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경상북도/의성 71

금동관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탑리 출토-

금동관金銅冠 의성義城 탑리塔里. 삼국시대三國時代 이 금동관은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탑리 일대 130여기의 고분 중 서쪽 정상부에 위치한 지배자급 무덤에서 출토되었다. 띠 모양의 테두리 위에 가장자리를 가를게 자른 후 이를 꼬아서 새의 깃털모양으로 만든 세움 장식 3개를 부착한 금동관이다. 이는 황남대총남분에소 출토된 은관의 깃털 장식과 동일하며, 고구려 관장식에서 보이는 특징과 유사하다. 세움장식의 상부에는 새의 눈을 연상 시키는 2개의 구멍이 나있다(출처 :국립대구박물관)

경상북도/의성 2023.11.06

조문국(召文國) -過召文有感 : 허목許穆(1595~1682). 조선 후기의 문신-

過召文有感 -허목(許穆. 1595~1682. 조선 후기의 문신. 호 : 미수眉叟)- 千載召文國(천재조문국) 천년 조문국 亡墟足悲涼(망허족비량) 옛터 몹시 처량하도다. 繁華不復睹(번화불부도) 번화한 모습 찾을 수 없고 荒草野花香(황초야화향) 들풀과 들꽃 향기뿐이네 壘壘見古墳(루루견고분) 눈에 보이는 건 빽빽한 무덤뿐 濯濯無白楊(탁탁무백양) 백양나무 한 그루 없이 황량하네. 田父耕隴上(전부경롱상) 둔덕에 밭가는 농부는 猶說景德王(유설경덕왕) 아직도 경덕왕을 이야기 하네 天地一何悠(천지일하유) 산하는 여전히 그대로인데 終古幾興亡(종고기흥망) 국가의 흥망은 몇 번이던가. 物理本無常(물리본무상) 만물의 이치는 무상한 법인데 人情徒自傷(인정도자상) 인정은 부질없이 서러워하네. 感起前古恨(감기전고한) 옛날의 슬픈 정..

경상북도/의성 2022.04.11

가음저수지(佳音貯水池. 별칭 : 가음지,양지못)의 벚나무

가음저수지(佳音貯水池. 별칭 : 가음지,양지못.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 양지리 165) 경상북도 의성군 가음면 양지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가음 저수지는 의성읍에서 국도 28호선을 이용하여 탑리리까지 이동한 후 춘산 방향 지방도 68호선의 약 6㎞ 지점에 있는 양지동(陽地洞)에서 버스를 내려 좌측 춘산 쪽으로 300m 지점에 있는 1종 저수지이다. 탑리리에는 국보 제77호인 오충 석탑이 있으며, 못 위쪽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사화산인 금성산(金城山)[530.1m]이 있다. 못 아래쪽에는 경북8승의 하나로 얼음 구멍과 바람구멍이 있어 삼복에는 얼음이 얼고 엄동설한에는 더운 김이 나오는 신비로운 빙계 계곡과 빙계 서원이 있다. 가음 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양지동과 이동(梨洞)의 산과 산을 막..

경상북도/의성 2022.04.09

의성 빙계리氷溪里 빙산사지氷山寺址의 봄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보면, 현의 동남쪽 40리에 빙산(氷山)이 있으며, 빙산 큰 바위아래 풍혈(風穴)이 있고 또 바위 바닥 아래에는 빙혈(氷穴)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빙혈이 있는 빙계계곡은 크고 깊어 ‘지(之)’자의 모습로 몇 굽이의 곡류를 이루며 흘러 ‘경북8승’의 하나로 꼽힐 만큼 주위 경관이 뛰어난 곳이다. 방랑 시인 김삿갓은 이곳을 돌아보고 “굽이치는 개울물에 물고기가 헤엄치고 떨어질 듯 매달린 바위틈에 꽃이 드리워졌구나.”라고 했다. 계곡 한쪽 언덕에 큰 바위가 있는데 아래쪽 구멍인 빙혈은 한여름에 얼음이 얼고 겨울에는 평균 영상 3도의 훈훈한 기운이 감돈다. 위쪽 구멍인 풍혈은 여름철에는 찬바람이 나오고 겨울철엔 더운 바람이 나오는 계절을 잊은 오묘한 자연 현상이 벌어지는 곳이다(출처 :..

