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경상북도/의성 72

만장사(의성 만장사 석조여래좌상)

만장사 가는 길에서 만난 화목대장군 행복여장군 그리고 솟대 만장사(卍長寺)소재지 : 비안면 산제리 1429화장산(華臧山) 중턱에 자리 잡은 만장사는 오묘한 산세와 수려한 경관으로 이름난 기도도량이다. 사찰은 “화장사”로 불려지다가 약 30년 전 대관스님이 중창하면서 사명을 새롭게 “만장사”로 고쳐 부르고 있다. 현재 지방유형문화재 제322호로 지정된 석조여래좌상을 모시고 있는데, 이 불상은 불신, 대좌, 광배를 모두 갖추고 있다. 상호는 후덕해 보이는 둥근 얼굴에 깊고 부드러운 미소가 번져 있고, 광배에는 화려한 불꽃무늬를 배치하여 장식한 것을 엿볼 수 있다. 현재는 문화재 보유와 전통사찰 지정, 특히 기도의 효험이 널리 알려지면서 외지인의 내방이 잦고 사찰복원사업의 일환으로 중창불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경상북도/의성 2009.06.08

비안면자락동석조여래좌상 (比安面自樂洞石造如來坐像)

석불사의 석굴암 법당 비안면자락동석조여래좌상 (比安面自樂洞石造如來坐像) : 경상북도유형문화재 56호 해망산 일명 굴암산 중턱의 병풍처럼 둘러싸인 암벽에 자연동굴이 있고 그 안에 불상이 있다. 연꽃무늬가 새겨진 4각의 대좌(臺座)위에 양 발을 무릎 위로 올린 모양으로 앉아있는데, 신체는 전..

경상북도/의성 2007.06.18

비안 향교

비안향교 (比安鄕校) 경상북도문화재자료 263호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비안향교는 원래 관아 소재지였던 비안현 소재지에 있었으나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졌다. 광해군 2년(1610) 지금 있는 자리에 복원하였다. 임진왜란 때는 이 지역 사람인 손복이 향교의 위패를 산중 굴속에 숨겨 무사히 피해를 면했다고 전한다.지금 남아 있는 건물로는 제사 공간인 대성전과 동무·서무, 교육 기능을 수행하는 강당인 명륜당, 삼문 등이다. 대성전에는 공자를 비롯한 그 제자와 우리나라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관풍루 대성전 명륜당 하마비

경상북도/의성 2007.06.15

의성군 금성면 제오리 면작기념비. 공룡발자국화석.탑리 오층석탑

공룡발자국화석 공룡은 중생대의 쥐라기부터 백악기에 걸쳐 번성했던 길이 5∼25m의 거대한 파충류를 통틀어 말한다. 의성 제오리의 공룡발자국화석은 의성군 관내 지방도로 확장공사 중 산허리 부분의 흙을 깎아내면서 발견되었다. 화석은 중생대 백악기 때의 것으로 약 1억 1,500만년 전..

경상북도/의성 2006.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