 복장유물도 함께 보물 지정 -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고창 봉덕리 1호분과 나주 정촌고분에서 출토된 백제 시대 '금동신발' 2건을 비롯해 ‘장성 백양사 아미타여래설법도 및 복장유물’ 등 총 3건을 보물로 지정하였다. 이 중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은 1,500여 년 전 한국 고대인들의 상장례(喪葬禮) 문화를, 나주 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羅州 丁村古墳 出土 金銅飾履)은 5~6세기 백제 금속공예 기술을 알려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둘 다 각각 한 쌍으로 출토된 이들 금동신발들은 모두 백제 5세기에 제작되었으며, 삼국 시대 고분 출토 금동신발 중 가장 완전한 형태로 발견된 보기 드문 사례다. 그동안 삼국 시대 고분 출토 유물 중 귀걸이, 목걸이, 팔찌 등은 국보나 보물로 상당수 지정되었지만, ‘금동신발’이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된..

기타/각종정보 2021.04.22

「무주 한풍루」,「양주 회암사지 사리탑」‘보물’지정 예고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무주 한풍루(茂朱 寒風樓)」와 경기도 유형문화재 「양주 회암사지 사리탑(揚州 檜岩寺址 舍利塔)」 등 2건의 문화재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한다. 조선 시대 관아 건물인 「무주 한풍루」는 선조 때 문신 백호(白湖) 임제가 호남의 삼한(三寒)인 무주 한풍루(寒風樓), 남원 광한루(廣寒樓), 전주 한벽루(寒碧樓) 중에서도 으뜸으로 꼽으며 찬사를 아끼지 않았던 문화재다. 현판은 한석봉이 썼다고 전해지며, 수많은 묵객이 글과 그림으로 풍류를 즐기던 곳으로 당시 시대상과 문화상을 알 수 있는 건물이다.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 수 없으나, 15세기 조선전기 문신 성임과 유순 등이 한풍루를 보고 쓴 시와 『신증동국여지승람』 등 여러 기록을 통해 조선 초기부터 존재..

기타/각종정보 2021.04.20

성주 법수사지 삼층석탑(星州 法水寺址 三層石塔)

성주 법수사지 삼층석탑(星州 法水寺址 三層石塔. 보물 제1656호. 경북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 1215-1번지) 성주 법수사지 삼층석탑은 신라 애장왕(800~809년) 때 창건한 법수사지(法水寺址)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사지는 가야산 계곡을 석축으로 단을 조성하여 자리 잡고 있다. 사역은 남북 150m, 동서 150m 정도이고 크게 세 단으로 나뉘어져 있다. 금당지로 추정되는 축대 아래에는 백운동마을이 자리잡고 있으며, 마을 앞에는 당간지주가 고목의 뿌리에 일부 쌓여 있다. 석탑의 높이는 5.8m이며, 상․하 2층 기단에 3층의 탑신부를 올린 양식으로 노반 이상의 상륜부는 남아 있지 않으나 보존 상태는 대체로 양호하다. 석탑은 규모가 작아지고 하층기단이 높고, 안상이 음각된 점 등의 9세기 후반기 특징..

경상북도/성주 2021.04.19

법수사지당간지주(法水寺址幢竿支柱.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87호)

법수사지당간지주(法水寺址幢竿支柱.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87호.경북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 1316번지) 당간지주는 사찰 입구에 설치하는 것으로, 절에 행사나 의식이 있을 때면 이곳에 당이라는 깃발을 걸어둔다. 이 깃발을 꽂는 길쭉한 장대를 당간이라 하며,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일컫는다. 드물게 당간이 있으나 대부분 두 기둥만 남아있다. 법수사의 옛 터에 자리한 이 당간지주는 직사각형의 돌기둥 2개가 서로 마주 보고 있다. 전체적으로 우아하고 간결하며 단아한 모습으로, 당간지주의 계보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출처 : 문화재청) 이 당간지주는 신라 애장왕(哀莊王) 3년(802)에 창건된 사찰인 법수사의 당간지주로 폐사지의 석축 아래쪽으로 약 200m 가량 떨어진 곳에 있다...

경상북도/성주 2021.04.18

신동입석(新洞立石. 경상북도 기념물 제29호)

신동입석(新洞立石. 경상북도 기념물 제29호. 경상북도 칠곡군 심천로 5-7 (지천면)) 입석은 다른 말로 선돌이라고 부르는데, 고인돌과 함께 청동기시대에 살았던 사람들의 생활상을 알 수 있는 유물이다. 일반적으로 땅 위에 한 개 또는 몇 개의 큰 돌기둥을 세운 형태를 하고 있는데, 당시 부족간의 경계표시 또는 신앙의 대상이 되는 기념비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창평리 산103번지에 있는 이 선돌은 높이 4.5m, 밑둘레 2m로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것으로는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선돌에는 ‘나무아미타불’이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는데, 이것은 불교가 들어온 이후에 새긴 것으로 보이며 선돌 자체는 훨씬 이전의 것으로 보인다. 선돌의 동쪽 주위를 개간할 때 민무늬토기, 돌그릇 등이..

경상북도/칠곡 2021.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