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 (求禮 燕谷寺 逍遙大師塔)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 (求禮 燕谷寺 逍遙大師塔. 보물 제154호. 전남 구례군 토지면 피아골로 806-16, 연곡사) 연곡사는 통일신라시대에 연기조사가 창건하였으며, 고려 전기까지 선을 닦는 도량으로 이름이 높았던 사찰이다. 이 탑은 연곡사 서쪽에 있으며, 소요대사의 사리를 모셔두고 .. 전남 2012.04.08
구례 연곡사 북 승탑 (求禮 燕谷寺 北 僧塔) 구례 연곡사 북 승탑 (求禮 燕谷寺 北 僧塔.국보 제54호. 전남 구례군 토지면 피아골로 806-16, 연곡사) 부처님의 사리를 모시는 곳이 탑이라면, 수행이 높았던 스님의 사리를 두는 곳이 승탑이다. 구성은 석탑과 비슷해서, 기단(基壇) 위에 사리를 모시는 탑신(塔身)을 두고 그 위에 머리장식.. 전남 2012.04.08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求禮 燕谷寺 東 僧塔碑)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求禮 燕谷寺 東 僧塔碑.보물 제153호.전남 구례군 토지면 피아골로 806-16, 연곡사)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된 연곡사에는 승려의 사리를 모셔놓은 승탑이 3개 있는데, 이 비(碑)는 동승탑 앞쪽에 서 있는 비로, 비몸돌이 없어진 채 받침돌과 머릿돌만이 남아 있다. 받침.. 전남 2012.04.08
구례 연곡사 동 승탑 (求禮 燕谷寺 東 僧塔) 구례 연곡사 동 승탑 (求禮 燕谷寺 東 僧塔.국보 제53호. 전남 구례군 토지면 피아골로 806-16, 연곡사 (내동리)) 탑이 부처의 사리를 모시는 곳이라면, 승탑은 유명했던 스님들의 사리를 두는 곳이다. 승탑의 구성은 석탑과 같아서, 기단(基壇) 위에 사리를 모시는 탑신(塔身)을 두고 그 위에 .. 전남 2012.04.08
구례 운조루 (求禮 雲鳥樓) 구례운조루 (求禮雲鳥樓.중요민속문화재 제8호.전남 구례군 토지면 운조루길 59 (오미리)) 조선 중기의 집으로 영조 52년(1776)에 삼수부사를 지낸 유이주가 지었다고 한다. 풍수지리설에 의하면 이곳은 산과 연못으로 둘러싸여 있어 ‘금환락지(金環落地)’라 하는 명당자리로 불려왔다. .. 전남 2012.04.08
진도 쌍계사(珍島 雙溪寺) 및 진도 쌍계사 상록수림 (珍島 雙溪寺 常綠樹林) 진도쌍계사목조삼존불좌상 (珍島雙溪寺木造三尊佛坐像.전남 유형문화재 제221호.전남 진도군 의신면 사천리 76)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쌍계사의 대웅전에 모셔져 있는 삼존불상이다. 나무로 만들어진 이 불상은 가운데 본존불을 중심으로 양쪽에 협시불을 모시고 있는 형태이다. 만든 .. 전남 2011.12.03
유달산 노적봉 아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노적봉은 해발 60m의 바위산으로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적은 군사로 왜군을 물리치기 위해서 이 봉우리를 이엉으로 덮어 멀리서 보면 군량미를 쌓아놓은 큰 노적처럼 보이게 했는데, 이를 본 왜적들은 저렇게 많은.. 전남 2011.12.03
사의재(四宜薺) 아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위치 : 전남 강진군 강진읍 동성리 495 사의재(四宜薺)는 다산 정약용이 1801년 강진에 유배 와서 처음 묵은 곳이다. 사의재는 이곳 주막집(동문매반가) 주인 할머니의 배려로 골방 하나를 거처로 삼은 다산이 몸과 마음을 새롭게 다잡아 교육과 학문연구에 헌신키로 다짐하면서 붙임 이름으로 “네가지를 올바로하는 이가 거처하는 집”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다산은 생각과 용모와 언어와 행동, 이 네가지를 바로하도록 자신을 경계하였던 것이다. “생각을 맑게 하되 더욱 맑게, 용모를 단정히 하되 더욱 단정히, 말(언어)을 적게 하되 더욱 적게, 행동을 무겁게 하되 더욱 무겁게” 할 것을 스스로 주문하였다. 사의재는 창조와 희망의 공간이다. 사려깊은 주막 할.. 전남 2011.12.03
진도 운림산방 (雲林山房) 아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진도 운림산방(명승 제80호.전남 진도군 의신면 사천리 61번지 등) 진도 운림산방은 넓고 울창한 진도 쌍계사 상록수림(천연기념물 제107호)이 있는 첨찰산과 남도전통회화의 산실로 유명한 명소인 운림산방 등 자연유산과 역사문.. 전남 2011.11.07