경상북도/의성 2022.04.09

大里里에서 꽃핀 고대義城 - 조문국 박물관 기획 전시 -

전 시 명: 大里里에서 꽃핀 고대義城​ 전시기간: 2021. 6. 25. ~ 2022. 3. 27. 전시장소: 조문국박물관 3층 기획전시실 전시내용: 의성금성면고분군 출토 중요 유물 200여점 조문국박물관에서“大里里에서 꽃핀 고대義城”이라는 주제로 지난 2014년부터 2020년까지 금성면 대리리 고분에서 출토된 금동관모, 가는고리금귀걸이, 장식큰칼을 포함하여 200여점의 유물을 전시 합니다 특히 이번 전시에는 경상북도 북부지역에서 최초로 발굴된 금동관모와 동물희생의례를 알려주는 동물모양 귀 항아리와 삼국시대 고분에서 매우 희귀한 개뼈 완형, ​의성에서 처음 발굴된 물고기모양허리띠꾸미개 등 고대 의성 지배세력의 독자성을 보여주는 유물들을 전시했으며, 또한 대리리고분군 출토 유물과 다른 지역 출토 유물의 비..

경상북도/의성 2021.10.31

수정사(水淨寺)

수정사(水淨寺.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수정사길 420) 수정사(水淨寺)는 신라 신문왕 때 의상 대사(義湘 大師)가 창건했다고 한다. 의상 대사는 깊은 골짜기 울창한 송림 사이에서 수정 같은 맑은 물이 흘러내린다고 하여 ‘수정사’라 했다고 한다. 1481년(성종 12)에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금학산(金鶴山) 수량암(修量菴)이라 하고 있으며, 신경준(申景濬)[1712~1781]이 편찬한 『가람고(伽藍考)』에서는 “지금은 수정사라고 부른다.” 라고 하고 있다. 임진왜란 때 완전 소실되어 중건하였다. 1835년(헌종 1) 화재로 대광전 외 선원(禪院)과 불경(佛經) 등이 모두 소실되었다. 그 뒤 구담(九潭) 전홍(展鴻)이 옛 절터 위쪽인 지금의 자리에 중창했다. 현재의 수정사 아래 ..

경상북도/의성 2021.01.21

의성 관덕리 삼층 석탑(義城觀德里三層石塔)과 의성관덕동석조보살좌상(義城觀德洞石造菩薩坐像)

의성 관덕리 삼층 석탑(義城觀德里三層石塔. 보물 제188호.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관덕리 889)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관덕 1리 목촌 마을 뒷산 사자골(해발 160m)에 삼층 석탑과 석조 보살 좌상 등이 위치하고 있다. 목촌 마을에서 북쪽으로 목촌길을 따라 약 400m 정도 올라가면 좌측편으로 약간 넓은 밭이 있고, 그곳에 석탑이 있다. 구전에 의하면 사운사(獅雲寺)라고 하나 근거가 확실한 것은 아니다. 의성 관덕리 삼층 석탑은 높이가 365㎝이고, 지대석은 한 변의 너비가 181㎝ 정도이다. 2단의 기단(基壇)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석탑으로, 각 부분의 장식이 풍부하다. 아래층 기단의 4면에는 가운데에 기둥 모양의 조각을 하나씩 새기고, 조각에 의해 나누어진 8곳에 비천상(飛天像)을 도드..

경상북도/의성 2020.10.31

고운사삼층석탑(孤雲寺三層石塔)

고운사삼층석탑(孤雲寺三層石塔.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8호. 경북 의성군 단촌면 구계리 산221번지) 고운사 대웅전 남쪽의 산 중턱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렸다. 아래층 기단에는 희미한 안상(眼象) 무늬가 보이고, 위층 기단에는 기둥 모양이 조각되어 있다. 탑신은 1층 몸돌에 비해 2층부터 급격히 줄어들고 있으며, 각 층의 몸돌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약한 경사가 흐르는 지붕돌은 네 귀퉁이에서의 치켜 올림이 크지 않고, 밑면에 1층은 4단, 2·3층은 3단의 받침을 각각 두었다. 꼭대기에는 노반(露盤:머리장식받침돌), 복발(覆鉢:엎어놓은 그릇모양의 장식), 뒤집혀진 앙화(仰花:활짝 핀 연꽃모양 장식) 등이 올려져 머리장식을 하고 있다. 전체..

