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분류 전체보기 6296

「일제 주요감시대상 인물카드」등 5건 문화재 등록, 「지청천 일기」등 3건 문화재 등록 예고

「일제 주요감시대상 인물카드」등 5건 문화재 등록, 「지청천 일기」등 3건 문화재 등록 예고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일제 주요감시대상 인물카드」 등 5건을 문화재로 등록하고, 「지청천 일기」를 포함한 3건은 문화재로 등록 예고하였다. 이번에 등록이 결정된 문화재는 항일독립..

기타/각종정보 2018.10.01

「무등산 규봉 주상절리와 지공너덜」국가지정문화재 명승 지정 예고

「무등산 규봉 주상절리와 지공너덜」 국가지정문화재 명승 지정 예고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화순군 이서면에 있는 「무등산 규봉 주상절리와 지공너덜(無等山 圭峯 柱狀節理와 指空너덜)」을 국가지정문화재 ‘명승’으로 지정 예고하였다. 「무등산 규봉 주상절리와 지공너덜」..

기타/각종정보 2018.10.01

금전산金錢山 금둔사金芚寺

금둔사 달마대사상 천년고찰 금둔사 : 금둔사는 해발 679m의 금전산 서쪽에 위치한 금둔사는 신동국여지승람(新東國與地勝覽) 낙안조(樂安條)의 기록과 보물 제946호인 금둔사지석불비상과 제 945호인 금둔사지 삼층석탑으로 보아 금둔사의 창건연대를 통일신라때로 추정해오다 순천대학교 박물관(관장 조원래)은 최근 금둔사 지층 120∼150㎝에서 창건 당시 건물지 지층을 발견, 발굴을 통해 지금까지 유구층에서 4동의 건물지를 확인했고, 초석·기단·연화문 숫막새·주름문늬병 등의 유물을 발굴했다. 또 박물관측은 발굴유물을 토대로 금둔사는 9세기경 창건된 사찰임을 확인했다. 이후 1979년 7월 10일 완전 도굴되어 흩어져 있는 삼층석탑을 복원하고 1984년부터 지허 선사가 대웅전과 일주문 선원, 약사전, 요사채, 홍..

전남 2018.09.28

몽골 알타이지역 파지릭 고분에서 인골·순장 말 등 다양한 유물 확인

몽골 알타이지역 파지릭 고분에서 인골· 순장 말 등다양한 유물 확인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8년 한몽 공동 발굴조사 (2018.6.15.~7.24.) 완료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최종덕)는 2018년 6월 15일부터 7월 24일까지 몽골과학아카데미 역사학고고학연구소(소장 S.촐로온)와 공동으로 몽..

기타/각종정보 2018.09.26

여주 신륵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驪州 神勒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像)

여주 신륵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驪州 神勒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像. 보물 제1791호.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 여주 신륵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은 보살상의 보관과 대좌가 후보(後補)된 것을 제외하곤 보존상태가 양호하다. 주존인 불상을 좌상으로 하고 협시상을 입상으로 한 구성은 ..

경기도 2018.09.14

「부산 임시수도 대통령관저」사적 지정 예고,「천주교 광주대교구청 본관」등 3건 문화재 등록,

「부산 임시수도 대통령관저」사적 지정 예고,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본관」등 3건 문화재 등록, 「동국대학교 석조전(명진관)」등 2건 문화재 등록 예고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부산 임시수도 대통령관저」를 사적으로 지정 예고하고, 「천주교 광주대교구청 본관」 등 3건을 문화..

기타/각종정보 2018.09.13

순천 금둔사지 삼층석탑(順天 金芚寺址 三層石塔)

순천 금둔사지 삼층석탑(順天 金芚寺址 三層石塔. 보물 제945호. 전남 순천시 낙안면 상송리 산2-1번지 금둔사) 낙안면 소재지에서 북으로 약 2km 떨어진 금전산의 무너진 절터에 자리하고 있는 탑이다. 『동국여지승람』에 “금전산에 금둔사가 있다”라는 기록이 있어 이 절터를 금둔사라고 추정하고 있다. 탑은 2단의 기단(基壇)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기둥 모양을 본떠 새기고, 위층 기단에는 기둥과 8부중상(八部衆像)을 도드라지게 새겨 놓았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한 개의 돌로 되어 있다.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을 새겼고, 특히 1층 몸돌의 앞뒷면에는 자물쇠가 달린 문짝을, 양 옆면에는 불상을 향하여 다과를 공양하는 공양상을 새겨 놓았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

전남 2018.09.05

백제 후기 수도 사비도성 방어를 담당했던 부여 가림성(사적 제4호) 내부 발굴조사 착수

백제 후기 수도 사비도성 방어를 담당했던 부여 가림성(사적 제4호) 내부 발굴조사 착수 문화재청(청장 김종진)은 부여군(군수 박정현)과 함께 ‘백제왕도 핵심유적 보존‧관리사업’의 하나로 백제 시대 후기 거점 산성인 ‘부여 가림성’(사적 제4호)의 산성 내부에 대한 발굴조사를 시..

기타/각종정보 2018.08.27

증산면사무소. 유성리 소나무. 쌍계사지雙磎寺址 및 증산초교甑山初校

증산면(甑山面) : 조선시대는 성주목(군)에 속해 있었으며 관내에 있는 시루봉(甑峰)의 이름을 따서 증산면이라 칭하였고 37개동을 관할하였다. 1895년 지방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성주군 외증산면과 성주군 내증산면으로 나누어졌다. 그 뒤 1906년에 내증산면은 지례군에 편입되었고 1914년..

경상북도/김천 2018.08.26