명량해협과 명량대첩(鳴梁大捷) 및 진도대교 아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명랑해협 :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과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사이에 있는 좁은 해협. 명랑해협은 울돌목이라고도 한다. 명량해협은 이충무공의 3대 해전 중의 하나인 명량대첩지로 잘 알려진 서해의 길목이다. 전라남도 해남과.. 전남 2011.11.06
강진영랑생가 (康津永郞生家) 강진영랑생가 (康津永郞生家.중요민속문화재 제252호. 전남 강진군 강진읍 남성리 211-1번지외 4필지) 현대문학사에 있어서 큰 자취를 남긴 시인 영랑 김윤식(永郞 金允植, 1903-1950)이 태어난 곳으로 현재 본채와 사랑채, 문간채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주변 밭을 포함하고 있다. 역사.. 전남 2011.11.06
이충무공 벽파진 전첩비(李忠武公 碧波津 戰捷碑) 아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정유재란 당시 이충무공에 의해 가장 통쾌한 승리를 불가사의하게 거둔 명량해전 승첩을 기념하고 진도 출신 참전 순절자들을 기록하기 위해 1956년 11월 29일 건립되었다. 비신 높이 3.8m, 폭 1.2m, 두께 58㎝이다. 비문은 시인 이은.. 전남 2011.11.06
강진 백련사 동백나무 숲 (康津 白蓮寺 동백나무 숲) 강진 백련사 동백나무 숲 (康津 白蓮寺 .동백나무 숲천연기념물 제151호.전남 강진군 도암면 만덕리 산55 ) 동백나무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중국 등의 따뜻한 지방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남쪽 해안이나 섬에서 자란다. 꽃은 이른 봄에 피는데, 매우 아름다우며 꽃이 피.. 전남 2011.11.06
강진 백련사 (康津 白蓮寺) 아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강진 백련사 (康津 白蓮寺.전남 강진군 도암면 만덕리 246) 백련사의 본래 이름은 만덕산 백련사이며 조선후기에 만덕사로 불리우다가 현재는 백련사로 부르고 있으며 신라말에 창건되었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고려명종(1170년)때 .. 전남 2011.11.06
배중손 사당(裵仲孫 詞堂) 배중손 사당(裵仲孫 詞堂.전남 진도군 임회면 백동리) 고려 원종 11년(1270년) 몽고와 굴욕적인 강화를 맺고 개경환도를 강행하자 삼별초군은 이에 불복하여 대몽항쟁의 결의를 다짐하며, 1,000여척의 배를 나누어 타고 진도로 남하하여 용장산성(사적 제126호), 남도진성(사적 제127호.. 전남 2011.11.05
해남 대흥사(海南 大興寺) 아래 모든 사진 클릭하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두륜산(頭輪山)에 자리한 대흥사(大興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이다. 절 이름은 1900년대 초에 대흥사였다가 근래 대둔사(大芚寺)로 불렀는데, 최근 대흥사로 바꾸었다. 절은 교구 본사인 까닭에 일.. 전남 2011.11.05
다산유물전시관 아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다산유물전시관은 다산초당 남쪽 800m 지점에 위치하며, 다산 정약용 선생의 생애와 업적 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꾸며져 있다. 영정, 다산연보, 가계도, 학통, 다산의 일생, 다산의 업적과 유물 등이 판넬과 조형물로 .. 전남 2011.11.05
진도 남도진성 (珍島 南桃鎭城) 및 진도 남동리 쌍운교 및 단운교 (珍島 南洞里 雙雲橋 및 單雲橋) 진도 남도진성(珍島 南桃鎭城.남도석성) 진도 남도진성 (珍島 南桃鎭城.사적 제127호. 전남 진도군 임회면 남동리 149) 고려 원종(재위 1259∼1274), 삼별초가 진도에서 몽골과 항쟁을 벌일 때 해안지방을 방어하기 위해 쌓은 성으로, 삼별초가 제주도로 옮겨갈 때 이곳에서 출발했다고 전해진.. 전남 2011.11.04
담양 소쇄원 (潭陽 瀟灑園) 아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담양 소쇄원 (潭陽 瀟灑園.명승 제40호.담양군 남면 지곡리 123번지 등) 소쇄원은 양산보(梁山甫, 1503∼1557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제주, 자는 언진(彦鎭). 호는 소쇄옹(瀟소:강이름 灑쇄:뿌리다.씻다 翁)이다. 총명·단정한 성품.. 전남 2011.10.29