경상북도/의성 2020.10.11

고운사 우화루(호랑이 벽화. 용마루 끝머리에 얹은 얼굴 모양 기와)

고운사(孤雲寺) 고운사는 신라 신문왕 원년(서기 681년)에 해동 화엄종의 시조이신 의상대사께서 창건하신 사찰이다. 부용반개형상(연꽃이 반쯤 핀 형국)의 천하명당에 위치한 이 사찰은 원래 高雲寺였다. 신라말 불교와 유교ㆍ도교에 모두 통달하여 신선이 되었다는 최치원이 여지ㆍ여사 양대사와 함께 가운루(경북 유형문화재 제151호)와 우화루를 건축한 이후 그의 호인 孤雲을 빌어서 孤雲寺로 바뀌게 되었다. 고려 태조 왕건의 스승이자 풍수지리사상의 시조로 받들어지는 도선국사가 가람을 크게 일으켜 세웠으며 그 당시 사찰의 규모가 五法堂十房舍(5동의 법당과 10개의 요사채)였다고 한다. 현존하는 약사전의 부처님(보물 제246호)과 나한전 앞의 삼층석탑(경북 문화재자료 제28호)은 도선국사께서 조성하신 것들이다. 특히 ..

경상북도/의성 2020.10.10

의성 고운사 석조여래좌상 (義城 孤雲寺 石造如來坐像)

의성 고운사 석조여래좌상 (義城 孤雲寺 石造如來坐像. 보물 제246호. 경북 의성군 단촌면 고운사길 415 (구계리)) 대좌(臺座)와 광배(光背)를 갖추고 있으며, 손상이 거의 없는 완전한 불상이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고, 네모난 얼굴에 눈·코·입을 작게 표현하였다. 가슴이 발달하고 허리가 잘록하지만, 약간 치켜 올라간 어깨로 인해 불안정한 자세를 드러내고 있다. 오른손은 손바닥을 무릎에 대고 손끝이 땅을 가리키고 있는 듯 하나 부서져 있으며,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하여 배꼽 앞에 놓았는데 자연스럽지 못하다. 왼쪽 어깨를 감싸고 있는 옷에는 규칙적인 평행의 옷주름이 나타나며, 다리와 팔 등에서는 도식적으로 표현되었다. 부처의 몸 전체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광배(光背)..

경상북도/의성 2020.10.10

의성 고운사 연수전(義城 孤雲寺 延壽殿)

의성 고운사 연수전(義城 孤雲寺 延壽殿. 보물 제2078호. 경상북도 의성군 고운사길 415 (단촌면)) 연수전은 1902년 고종의 기로소 입소를 기념하여, 1904년에 세운 기로소 원당으로서, 고운사 내에 있던 영조의 기로소 봉안각(1745-1749)의 전례를 쫓고, 기로소에 있던 영수각(1719)을 모범으로 세워진 대한제국기의 황실 기념 건축물이다. 기록이 분명치 않은 태조의 기로소 입소를 제외하고, 조선시대에 실제로 실행된 세 번의 국왕의 기로소 입소, 즉, 숙종, 영조, 고종의 기로소 입소 건과 모두 연결되어 있는 기로소 원당 건축으로서 가치가 높다. 고운사 연수전은 솟을 삼문 형식의 정문인 만세문과 사방으로 담장으로 사찰 내의 다른 구역과 구분되는 독립된 구획을 이루고 남향을 하고 있다. 본전 ..

경상북도/의성 2020.10.10

의성 대곡사 대웅전(義城 大谷寺 大雄殿)

의성 대곡사 대웅전(義城 大谷寺 大雄殿. 보물 제1831호.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봉정리 894) 의성 대곡사는 고려 공민왕 17년(1368) 지공(指空)이 원나라와 고려를 다니면서 불법을 펼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지은 절이라 전한다. 처음 세운 목적에 따라 대국사라 명명했다가 임진왜란 때 전소되어 1605년(선조 38) 탄우(坦祐)가 중창하면서 대곡사로 바꾸었다. 창건 시기에 대해서는 1960년 앞 텃밭에서 출토된 통일신라 후기 조성으로 추정되는 금동불상과 고려 초기의 다층석탑 그리고 이규보의 ‘대곡사 탐방시구(探訪詩句)’ 등의 자료로 미루어 신라 말에서 고려 초로 보는 견해도 있으나 세월이 오래되고 유구 등이 확인되지 않아 정확히 알 수 없다. 의성 대곡사의 중심 불전인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

