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만 순천시를 중심으로 하여 동쪽의 여수반도와 서쪽의 고흥반도에 둘러싸인 호수와 같은 만으로, 광활한 갯벌이 펼쳐져 있으며 크고 작은 섬과 주변의 산과 바다가 어우러져 서해안 등 다른 지역과는 달리 주변 경관이 아름다운 지역이다. 순천시내에서 8㎞ 정도 떨어져 있으며 행정구역상 도사동과 해.. 전남 2009.11.03
태안사 태안사는 통일신라 경덕왕 원년(742)에 이름모를 스님 세 분이 세웠다고 전한다. 고려시대에는 광자대사가 크게 늘려 지었는데 이 때 절의 규모는 총 40여 동에 110칸이었고, 법당에는 높이 1.4m되는 약사여래철불좌상을 모셨던 듯하다. 고려 고종 10년(1223)에는 당시 집권자인 최우가 고쳐 지.. 전남 2009.06.18
섬진강 기차마을 섬진강 기차마을(곡성역) : 사진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전남 곡성군 곡성읍에 위치한 <섬진강 기차 마을>은 지난 1998년 전라선 복선화 공가로 발생한 구 전라선 17.9Km 구간을 그대로 보존하여 기차로 테마로 하는 관광 상품으로 개발하고자 10년 계획으로 추진하고 있는 관광개발사업이다. .. 전남 2009.06.17
장보고유적지 청해진 청해진유적(淸海鎭遺蹟 사적 제308호 ) 청해진은 신라 흥덕왕 3년(828) 장보고가 설치한 해군기지이자 무역기지로, 전라남도 완도 앞바다의 작은섬인 장도에 있다. 당시 이곳은 신라와 당, 일본을 잇는 해상무역의 중요한 길목이었다. 장보고(?∼846)는 평민 출신으로 당나라에 건너가 장군.. 전남 2008.11.18
고산 윤선도의 유적지 녹우당 해남윤씨녹우단(海南尹氏綠雨壇 사적 제167호) 고산 윤선도가 살았던 집으로 윤선도의 4대 조부인 효정(1476∼1543)이 연동에 터를 정하면서 지은 15세기 중엽의 건물이다. 집터 뒤로는 덕음산을 두고, 앞에는 벼루봉과 그 오른쪽에 필봉이 자리잡고 있는 명당 자리에 위치하고 있다. 대문을 .. 전남 2008.11.18
식영정(息影亭) 식영정(息影亭 지방기념물 제1-1호) 정면 2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특이한 것은 한쪽 귀퉁이로 방을 몰아 붙이고 전면과 측면을 마루로 두고 있다. 명종 15년(1560) 서하당 김성원(棲霞堂 金成遠, 1525-1597)이 창건하여 장인(丈人)인 석천 임억령(石川 林憶齡, 1496-1568)에게 증여한 것이다. 식영정 바로 곁.. 전남 2008.11.14
송강정(松江亭) 송강정(松江亭 지방기념물 제1-2호) 송강 정철은 선조17년(1584)에 대사헌(大司憲)이 되었으나 동인들이 합세하여 서인을 공박함이 치열해지자 마침내 양사(兩司)로부터 논척(論斥)을 받아 다음해 조정을 물러나자 이곳 창평으로 돌아와 4년 동안을 평범한 인간으로서 또한 시인으로서 조용한 은거생활.. 전남 2008.11.14
면앙정 면앙정(지방기념물 제6호) 면앙정 송순(宋純)(1493-1583)의 자(字)는 수초(守初), 호(號)는 기촌(企村), 면앙정으로 성종 24년(1493) 담양군 봉산에서 출생하였다. 중종 14년(1519) 별시문과(別試文科) 을과(乙科)에 급제하여 이후 명종2년(1547) 주문사(奏聞使)로 북경에 다녀왔으며 이후 개성부유수(開城府留守).. 전남 2008.11.14
담양읍 오층석탑 담양읍오층석탑 (潭陽邑五層石塔 보물 제506호) 담양읍에서 순창으로 향한 도로를 따라 1km쯤 올라가다 보면 평지가 전개되는데 광활한 지역에 경영된 가람(伽藍)으로 짐작된 들 가운데에 절터의 흔적은 찾아 볼 길이 없고 다만 이 오층석탑만 남아 있다. 탑의 형태는 1층 기단에 오층석탑으로 일반형과.. 전남 2008.11.14
담양읍 석당간 담양읍 석당간 (潭陽邑 石幢竿 보물 제505호) 담양읍에서 동쪽으로 순창행 도로를 따라 1km쯤 가면 논 가운데 오층석탑(보물 제506호)이 있고 그 왼편으로 석당간 1기가 양호한 상태로 보존되어 있다. 단층 기단 위에 지대석을 겸하는 장방형으로 상면이 약간 경사졌을 뿐 측면에 아무런 조식이 없으며 정.. 전남 2008.11.14
해남연정리지석묘군 해남연정리지석묘군(海南蓮井理支石墓群 시도기념물 제165호 (해남군) 전남 해남군 화산면 연정리 73-1) 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고인돌이라고도 부르며, 주로 경제력이 있거나 정치권력을 가진 지배층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고인돌은 4개의 받침돌을 세워 돌방을 만.. 전남 2008.09.06