화순 효산리와 대신리 지석묘군 (和順 孝山里와 大薪里 支石墓群) 화순 효산리와 대신리 지석묘군 (和順 孝山里와 大薪里 支石墓群.사적 제410호.화순군 도곡면 효산리 산68-1외,춘양면 대신리외) 지석묘란 고인돌이라고도 하는데, 크고 넓적한 바위를 큰 돌 몇 개로 괴어 놓은 선사시대 무덤을 가리킨다. 화순군 효산리 모산마을에서 월곡제, 춘양면 대신.. 전남 2011.10.29
담양 창평 삼지천마을 옛 담장 (潭陽 昌平 三支川마을 옛 담牆) 담양 창평 삼지천마을 옛 담장 (潭陽 昌平 三支川마을 옛 담牆.등록문화재 제265호. 전남 담양군 창평면 삼천리 82-1 등 ) 돌과 흙을 사용한 토석담으로 비교적 모나지 않은 화강석 계통의 둥근 돌을 사용하였고, 돌과 흙을 번갈아 쌓아 줄눈이 생긴 담장과 막쌓기 형식의 담장이 혼재되어 있다. S자형으.. 전남 2011.10.02
화순 운주사 원반형사층석탑(명당탑) 및 사층석탑 원반형사층석탑(명당탑) 운주사의 주산인 거북이산(영귀산) 머리 정수리에 위치한 탑으로써 넓적한 하대석에 사각형의 기단면석 위에 놓인 둥근 원반형 석탑이다. 운주사의 석질은 이렇게 시루떡처럼 잘 갈라지는 특성이 있어서 특이한 형식의 석탑 제작이 가능했을 것이다. 넓고 둥근 .. 전남 2011.10.02
화순운주사거북바위오층석탑 (和順雲住寺거북바위五層石塔) 화순운주사거북바위오층석탑 (和順雲住寺거북바위五層石塔.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56호 ) 옥개석의 생김이 직선적이고 육중하다. 신라계 석탑양식이다 거북바위 위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전남 2011.10.02
화순운주사발형다층석탑 (和順雲住寺鉢形多層石塔) 화순운주사발형다층석탑 (和順雲住寺鉢形多層石塔.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82호 ) 떡시루를 중첩시켜 놓은 것 같은 모습을 하여 일반적인 상식을 초월한 특이한 형태이나 낮설지 않고 조형미를 갖춘 석탑이다. ** 위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전남 2011.10.02
화순운주사칠성바위앞칠층석탑 (和順雲住寺七星바위앞七層石塔) 칠성바위 북두칠성은 농사의 풍요, 생명의 관장, 죽은 영혼이 돌아가는 별로 믿었다한다. 원시시대 고인돌 관뚜껑, 고구려 장군총, 무용총 무덤안의 천상도 북쪽에도 북두칠성이 정확히 찍혀져 있다. 민가의 할머니들이 장독대에 정한수를 떠놓고 새벽에 기원을 드릴 때 북쪽 하늘에 뜨.. 전남 2011.10.02
화순운주사대웅전앞다층석탑 (和順雲住寺大雄殿앞多層石塔) 화순운주사대웅전앞다층석탑 (和順雲住寺大雄殿앞多層石塔.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80호) ** 위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전남 2011.10.02
화순운주사거북바위교차문칠층석탑 (和順雲住寺거북바위交叉紋七層石塔) 화순운주사거북바위교차문칠층석탑 (和順雲住寺거북바위交叉紋七層石塔.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79호 ) 너른 바위를 온통 기단석으로 해서 서있다. 비스듬이 깎아지른 바위 위에 홈을 파서 탑을 세웠는데 그 건축 기술과 과학적 재치가 신비롭다. 얇은 옥개석에 처마귀가 솟은 걸로 봐서 백제계탑이.. 전남 2011.10.02
화순운주사석조불감앞칠층석탑 (和順 雲住寺石造佛龕앞七層石塔) 화순운주사석조불감앞칠층석탑 (和順 雲住寺石造佛龕앞七層石塔.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78호 ) ** 위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전남 2011.10.02
화순운주사쌍교차문칠층석탑 (和順雲住寺雙交叉紋七層石塔) 화순운주사쌍교차문칠층석탑 (和順雲住寺雙交叉紋七層石塔.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77호. 전남 화순군 도암면 용강리 70-1 ) 탑신에 개성적인 교차문양을 갖고있는 날렵한 인상의 칠층석탑이다. 기단석도 잘 다듬어서 이곳으로 운반하여 그 위에 직사각형으로 돋을 새김하여 탑을 세웠다. 운주사의 탑.. 전남 2011.10.02
화순운주사칠층석탑 (和順雲住寺七層石塔) 화순운주사칠층석탑 (和順雲住寺七層石塔.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76호.전남 화순군 도암면 용강리 및 대초리 일원) 정사각형의 기단에 둥그런 원형을 둘러 그 위에 탑을 세웠다. 옥개석(지붕돌)이 육중하고 날렵해 활달한 남성적인 위용이 느껴진다. 기단석을 이렇게 반듯하게 다듬어 .. 전남 2011.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