경상북도/의성 2020.08.20

의성대곡사다층석탑 (義城大谷寺多層石塔)

의성대곡사다층석탑(義城大谷寺多層石塔.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05호. 경북 의성군 다인면 대곡사길 80 (봉정리)) 대곡사의 대웅전 앞에 있는 다층석탑으로, 탑몸을 점판암으로 만든 청석탑(靑石塔)이다. 대곡사는 고려 공민왕 17년(1368)에 지공선사와 나옹선사가 절을 지었으며 처음에는 대국사라 이름하였다가 다시 대곡사로 고쳐 불렀다고 한다.이 탑은 전체 높이가 173㎝로서, 상륜부는 없어졌으나 화강암으로 된 기단부와 점판암으로 된 탑신부는 약간의 손상을 입은 상태로 남아 있다. 땅에 맞닿아 탑의 토대가 되는 기단부의 바닥돌은 사각의 돌로 되어 있고 그 위에 함께 기단부를 형성하는 하대석이나 중대석, 연화대좌, 상대석이 차례로 놓여져 있다. 탑신부는 현재 12층이 남아 있는데 각층은 몸돌은 없고 지붕돌(..

경상북도/의성 2020.08.18

경북 의성군 금성면 제오리- 義城 提梧里 恐龍발자국化石 産地 및 忠宣公三憂堂文先生木綿遺田表 -

의성 제오리 공룡발자국화석 산지(義城 提梧里 恐龍발자국化石 産地. 천연기념물 제373호) 충선공 삼우당 문선생 목면 유전표(忠宣公三憂堂文先生木綿遺田表) 의성 제오리 공룡발자국화석 산지(義城 提梧里 恐龍발자국化石 産地)와 충선공 삼우당 문선생 목면 유전표(忠宣公三憂堂文先生木綿遺田表) 사이의 거리는 65m입니다. 공룡발자국화석산지도 답사하시고 '충선공 삼우당 문선생 목면 유전표' 비석도 답사하시기를 바랍니다. 답사 오시는 분들이 '충선공 삼우당 문선생 목면 유전표' 를 답사하지않고 가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충선공 삼우당 문선생 목면 유전표(忠宣公三憂堂文先生木綿遺田表) : 고려 공민왕 때 삼우당 문익점선생이 원나라 사신으로 갔다가 3년후 귀국할 때 금주성(錦州城)에서 면화종자를 필관(筆管)에 넣어 귀국하여 그..

경상북도/의성 2020.05.03

9세기 신라 불상 '의성 고운사 석조여래좌상(義城 孤雲寺 石造如來坐像)' 받침석 찾았다.

의성 고운사 석조여래좌상(義城 孤雲寺 石造如來坐像. 보물 제246호. 경북 의성군 단촌면 고운사길 415(지번) 주소단촌면 구계리 116 (지번)) 경북 의성 고운사에 있는 신라 문화재인 보물 제246호 석조여래좌상 하단에 있던 받침석이 확인돼 불상을 복원하는 절차에 들어갔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1일 "석조여래좌상이 있는 고운사 약사전 뒤편에서 팔각형 부재를 찾아 불상과 재질·크기를 비교한 결과 하대(下臺) 받침석으로 추정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문화재위원회는 최근 이 사안을 검토해 하대 받침석까지 포함해 불상 원형을 회복하기로 결정했다. 보물 제246호 석조여래좌상은 대좌(臺座)와 광배(光背)를 갖추고 있으며, 손상이 거의 없는 완전한 불상이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

경상북도/의성 2020.05.03

빙계계곡

빙계계곡(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빙계리 896) 경북 8승의 하나로 얼음구멍과 바람구멍이 있어 빙산이라 하며, 그 산을 감돌아 흐르는 내를 빙계라 하고, 동네를 빙계리라 부른다. 삼복 때 시원한 바람이 나오며 얼음이 얼고, 엄동설한엔 더운 김이 무럭무럭 솟아나는 신비의 계곡으로 빙계(氷溪) 3리 서원(書院) 마을에 위치하고 있다. 빙계서원(氷溪書院.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빙계계곡길 80(빙계리 산73-1)) 빙계서원은 전학후묘(前學後廟)의 배치 형태로 사당인 숭덕사(崇德祠), 강당인 명교당(明敎堂), 동재인 학이재(學而齋), 서재인 시습재(時習齋)를 비롯하여 공수청, 빙월루(氷月樓)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명교당은 정면 5칸, 측면 3칸 규모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명교당 앞에 자리 잡은 학이재와 시습재..