정다산유적지(다산초당) 정산유적지 입구 다산초당 가는 길 다산초당 다산초당 강진만이 한눈으로 굽어 보는 만덕산 기슭에 자리한 다산초당은 다산 정약용 선생이 강진 유배 18년중 10여년 동안을 생활하시면서 목민심서, 경세유표, 흠흠신서등 500여권에 달하는 조선조 후기 실학을 집대성 하였던 곳이다. 다산.. 전남 2007.07.26
해남윤씨녹우단(海南尹氏綠雨壇) 고산유물관 세연정 모형 가야금 교지 녹우당 들어가는 문 녹우당 해남윤씨녹우단(海南尹氏綠雨壇 사적 제167호) 고산 윤선도가 살았던 집으로 윤선도의 4대 조부인 효정(1476∼1543)이 연동에 터를 정하면서 지은 15세기 중엽의 건물이다. 집터 뒤로는 덕음산을 두고, 앞에는 벼루봉과 그 오른쪽에 필봉이.. 전남 2007.07.25
청해진유적(淸海鎭遺蹟). 청해포구촬영장 청해진유적(淸海鎭遺蹟 사적 제308호) 청해진은 신라 흥덕왕 3년(828) 장보고가 설치한 해군기지이자 무역기지로, 전라남도 완도 앞바다의 작은섬인 장도에 있다. 당시 이곳은 신라와 당, 일본을 잇는 해상무역의 중요한 길목이었다. 장보고(?∼846)는 평민 출신으로 당나라에 건너가 장군이 되었으나, 해.. 전남 2007.07.25
동천석실.곡수당 동천석실 보길도윤선도유적(甫吉島尹善道遺蹟 사적 제368호) 고산< 孤山 > 윤선도< 尹善道 >(1587-1671)는 여러 차례에 걸쳐 정치적 다툼으로 유배생활을 하게 되었다. 그가 고향인 해남< 海南 >에 있을 때 병자호란< 丙子胡亂 >의 소식을 듣고 배를 타고 강화도< 江華島 >에 이르렀으나.. 전남 2007.07.25
세연정 보길도윤선도유적(甫吉島尹善道遺蹟 사적 제368호) 고산< 孤山 > 윤선도< 尹善道 >(1587-1671)는 여러 차례에 걸쳐 정치적 다툼으로 유배생활을 하게 되었다. 그가 고향인 해남< 海南 >에 있을 때 병자호란< 丙子胡亂 >의 소식을 듣고 배를 타고 강화도< 江華島 >에 이르렀.. 전남 2007.07.25
미황사 자하루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파노라마)이 ... 미황사대웅전(美黃寺大雄殿 보물 제947호) 미황사 사적비(事蹟碑)에 의하면 의조화상(義照和尙)이 신라 경덕왕(景德王) 8년(749)에 창건하였다고 한다. 임진왜란(1592)으로 전화(戰禍)를 입은 후 조선 선조(宣祖) 31년(1598) 중창하였으며, 그후 영.. 전남 2007.07.25
여수 돌산도 해변 돌산대교 아래 거북선 실물 모형 돌산대교의 장군도 돌산도에는 돌산공원, 무술목전적지, 전라남도수산종합관, 방죽포 해수욕장, 향일암, 은적암 등의 명승지와 유적지가 있으며, 섬 전체를 둘러볼 수 있는 해안 일주도로가 잘 포장되어 있다. 돌산도는 자동차를 타고 천천히 한 바퀴 돌.. 전남 2007.03.26
거북형 복원 모형 이충무공전서(李忠武公全書)의 거북선 1795년(정조 19)에 편찬된 윤행임(尹行恁)의 《이충무공전서》에는 통제영귀선(統制營龜船)과 전라좌수영귀선(全羅左水營龜船) 등 2개의 그림과 설명이 있다. 이들은 각각 정조(正祖) 때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가 주둔하던 통제영(경상우수영) 및 전라좌.. 전남 2007.03.26
지리산 화엄사 석조문화재를 찾아서(진리를 밝히는 등불 석등. 통일신라시대 국가지정) : http://visit.ocp.go.kr/visit/cyber_new/serv03.jsp 석조문화재를 찾아서(석탑여행.삼국 통일신라시대) : http://visit.ocp.go.kr/visit/cyber_new/serv03.jsp 한국의 종교 유적지를 찾아서 : http://visit.ocp.go.kr/visit/cyber_new/serv04.jsp 불교TV 각황.. 전남 2006.05.12
땅끝 마을과 해남 화산 연정리 고인돌 클릭 시 원본사진 보기 클릭 시 원본사진 보기 토말 비(土末 碑) 클릭 시 원본사진 보기 토말 비(土末 碑) 클릭 시 원본사진 보기 전라남도 해남 화산 연정리 고인돌 남북최초 문화답사 고인돌:mms://media4.crezio.com/onekorea/h-special/021109_m.asf 전남 2006.03.20
송광사 답사(아침 일찍 촬영한 사진이라 희미함) 한국의 종교 유적지를 찾아서 : http://visit.ocp.go.kr/visit/cyber_new/serv04.jsp 전남 2006.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