경상북도/의성 2020.04.21

대곡사(大谷寺)

대곡사(大谷寺.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대곡사길 80(봉정리 894))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봉정리에 있는 대한 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의 말사. 대곡사(大谷寺)는 고려 시대인 1368년(공민왕 17)에 인도 승려 지공(指空)과 왕사인 나옹(懶翁) 혜근(惠勤)이 창건하였다고 전한다. 창건 당시에는 태행산(太行山) 대국사(大國寺)라 하였고, 적조암을 비롯하여 9개의 암자가 있었다. 정유재란 때 대곡사와 암자의 대부분이 소실되어 적조암만 남았다. 1605년(선조 38) 탄우(坦祐)가 대웅전을 중창하였고, 1623년(인조 1)에 향적전, 1650년(효종 1)에 범종각, 1656년에 명부전을 중창하였다. 그리고 1687년(숙종 13)에 태전(太顚)을 중건하면서 사찰의 이름을 비봉산 대곡사로 바꾸었..

경상북도/의성 2018.08.18

의성 대곡사 적조암(義城大谷寺寂照庵)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봉정리 비봉산에 위치한 대곡사에서 산 정상부로 조금 떨어진 적조암에 있다. 소재지는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대곡사길 80(봉정리 894)이다.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 크기가 나타납니다. 극락전 극락전 내부 산신각(山神閣) 산신각(山神閣)의 내부(나반존자.산신.치성광여래을 모셨다) 산령각에서 본 적조암 대곡사 적조암 구포루(大谷寺寂照庵九苞樓. 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626호) 기록에 따르면 19세기 중반에 건립된 것이나 그 유래는 17세기까지 소급되고 18세기에도 중창한 적이 있다. 대곡사는 전성기에 9암자를 가지고 있었으나 지금은 적조암만 남아 있다. 적조암 구포루는 인법당으로 1847년 창건하였는데 누마루를 가진 매우 독특한 양식의 건물이다. 이러한 상황으로 볼 때 이 건물은 대곡..

경상북도/의성 2018.08.18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義城 塔里里 五層石塔) - 보수공사 후(2018.1.23) -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義城 塔里里 五層石塔) - 보수공사 후(2018.1.23) -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義城 塔里里 五層石塔.국보 제77호.경북 의성군 금성면 오층석탑길 5-3 (탑리)) 탑리리 마을에 세워져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5층 석탑이다. 낮은 1단의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

경상북도/의성 2018.01.23

조문국(召文國) 회고詩(의성조문국박물관 기획전시. 2016년05월10일 ~ 2016년06월30일)

조문국박물관은 조문국의 역사와 더불어 옛 시절 의성인들의 발자취를 전시물을 통해 보고 느낄 수 있는 곳으로써 의성의 문화유산을 보존·전시하고, 학술조사 연구와 문화 교육을 수행하는 의성 문화유산의 보고이자 역사 문화 도시의 중추적 역할을 하는 문화기반시설이다. 조문국(..

경상북도/의성 2016.06.03

경북 의성군 봉양면에서 발굴된 지구 최초로 출현한 생명체인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

경북 의성군 봉양면에서 발굴된 지구 최초로 출현한 생명체인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 스트로마톨라이트(stromatolite) : 스트로마톨라이트란 생물체(박테리아)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특이한 형태의 생물 퇴적 화석이며, 지구의 생명 탄생 초기에서부터 오늘날까지 해수나 담수에서 형성되고 ..

경상북도/의성 2016.05.31

운람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복장 일괄유물(雲嵐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과 腹藏 一括遺物).초조본 불설가섭부불반열반경(初雕本佛說迦葉赴佛般涅槃經)

이 불상은 양손의 엄지와 장지를 맞대어 說法印을 맺고 結跏趺坐한 높이 101㎝, 어깨너비 47.9㎝, 무릎너비 73.9㎝ 크기의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이다. 보존상태는 비교적 양호하지만 곳곳에 금박에 균열이나 박리가 확인되며 相好 부분은 X-Ray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후대에 수리된 것으로 ..

경상북도/의성 2015.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